• 전체메뉴보기
 

강원도 인제의 방태산을 배경으로 내린천을 바라보는 배산임수 지형에 지은 36평 단층 목구조 한옥이다. 북미산 햄록으로 뼈대를 세우고, 그 사이에 황토벽돌을 2중으로 쌓았으며, 물매 가파른 팔작지붕에는 개량형 한식기와를 얹어 고풍스러움이 느껴진다. 공간 구획과 마감재, 난방 시설, 가구 배치 등 과거와 현대가 어우러진 실내는 크게 거실과 주방, 서재와 마루, 침실로 나뉘어져 있다. 대갓집에서나 보는 오량 천장을 한 거실 전면의 누마루는 삼량 천장과 난간이 눈길을 끈다. 시공사는 이 주택을 외형에서 느껴지는 전통 한옥의 기품과 내부에서 느껴지는 현대적인 공간 구성, 구들방과 누마루 등 전통적 정서를 계승하고, 황토집의 기능을 잘 살려낸 현대 한옥의 정형이라고.



■건축정보


·위 치 :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건 축 면 적 : 36평

·실 내 구 조 : 누마루, 거실, 주방, 안방, 서재, 마루, 화장실 2, 다용도실, 보일러실

·건 축 형 태 : 단층 한옥 목구조

·구 조 재 : 햄록, 육송(서까래)

·외벽마감재 : 황토벽돌(줄눈마감)

·내벽마감재 : 황토 미장에 한지 벽지

·지 붕 재 : 개량형 한식 기와(팔작지붕)

·창 호 재 : 이중 창(외부-225㎜ 우드 새시, 내부-햄록 세살창)

·바 닥 재 : 방-황토 미장에 한지장판, 거실-원목 정(井)마루

·난 방 형 태 : 심야전기보일러 및 구들

·식 수 공 급 : 지하수

시 공 : (주)행인흙건축 031-338-0983
www.hangin.co.kr



새소리, 물소리 그리고 바람결에 들려오는 풍경소리… 그 소리에 도심에서 잔뜩 짊어지고 온 스트레스가 훌훌 날아가는 듯하다. 또한 이곳에서는 그 어떤 속박도 없기에 시계바늘조차 멈추어 선 듯하다. 게으름을 피어도 채마밭에 심어 놓은 푸성귀들이 어느새 성큼 자라나 주말 식탁을 풍요롭게 한다.


강원도 인제군 하남리 방태산을 배경으로 내린천을 바라보는 36평 단층 목구조 한옥. 최낙민·추남숙 부부가 유유자적(悠悠自適)하며 노후에 지낼 요량으로 지은 전원주택이다. 건축주는 애초 환갑이 넘으면 이곳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려고 했으나, 진갑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사회는 그를 놓아주지 않았다. 결국 직장에 매여 상주용으로 지은 주택이 주말주택이 된 셈이다.

건축주는 8년 전에 이 터를 마련했는데, 그 과정에서 2년간 50여 차례 발품을 팔 정도로 공을 많이 들였다고.


“산과 계곡, 강이 한데 어우러지면서 외지지 않은 땅을 찾으려고 무던히도 노력했지요. 좋은 집터가 나타났다는 연락이 오면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새벽같이 차를 몰았으니까요. 그런데 어디 맘에 딱 맞는 땅이 나타나야지요. 그렇게 해서 마을과 접하면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이 땅을 마련했지요.”


이 주택은 내린천에 에도는 방태산자락 한적한 산촌에 자리하지만, 분위기는 적막강산(寂寞江山) 그 자체다. 마을에서 외따로 떨어진 데다 진입로조차 찾기 힘들 정도다. 마을길이 끝나는 곳에서 어렵사리 내린천 옆으로 난 비포장 길을 찾아 들어서야, 깎아지를 듯한 방태산줄기 아래로 팔작지붕이 아스라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배산임수 지형에 북향으로 앉혀진 ‘ㄱ’자형 집인데, 건축주는 땅이 지닌 한계성도 있었지만 자연 지세를 살려 북향으로 좌향(坐向)을 잡았다고.


“앞으로는 내린천 물줄기가 산을 휘돌아 들어왔다가 동쪽으로 빠져나가고, 그 물줄기를 받아 안은 뒷산의 산세(山勢)는 ‘ㄱ’자형으로 생겼지요. 전망도 전망이려니와 집에다 그러한 자연의 기를 담아낸 겁니다.”


북향집은 햇살이 안 들고 북서풍의 영향으로 살기에 부적합하다며 기피하곤 한다. 그러나 건축 자재와 시공 기술이 발달한 요즘에 와서는 옛말에 지나지 않는 듯하다. 사방에 기능성 창호를 내 조망을 살리면서 풍부한 햇살을 끌어들이고, 단열성 높은 구조재로 시공을 하기 때문이다.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


이 주택은 2004년 11월 기초공사를 마쳤는데, 콘크리트 기초 면을 기단처럼 토방 형태의 전돌(검은 벽돌)로 마감했다. 전체 건축물의 안정성과 한옥에서 느껴지는 고풍스러움을 잘 살려내려는 의도에서다. 그후 한겨울 동안 목재의 자연 건조를 통해 하자를 최소화하고자, 올 봄에 한옥 목구조 뼈대공사와 지붕공사를 했다. 집에 기품을 더하고자 구조재는 북미산 햄록, 서까래는 육송을 사용했다. 또한 물매 가파른 팔작지붕에는 개량형 한식기와를 얹었고, 양옆으로 드러난 합각(合閣) 부분에는 목재 널로 마감했다. 벽체는 황토벽돌을 30센티미터 두께로 이중으로 쌓아 줄눈마감을 하고, 6월 초에 내장 공사를 마쳤다.

내장재는 바닥의 경우, 방은 황토 미장에 한지장판으로 마감했고, 거실은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에 원목 정(井)마루를 깔았다. 내벽은 황토 미장을 한 후, 고풍스런 한지 벽지로 마감했다.


전면과 후면에 걸터 앉기에 적당한 높이로 툇마루를 내고, 거실 전면에 누마루까지 앉혀 겉모습만으로는 전통 한옥을 연상케 한다. 그러나 실내 공간 구획과 마감재, 난방 시설, 가구 배치 등을 보면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축주가 한 평면 설계를 시공사인 ‘행인흙건축’에서 협의 보완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전망을 중시하면서 북향집의 단점을 보완한 설계가 나왔다. 실내는 크게 거실과 주방, 서재와 마루, 침실로 나뉘어져 있다.



현대 한옥의 정형


지붕을 갖추어 포치(Porch)형으로 꾸민 한 평 남짓한 입구가 눈길을 끈다. 현관은 바닥에 대리석을 깔았으며, 미닫이문을 통해 실내로 들어서도록 했다. 현대주택과 마찬가지로 외기(外氣)와 신발에서 풍기는 냄새를 차단하려는 의도에서다.


오량 천장을 한 거실 전면 누마루는 삼량 천장에 난간이 잘 어울린다. 누마루 난간에는 구름을 연상시키는 조각을 한 데다, 물안개 자욱한 날 이곳에 앉으면 마치 구름 속에서 노니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거실의 상량문은 추남숙 씨의 스승인 여류 서예가 묵선 심재영 선생이 쓴 것이다. 창호는 이중으로 냈는데 외부에는 25밀리미터 우드 새시이고, 내부는 햄록으로 만든 세살창이다. 거실 후면 주방 겸 식당은 다용도실로 통하는데 아일랜드형 가구로 현대식으로 꾸몄다.


건축주는 거실과 별도로 남과 북이 통하도록 서재와 마루를 연결하여 배치한 공간을 가장 맘에 들어한다. 서재 전면 툇마루로 통하는 문과 마루와 서재를 구분하는 문, 마루에서 후면 툇마루로 나가는 문을 일직선상에 같은 크기의 미닫이문으로 냈다. 공간 활용은 물론이려니와 여름철 세 개의 문을 모두 열면 맞바람이 들이쳐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처럼 서늘함이 느껴진다. 서재 벽에 기대어 앉으면 시원스레 굽이쳐 감도는 물줄기가 바라보인다.


파우더-룸과 부부 전용 욕실이 딸린 안방은 서재와 연계된 내실로, 현대식 한옥의 맛을 잘 살려낸 곳이다. 구들 난방과 일반 난방이 가능한 공간으로, 프라이버시를 위해 창문 밑에는 툇마루 대신 자갈을 깔아 놓았다.

행인흙건축의 이동일 대표는 이 주택은 현대 한옥의 정형이라고 말한다.


“외형에서 느껴지는 전통 한옥의 기품과 내부에서 느껴지는 현대적인 공간 구성, 구들방과 누마루 등 전통적 정서를 계승하고, 흙집의 기능을 잘 살려낸 현대 한옥의 정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田



글·사진 윤홍로 기자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을 배경으로 강줄기를 품에 안은, 인제 36평 단층 황토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