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차례 서리가 내렸다. 그토록 무성하던 언덕의 잡초들도 삭아져 키를 낮추고, 한 잎 남김없이 잎을 떨군 과실나무들은 이미 겨울잠에 들었다. 여름 동안 숲에 가려 보이지 않던 아랫마을은 낮게 엎드려 있다.
산골생활에서 겨울이 행복한 것은 무엇보다 뜨끈뜨끈한 온돌방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한 아궁이 지핀 군불로 하루가 따뜻한 온돌방에서 뒹굴다 보면 한 편의 시가 외워지고 늦가을 동안 감을 따느라 지친 육신의 피로가 시원하게 풀린다. 유가 급등으로 인한 연료비 걱정마저 없으니 마음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뒷산을 오르면 감나무 밭두렁 여기저기 가지치기를 한 나무들이 널려있어 조금만 수고를 하면 땔감은 충분히 마련된다. 땔감을 해오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노동이 아닌 운동에 덤으로 얻어지는 수확이라 여기니 그저 기분이 좋다. 옛날 초등학교시절 교실 난로에 땔 나무를 하러 산에 올라 반 아이들과 토끼몰이를 하던 즐거움이 떠올라 추억에 젖기도 한다.
창고엔 겨울 내내 먹을 홍시가 충분히 준비되어 있고 처마 아래엔 곶감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김장을 마쳤으니 정다운 벗이라도 오면 반갑게 맞이할 일 뿐이다.
산촌의 겨울 해거름은 빨리 찾아든다. 앞산과 뒷산의 하늘 길이가 더욱 짧아진 듯 해가 떴다 싶으면 한낮이고 점심때가 지났다 싶으면 이내 산그늘이 내린다.
서둘러 군불을 지핀다. 아궁이에 군불을 지피는 일이 성가시지 않고 즐거운 것은 해거름에 지붕 위로 피어오르는 굴뚝 연기가 볼 만하거니와 장작이 타는 연기 냄새가 좋다. 알싸하니 매캐한, 아릿하니 구수하기도 한, 그것은 그리움이다. 먼 길을 달려온 그리움이 전신에 젖어드는 향기다. 촉촉하게 젖어서 숨 쉴 수 있는 향기. 돌아가신 부모님의 모습과 떠나버린 사랑과 산그늘 내리는 산촌에 한 점 풍경이 되어 내가 서있다는 것이 가슴 아리는 그리움이다.
올 겨울엔 서재에도 장작난로를 설치했다. 어디에 앉아 있던 산골의 경치를 모두 보겠다는 욕심으로 큰 창을 많이 내었더니 겨울 실내가 추웠다. 두 해 동안 견뎌내며 난로를 놓아야겠다는 걱정만 하고 있었는데 먼저 전원생활을 시작한 강 건너 마을 K선생님이 손수 트럭을 몰아 재 너머 장터에서 난로를 구입해 와 설치해 주었다. 원앙을 조각하는 공예가인 분이라 가지고 있는 여러 장비가 적절하게 쓰였다. 먼저 난로를 들인 경험의 솜씨가 한 점 실수 없이 대나무 산자가 엮어진 황토벽을 보기 좋게 잘 뚫어 ㅜ자 굴뚝을 올려주었다.
지붕 위로 솟구친 굴뚝에서 뒷산을 배경으로 두 갈래 하얀 연기가 원앙처럼 정답게 날아오른다. 난로가 뿜어내는 실내의 열기보다 난로를 설치해 준 사람의 정이 더욱 따뜻하게 가슴에 젖어들어 어스름 마당에 오래도록 굴뚝 연기를 올려다보며 서있다.
'좀 더 잘 대해주어야지. 이 겨울 그들이 다시 나를 찾아오면 난로 위에 대추차를 끓이며 둘러앉아 더욱 정성으로 얘기 들어주고, 함께 아파해 주어야지. 나도 그들에게 따뜻한 사람이 되어야지.'
한 해 동안 우리 황토집을 다녀간 사람들의 모습이 불현듯 떠오른다. 전원에 집을 짓기 위해 구경을 왔던 사람들이 아닌, 저마다 아픔 하나씩 안고 찾아들었던 사람들이다. 혼자 산골 황토집에 들어앉은 여자가 하소연의 대상으로 적격했을까. 어디 막상 마음 내켜 갈 길 없는 답답하고 외로운 발걸음이 이곳 산골을 향했을까.
도시에서 가까이 있을 땐 한마디 의논도 하소연도 없었던, 늘 괜찮아 보였던 모습을 가진 그들의 가슴 안에 그리도 큰 아픔이 있을 줄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넉넉한 연륜과 사회적 지위로 인한 체면으로 어디 털어놓을 수 없었던 고통을 안고 먼 길 달려온 걸음 앞에 그 마음을 헤아리며 이야기 들어주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였지만 그래도 마음 추스르고 일어서던 모습은 밝았다.
그러나 나는 안다. 혼자서 얼마나 오랫동안 고통의 늪에서 허우적댈 것인가를. 먹고사는 일이 아닌 사람에게 받은 배신의 아픔, 그 상대가 평생을 함께할 반려자가 될 때 아픔을 당한 사람은 얼마나 피폐한 정신으로 방황하게 되는가를. 그러나 또한 알고 있다. 그들은 자신이 당한 아픔의 고통에서 헤어날 길을 스스로 터득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푸쉬킨의 시를 운운하지 않더라도 삶은 모든 것이 그리움이 된다. 산골 해거름 굴뚝에 피어오르는 연기의 향기처럼. 원망도 미움도 내려놓고 그냥 가슴 아리는 그리움에 젖어들 일이다. 내가 그리움이 되면 더욱 좋을 터. 삭정이가 어디 나무에만 있는 것인가. 젖어서 향기를 낼 수 없는 생명도 삭정이가 되는 법. 산다는 것은 젖어드는 일이다. 그것이 설령 배반의 아픔이라 하더라도. 사랑의 이별이라 하더라도. 그렇게 젖어들며 또 한 해를 보낼 일이다.田
글 장문자<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