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톡톡! 미끼에 고기가 걸려든 낚싯줄마냥 창밖으로 바라보이는 빨랫줄이 일렁인다. 새가 날아와 앉은 모양이다. 뒤뜰 감나무둥치에 매단 빨랫줄은 서재 컴퓨터 앞에서 오른쪽으로 고개를 젖히면 장독대 옆으로 쳐져 있는 긴 빨랫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데, 아니나 다를까 새 두 마리가 모퉁이 빨랫줄 위에서 널뛰기를 하듯 폴폴거린다. 초록빛 작은 벌레를 입에 물고 연신 주위를 살피는 눈치다. 모퉁이 처마 아래 둥지를 틀어 얼마 전 부화한 새끼 세 마리가 있는 것을 알고 있는 나는 색유리가 끼워진 서재에서 마음놓고 어미 새들의 행동을 관찰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산골에 집을 짓고 나니 해마다 봄이면 똑같은 새 한 쌍이 같은 장소에 둥지를 튼다. 참새만한 몸통에 황토 빛 긴 꼬리를 가진 새를 나는 우리 집에 걸맞게 황토새라고 이름을 지어주었다. 회색 날개깃에 검은빛과 흰빛의 선명한 무늬를 가진 수컷은 암컷보다 더욱 예쁘다. 짝이 정다운 새는 둥지를 틀 때부터 눈길을 끌더니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부지런히 먹이를 날라주었다. 새끼를 부화하고는 암수가 함께 먹이를 나른다. 은밀한 곳에 둥지를 튼 만큼이나 먹이를 물어 와서도 주위를 살피는 몸짓이 유별나다. 빨랫줄 위에서 한참이나 곡예를 하며 주위를 살피다가 수컷이 먼저 둥지로 날아들어 새끼에게 먹이를 건네주고는 빠르게 날아가고 뒤이어 암컷이 그렇게 따른다. 가끔은 새들의 방해꾼이 되어 주위를 어슬렁거리면 먼발치 감나무로 날아가 포르르 포르르 가지를 옮겨나며 감시를 하는데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결코 입에 문 먹이를 삼키는 것을 볼 수가 없다.

암수의 애정이 유별나며 새끼를 보호하는 정성이 지극한 새들을 보고 사람들은 본능이며 습관이라고들 말을 한다. 진정 그럴까. 저토록 오랫동안 먹이를 삼키지 않는 거룩한 인내도 본능이 될 수 있을까. 해마다 짝이 되어 찾아드는 저 지순한 애정도 습관이 될 수 있을까.
새가 지닌 애정의 본능 앞에 우리네 인간이 지니는 사랑의 본질을 되짚어본다.

인간의 남녀 간 사랑에는 분명 끝이 있다. 그가 아니면, 그녀가 아니면 삶이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열정도 일상의 더께에 빛을 잃고, 사랑하는 이에 대한 경이로움도 언젠가는 무관심으로 퇴색된다. 그래서 일까. 사랑은 짧고 결혼은 길어서 자식들과 짝을 두고 다른 둥지를 만들어 떠나는 사람도 있는 것인가. 떠났다 돌아오기도 하고, 영영 떠나버리기도 하고, 상대를 내쫓기도 하고 양쪽을 은밀하게 드나들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반역과 이탈에는 온갖 지능이 작용하며 갖가지 이유가 따른다. 해로偕老를 약속한 결혼서약을 지키지 못한 자신을 합리화시킨다.

반쪽이 되어 둥지를 지킨다는 것은 새들에겐 불가능한 일이며 사람에겐 가혹한 시련이다.
아이 셋을 두고 남편이 다른 둥지로 떠나버린 친구 K의 음성은 늘 젖어 있었다. 자신의 인생은 실패라며 육남매의 맏며느리 자리를 굳건히 지켜온 20년의 세월을 돌아보며 허탈해했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와 아빠를 보고 싶어하는 모습을 바라볼 때가 가슴 아프다고 했다. 다시 십 년이 흐른 지금 돌아오지 않은 남편 몫까지 자식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고 보살피며 둥지를 지키는 K의 표정은 건강하다. 힘든 시련도, 가슴 아픈 고통도 이겨낼 수 있는 것은 자신의 행위가 참으로 당당할 때이다. 어디 K뿐일까. 어미가 떠나버린 둥지도 쉽게 볼 수 있는 현대의 반쪽들, 열정적인 사랑으로 시작하지만 서로를 헐뜯으며 권태기에 허덕이는, 반쪽보다 못한 하나를 수월하게 보게 된다. 기실 나 자신도 그러하다.

곧잘 집을 비우던 남편은 일의 근거지를 먼 곳에 두면서 별거에 들어갔다. 이 좁은 땅덩이에서 일이 별거의 이유가 되지 않는 것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밤새도록 이혼을 하고 말겠다는 굳은 결심은 아침이면 물거품이 되었다. 어린 두 딸아이의 맑은 눈망울이 아침마다 내 영혼을 정화시켜주고 지친 육신을 일으켜 세워주는 버팀목이 되었다. 허물어도 허물어도 더 큰 희망을 쌓아올리게 하던 신비. 사랑을 찾아나서는 것보다 둥지 속의 새끼들을 보살피는 것이 귀중한 일임을, 모성의 본능에 참된 지능이 동반되어야 둥지를 잘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일찍이 알아차렸다.

누군들 새로운 사랑의 싹을 틔우고 싶지 않으랴. 반복되는 일상적 삶을 벗어나 낯선 것과의 만남을 통한 신비로운 열정을 불태우고 싶지 않으랴. 그러나 결혼제도를 넘어서는 운명적인 사랑이 있을지언정 진정 승리하는 사랑은 제도 속에서 해로하는 신뢰의 관계가 아닐까. 그것에는 육체적인 욕망과 열정 너머에 그 무엇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제도를 이탈한 이들이 가질 수 없는 성스러운 믿음이며, 상호신뢰이며, 질서이며, 추억할 수 있는 정이다. 그래서 한 영혼이 한 영혼을 만나 함께 늙는다는 것은 인간이 지향하는 목적이 아닐까.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기에 노년의 부부가 다정히 손잡고 공원을 거니는 모습이 진정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어느새 또 한 차례 먹이를 물고와 주위를 살피는 한 쌍의 새를 본다. 인간의 지능이 따를 수 없는 아름다운 본능 앞에 오늘만은 나도 부끄럼이 없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딸아이에게 전화를 건다.

"엄마!"

산골의 유월 초록을 무색케 하는 아, 우주의 어느 기운이 이를 따를까.田


장문자<수필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 애정의 본능과 지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