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남편을 찾는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귀에 익은 시사잡지의 기자임을 밝히며 남편을 취재하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남편이 부여군과 기술 협약을 맺고 진행하기로 한 사업(표고버섯 가공시설 사업)이 부여군에서라면 모를까 전국으로 소문을 낼 만한 기삿감이 될 것 같지 않아서 거절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남편은 취재를 허락했다.

약속 시간에 남녀 기자 한 쌍이 도착했고 사무실에서 그들이 남편을 인터뷰하는 동안 차 한 잔을 내다 줬을 뿐 나는 그 자리를 피했다. 나 역시 인터넷을 통해 활동하는 기자임을 밝히고, 그 자리에 남편과 함께 앉아서 그들이 어떤 식으로 취재를 하는지 한 수 배우고픈 마음도 없지 않았지만 상황마다 나서서 기자임을 내세우는 일은 내 체질에 안 맞는 일이었다.

“글쎄, 쟤네들 웃기는 애들이야.”

그들이 돌아간 후, 남편은 내 앞에 그들이 발행하는 잡지 한 권을 내 놓으며 이렇게 말했다. 표지 짜임새가 유명 잡지와 비슷했지만, 그 잡지는 아니었다. 전화상으로 들었을 때 귀에 익던 제호는 막상 실제로 보니 모 방송사의 시사 프로그램 제목을 따온 것으로 귀에 익어서 묘한 착각이 들게 만든 것이었다.

“왜, 무슨 일이 있었는데요?”

“인터뷰 끝에 대뜸 한 달 매출액이 얼마나 되느냐고 묻더니 얼마까지 협찬해줄 수 있느냐고 하잖아.”

“그래서 당신은 뭐라고 했어요?”

“그동안 각 TV 방송사를 비롯해서 신문, 잡지에 자주 소개됐지만 이런 요구를 받은 적은 처음이라고 했더니 걔네들 얼굴색이 싹 변하더군.”

그들이 놓고 간 시사잡지를 들춰보니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내용보다는 업체 탐방 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잡지였다. 기사를 내주는 조건으로 업체마다 그런 식으로 요구하면 운영비는 거뜬히 빠질 듯했다.

지명도가 높지 않은 잡지이기에 그런 식으로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점은 이해되기도 했다. 하지만 기사를 빌미로 취재원에게 그렇게 직접적으로 요구하는 그들에게 언론인으로서의 기본 자질은 약에 쓸래도 없고 장사꾼의 천박한 상술이 있는 언론의 사각지대를 본 것 같아 기분이 씁쓸했다.

한편으로는 ‘그런 요구를 해야 하는 그 기자들의 자존심은 얼마나 아플까’ 하는 동정심마저 일었다. ‘자존심을 굽히기보다는 기사를 잘 써서 자신들의 가치를 높이고 보람을 찾는 일에는 그들의 관심은 없는 것일까’ 하는 의문도 생겼다.

최근 나는 지금까지 인터넷에 기사를 쓰면서 가장 보람이 있는 일을 겪었다.
지난 9월 5일 칠산초등학교에 관한 기사를 쓰고 난 이후에 기사에 달린 41건의 댓글에 놀랐고, 지금까지 내 기사 중 가장 많은(4회, 4만 원) 독자들의 자발적인 ‘좋은 기사 원고료 주기’에 흐뭇했다. 기사 나간 이후에 칠산초등학교의 숙원 사업이었던 학교 울타리 공사가 부여 교육청의 지원으로 해결됐고 교실에는 냉난방기가 설치됐다는 소식도 들었다.

무엇보다도 인터넷에 기사화된 학교의 주인공인 26명의 아이들이 가장 좋아했다는 반응이 나한테는 가장 뿌듯한 일이었다. 박은숙 선생님에게는 감사의 메일을 받았고 정석중 교장 선생님께 감사의 전화를 받았을 때 나는 몸 둘 바를 모를 정도로 기자로서의 긍지와 보람을 느꼈다. 기자로서 이보다 더 값진 보람이 있을까?

솔직히 인터넷으로 이름이 알려진 이후에 지역 언론들로부터 종종 러브콜을 받기도 한다. 운영이 열악한 상황에서도 난립하고 있는 지역 언론들의 실태 속에서 나 역시 언론의 사각지대만을 찾아다니는 기자로 전락할까봐 나는 자존심을 지키며 글을 쓰고 긍지까지 얻을 수 있는 인터넷의 시민기자 자리로 만족한다. 더불어 기자임을 내세워 알량한 펜의 힘을 남용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


오수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일기] 당신도 기사 쓴다고 다니면서 그런 짓 하는 건 아니겠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