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한 길가에 나란히 터를 잡았는데도 오른편의 집을 윗집이라고 불렀다. 우리 집보다 지대가 조금 더 높았기 때문이다. 정작 왼편 북쪽의 집을 아랫집이라 불렀으니, 언뜻 보기에는 똑 같은 평지인 듯 잘 가늠이 되지 않는 데도 어른들은 그렇게 지대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대우해 주었다.

윗집은 위채와 아래채가 모두 네 칸인 기와집이었다. 사랑채에 달린 두 짝 대문은 고개를 들고 올려다봐야 끝이 보였으니, 어린 눈에는 동네 재실만큼이나 큰 집으로 보였다. 기둥이 한아름이나 되고 높은 기단(基壇) 위에 대청마루가 훤하니 크던 집. 호호백발 증조할머니는 안채 대청마루에서 늘 긴 담뱃대를 물고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아들, 며느리, 손자손녀들을 호령했다.

명절이면 번들번들한 대청마루에 큰 제상이 차려지고 두루마기에 갓을 쓴 후손들이 멍석을 펴놓은 마당까지 줄지어 늘어서 예를 올리던 모습이 담 너머 보였다. 마당 그득하니 남자가 많던 집, 아들이 많아서 부자였을까. 동네에서 제일 크고 무서운 황소가 있는 집도 그 집이었다.

윗집 아제는 아들들을 데리고 황소를 몰아 부지런히 일을 했다. 동네에서 억척 일꾼으로 소문난 것만큼이나 가을걷이를 할 때면 마당 가득 곡식들이 들어찼다.

우리 집 사랑채에도 기와를 올렸다. 동네 사람들이 모여 알매를 올리고 기왓장을 이어 주었다. 가마솥 가득 쇠고기 국을 끓이고 쌀밥을 지어 사람들에게 대접하며 용마루가 늘씬하게 이어진 지붕을 올려다보는 부모님의 표정이 그렇게 환할 수가 없었다. 두 짝 대문도 달았다. 그러나 어린 눈이었지만 아무리 봐도 윗집보다 우리 집이 못해 보였다. 마루도 기둥도 작았고 대문의 송판도 얇아 보였다.

세월이 흘러도 그렇게 좋아 보이던 윗집이 몇 해 전 오랜만에 고향집에 들렀을 때 흔적 없이 사라진 것을 알았다. 대신 커다란 양옥이 방향을 바꿔 턱 하니 터를 차지하고 있었다. 세상에, 이럴 수가 있다니! 한동안 나는 입을 다물지 못하고 멍하니 서 있었다.

그토록 용마루가 웅장하던 기와집. 우람하던 기둥과 훤하게 반들거리던 대청마루와 고개 들어 올려보았던 대문이 어디로 사라졌단 말인가.
아제의 대문 여는 소리에 잠을 깨던 새벽, 동녘에 해가 솟아오르면 마당 가득 햇살을 품고 위엄스레 터를 지키던 집. 큰 대문으로 눈알이 무서운 황소가 센 콧숨을 쉬며 외양간을 드나들던 기와집. 몇백 년을 이어가도 끄떡없을 집을 허물어 버리다니!

새 양옥을 바라보고 있노라니 그토록 부지런하고 알뜰하던, 몇 해 전에 돌아가신 아제와 아저매의 모습이 선연히 떠올랐다.
집을 이루는 나무와 흙은 그냥 나무가 아니고 그냥 흙이 아니다. 사람의 영혼이 스며 있다. 오랜 날을 벼르고 별러, 온 힘을 다하여 기울인 정성이 집이 되기 때문이다. 집의 주인이 누구였던 오래된 집일수록 그 앞에 서면 경건해지는 것도, 사람의 손길이 구석구석 묻어 나는 집에서 영혼이 뿜어내는 기운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물며 조상이 지은 집이면 더욱 그럴 것이다.

우리 마을 들마의 정 교수도, 이웃 온막리의 윤 교수도 오래 전에 구입한 시골집을 그대로 지니고 산다. 상한 곳은 적절하게 손질하고 불편한 것은 쓸모 있게 다듬어 편안하게 지낸다. 옛것을 닦고 다듬어 정성을 기울이는 주인을 만난 집들은 참으로 아늑하고 편안한 집으로 아름답다. 현대식 양옥만이 보기 좋고 편리한 것은 아니다.
길에서 만난 윗집 올케를 보고, '그 좋은 집을 왜 그렇게 없애 버렸느냐'고 안타까이 물었다.

"큰일은 많고, 손도 많이 오고… 큰일 칠 때 불편해서 그랬다 아이가."

나는 멍하니 서 있었다. 사람까지도 낯설어서.田


장문자<수필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3] 그 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