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한때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던 반신욕의 열풍이 요즘은 다소 시들해진 느낌이다. 일각에서는 반신욕이 오히려 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필자는 반신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좋은 건강법이라고 확신한다. 물론 각자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맞게 적절하게 시행돼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지만 말이다. 이번 호에는 반신욕에 대해 소개한다.


한방에서 보는 바른 건강의 요체는 ‘원활한 기혈의 흐름’으로 집약된다. 기와 혈은 서로 밀고 당기며 인체 구석구석을 돌면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여 세포로부터 모든 조직과 기관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생명적 활성을 부여한다. 그런 기혈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거나 막히면 인체의 생명력은 저하되고 종국에는 병적 상태에 접어든다.

기혈(氣穴)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컨대 교통사고나 낙상으로 인해 어혈이 발생하면 기혈의 흐름이 둔화된다. 심한 스트레스나 지나친 흡연 역시 말초혈관을 좁혀 기혈의 흐름을 둔화시킨다. 과식도 혈류(血流)의 흐름을 위(胃)에 집중시킴으로써 기혈의 흐름을 왜곡시키는 요인이다.

이 외에 일반적인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이 냉기(인체 내의 한열 기운의 교류의 부재 상태)다. 단순히 몸이 차다(국부적, 전신적)는 의미를 넘어 신체의 부분 간의 열기의 차이, 혹 분포의 왜곡 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두한족열(頭寒足熱)은 한방에서 말하는 바른 건강의 기본이 되는 한-열 분포다. 위쪽이 차갑고 아래가 뜨거우면 차가운 것(음의 기운)은 하강하려 하고, 뜨거운 것(양의 기운)은 상향하려고 함으로써 기(氣)의 상하 교류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만약 이와 반대되는 상황, 즉 두열족한(頭熱足寒)의 상황이 되면 어찌될까. 상부의 열기는 더욱 위로 치오르려 하고, 하부의 냉기는 아래로 밀려 내려가려고 하기 때문에 신체의 한열전선은 순환·대류가 불가한 대치 상황에 빠진다. 결국 이 같은 기의 대치 현상은 혈류의 저체로 이어지는 것이다.


기혈의 흐름을 풀어주는 ‘반신욕’

냉기는 이처럼 한열 간의 차이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약 아래쪽이 덥더라도, 위쪽이 더 덥다면 상하 간의 (열)기의 흐름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도 일종의 냉기 상태로 볼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건물에서 온풍기를 사용하는데, 그 결과 공간의 위쪽은 덥고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차가워짐으로써 건물 안에 있는 사람들의 신체적 한열 구조는 상열하냉(上熱下冷)의 상태로 변한다. 또 체내는 냉하고, 체표는 뜨거운 구조도 냉기 상태로 인식된다.

지금은 냉장고가 없는 집이 없을 정도로 보편화됐는데, 여기에 저장된 찬 음식물이나 냉수를 상복(常服)하면 인체 내부는 냉해지고, 체표는 상대적으로 뜨거워진다. 차가운 음의 기운은 안에서 응축되어 밖으로 뻗어 나오려 하지 않고, 더운 양의 기운은 밖으로 향하기만 할 뿐 안으로 내려가지 않아 기의 교류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역시 냉기 상태로 인식된다.

냉장된 음식이 아니더라도 음양체질식을 잘못해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빚어진다. 음체질의 사람이 음기운(냉한기운)이 많은 음식을 상복하거나, 역으로 양체질의 사람이 양기운(더운기운)의 식품을 많이 먹을 때 체내에 한열의 편중이 발생해 냉기 상태가 조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냉기는 기혈 흐름을 왜곡시켜 결과적으로 혈어(血瘀)의 상태를 유발하고, 또 담음(痰飮)과 수독(水毒)이라는 병리적 물질을 생산해 인체를 병적 상황에 빠뜨린다. 이것을 정상으로 되돌려 놓기 위해서는 역으로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 된다.

본지를 통해 소개했던 여러 돈 안 드는 건강법들(웃음, 걷기, 발목펌프운동)은 그런 의미에서 아주 좋은 운동법이라 할 수 있다. 반신욕 또한 이들과 유사한 원리에 의해 교착된(저체된) 기혈의 흐름을 풀어주는 좋은 운동법이다.


체질에 따른 반신욕 방법

반신욕은 섭씨 37∼39도 정도 되는 온수를 명치 아래까지 오게 한 상태로 대략 20∼30분 정도 입수(入水)해 있으면 된다. 이때 손은 나뭇가지처럼 상체에 속한 부분으로 보고 입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반신욕이 끝나면 욕조에서 나와 땀을 잘 닦은 후 하반신의 보온에 신경을 써서 옷을 입고(양말도 잘 챙겨 신고) 특히 열린 모공으로 냉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반신욕을 통해 많은 땀을 흘리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섭씨 40도 이상의 고온에 입수하는 것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그렇게 고온의 물에 들어가 있으면 체표에는 외열에 대한 방어막(Barrier)이 생겨 표피는 뜨거우면서, 그 안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즉 냉기 상태가 조성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과다한 발한 역시 주의를 요한다. 예컨대 소음인성 체질자들은 지나치게 땀을 흘리면 기력 손실이 심해지면서 몸에 무리가 온다. 또 일반적으로 땀을 많이 흘린 후 적정한 수분 보충을 하지 않으면 어떤 체질자들이든 혈액이 걸쭉해지는 혈어의 상태가 유발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반신욕은 막히거나 저체된 기혈의 흐름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지 발한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 과다한 발한은 한두 번 정도는 괜찮겠지만 거듭되면 신체에 무리가 올 수 있다. 반신욕은 대개 20∼30분 정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시간(발한의 양)과 스스로 자신의 상태(신체적 쾌적도)를 살펴가며 정하는 게 좋다. 평소 땀을 좀 많이 흘려도 무리가 없는 사람은 입수 시간을 늘려 충분히 땀을 내는 것도 좋지만, 쉽게 기력 저하를 느끼는 사람은 입수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 또 한 번에 20∼30분을 계속하기보다 가끔씩 욕조 밖에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는 방법을 택해도 된다. 반신욕의 횟수는 무리가 없으면 매일 해도 되지만 체력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이틀에 한번 혹은 일주에 두세 번 정도가 적당하다.

반신욕 후에는 땀으로 인한 체액 손실이 일어나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입수 전후에 녹차나 생수에 적정량의 죽염 혹은 이에 준하는 각종 미네랄이 살아 있는 양질의 소금을 탄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다. 목욕 전에 마시면 발한에도 도움이 된다. 이때 물은 냉수보다는 미지근한 온수로 또는 음양탕(끓는 물과 동량의 냉수를 섞어 물)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田


명성환<오래된 한의원 원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강산책] 한방과 돈 안 드는 건강법 (4) 반신욕(半身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