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얼마 전 모 일간지에서 ‘대사증후군이란’ 제목의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요즘 양방에서는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고혈압 등 현대 성인병을 대사증후군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려 하나의 질환군으로 보고, 이 모두가 한 뿌리에서 나오는 질환으로 파악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한방의 병리적 관점과 유사해 보인다. 그동안 한방과 양방은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서로 외면해 왔다. 그러한 양방과 한방이 각기 의학적 틀 속에서 갖는 장점들을 살려서 상호 보완한다면, 현대의 많은 병들을 보다 근원적인 방향에서 치료하는 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한방과 달리 양방에서는 대부분의 질병을 각개 분해하듯 세분하여 치료하는 ‘미시적 연구’를 통해 성과를 거두어 왔다. 지금, 극단적 미시 분해가 한계에 직면한 것일까? 아니면 ‘음극사양 양극사음(陰極似陽 陽極似陰)’, 즉 ‘음이 극하면 양과 같아지고, 양이 극하면 음과 같아진다’는 말처럼, 양방도 미시적 접근을 넘어 모든 것을 근원에서 바라보는 거시적 접근으로 전환한 것일까?

얼마 전 모 일간지에서 ‘대사증후군이란’ 제목의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요즘 양방에서는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고혈압 등의 현대 성인병을 대사증후군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려 하나의 질환군으로 보고, 이 모두를 한 뿌리에서 나오는 질환으로 파악한다는 내용이었다. 양방에 비해 거시적·포괄적 접근을 시도해 온 한방의 관점과 유사한 내용이라 친근감마저 드는 반가운 기사였다.

양방에서의 대사증후군

우선 양방에서 말하는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지, 기사 내용을 살펴가며 정리해 보자. 기사에서는 사과나무를 비유로 들었다.
사과나무에 빨갛고 먹음직스런 사과가 여러 개 달려 있다. 그것들의 이름은 복부비만, 당뇨병, 고밀도 콜레스테롤, 고중성지방, 뇌졸중, 심장병 등 오늘날 성인병이라 일컫는 현대병들이다. 이런 여러 가지 병명의 질환들을 키워 내는 나무 이름이 바로 ‘대사증후군’이고, 그 나무 뿌리의 이름이 ‘인슐린 저항성’이라는 것이다.

인슐린이란, 익히 알듯이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그런데 인슐린이 제때에 분비되어 혈중의 당(糖)을 근육세포로 넘겨주려고 해도, 세포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이다. 이것이 ‘인슐린 저항성’이다. 혈중에 당은 충분히 있지만, 세포가 그것을 받아먹지 못한 채 쫄쫄 굶고 있는 형국이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인체는 세포로 당을 전달하는 효소(인슐린) 부족으로 세포들이 굶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는 더욱더 인슐린 분비에 박차를 가한다. 그 결과 혈중 인슐린 과잉 상태를 초래한다. 이른바 ‘고인슐린혈증’이다. 불행한 사태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인슐린의 과잉 생산이 지속되면, 급기야 인슐린을 생산해 내던 췌장 세포들이 아예 생산을 멈추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혈중 인슐린 과잉 상태(고인슐린증)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기사에 따르면, 인슐린은 세포를 자라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 때문에 혈관 벽을 두껍게 만들고, 지방 분해 효소를 자극해 분해한 지방을 내장에 저장한다. 신장에서는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해 수분이 배설되지 않고 몸에 쌓인다. 또한 이미 혈당이 높은 상태 속에서 피는 더욱더 끈적거려 쉽게 혈전이 생겨서 혈액의 흐름은 더욱더 둔화한다. 여기서 고혈압, 고지혈증, 복부비만이 생기고, 여러 가지 당뇨병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또한 요산 농도가 높아져 통풍이란 질환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상태를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고 이름지은 것이다.
그동안 서로 떨어진 ‘섬’처럼 보아 오던 각종 질병들이, 사실은 바다 속에서는 거대한 암석과 대륙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새롭게 바라본 것이다.

한방과의 차이점 및 유사점

대사증후군이란 질환(사과나무)은, 결국 인슐린 저항성이 방아쇠 역할을 하여 총체적으로 퍼지면서 한 그루의 풍성한 사과나무가 된 셈이다. 그런데 이런 관점은 한방의 병리적 관점과 유사해 보인다.
한방에서 인슐린 저항성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용어는 없지만, 원인과 결과론적인 차원에서 보면, 그것(인슐린 저항성)은 ‘혈어’의 개념과 유사해 보인다.
혈어란, 한마디로 정상적으로 흘러가야 할 혈액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저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로 인한 ‘혈행의 불리’나, 고인슐린증과 같은 상황 하에서 초래되는 혈액의 점조도 상승으로 인한 ‘혈행의 저체’를 의미할 수도 있겠다.

아무튼 혈행의 불리·저체가 발하면, 한방에선 여러 가지 신체적 동통이 발한다(不通卽痛)고 본다. 아울러 세포·조직의 대사 이상이 발해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질병)이 생긴다고 보는 것이다.
이처럼 한방은 양방과 달리, 질병을 치료할 때 특정 병명에 구애받지 않고 나타난 병증을 통해 변증을 하고, 병원이 되는 병리물질(혈어·어혈이나 담음 등)을 파악한 후 그것들을 제거하는 식으로 방향을 잡아나간다. 그러면 병명에 상관없이, 병원으로 결과가 나타났던 모든 질환들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열매(질병)에 개별 접근하기보다는, 열매들을 만들어 내는 근간에 접근함으로써 원인으로부터 결과에 이르는 여러 가지 병적 상황들을 포괄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을 취한다.

양방에서는 대사증후군을 일으키는 인슐린 저항성이 왜 생기는지, 그 원인을 아직까지 모르고 있다고 한다. 다만 생활양식을 바꾸는 것, 다시 말해 인슐린 분비 부담이 적은 저혈당지수의 음식을 먹으면서 비만을 줄이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권고한다. -이런 가운데, 인슐린저항성은 활성산소가 세포막의 인슐린 리셉터를 손상시킴으로써 결과되는 것이라는 일본의 하야시 히데미쯔 박사의 발언은 주목할 만하다. 만병의 근원으로 지목되어 온 활성산소가 다시금 대사증후군의 강력한 배후 요인으로 부각된 것이다. - 한편 한방에서는 혈어의 근원을 체질의 문제, 장부간 (부)조화의 문제, 또는 생명력·면역력·신진대사 등과 관련되는 심포·삼초라는 무형의 장부들의 문제들을 통해 거시적으로 이해한다.

과학의 힘을 빌어 세포분자의 미시의 세계까지 한없이 분화되어 들어가던 양방의 관심이 이처럼 거시의 방향으로 눈길을 돌린다는 것은 어쨌든 반가운 일이다. 그것이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통합 의학의 전조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그동안 주로 거시의 세계에 뿌리내리고 지내 온 한방은 대사증후군이란 접점을 통해 만나게 된 양방이 왠지 한 길을 걷는 동반자인양 살갑게 느껴지는 것이다. 소박한 기대겠지만, 그동안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서로를 외면해 온 양방과 한방이 서로의 의학적 틀 속에서 갖는 장점들을 살려 상호 보완해 나간다면, 현대의 많은 병들을 보다 근원적인 방향에서 치료하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田


글 명성환<장수한의원 원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강산책] 한방과 대사증후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