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려면, 우선 과로를 피하고 스트레스 요인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폭음과 폭식을 피하고 적절한 운동을 해야 한다. 또 우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일상에서 흔히 먹는 소염진통제들이다. 이들 약물들은 체내에서, 지각신경을 과민케 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을 억제한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 유발 외에, 교감신경의 긴장을 억제하는 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소염진통제를 지속·반복적으로 먹게 되면, 일단 목표한 통증 제거에는 성공할 수 있겠지만, 자율신경을 교감신경 우세 상태(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과 동일한 상태)로 방치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암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은 일본 나카다대학의 아보 도오루 박사의 이론이다. 후쿠다-아보 이론(자율신경의 백혈구에 대한 관계 이론)으로 알려진 이 이론에서 박사는, 암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병의 근원으로 스트레스를 지목하고 있다. 물론 기존 의학계에서도 스트레스와 모든 병의 유관성에 일찍부터 관심을 가져왔지만, 아보 박사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스트레스가 바로, 암을 위시한 대부분 병의 근본(단일)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암의 발병 원인

인체에는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작용하는 자율신경이라는 것이 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양분되는데 이 둘은 마치 음양의 시소처럼 서로 상반되는 기능을 통해 밀고 당기는 길항작용으로 인체생리의 조율을 담당한다.

이들 자율신경(교감, 부교감)의 조정 작용은 인체 내부 장기뿐 아니라 혈액 속을 흐르는 백
혈구에도 미친다. 백혈구에는 크게 과립구와 임파구가 있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인체의 혈액 1세제곱밀리리터당 5000~8000개의 백혈구가 있는데, 그중 54~60퍼센트는 과립구가, 35~41퍼센트는 임파구가, 나머지 5퍼센트는 마크로파지라는 대식세포가 차지하고 있다. 백혈구의 구성 비율이 이와 같을 때 인체의 면역체계는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로 과립구는 사이즈가 큰 세균을, 임파구는 사이즈가 작은 바이러스 이물 등을 맡아 면역작용을 한다. 그런데 과립구에는 교감신경에 반응하는 리셉터(Receptor)가, 임파구에는 부교감신경에 반응하는 리셉터가 있어 교감신경이 항진될 땐 과립구가, 부교감신경이 항진될 때는 임파구가 증가하게 된다. 평소 건강한 상태에서라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적당한 길항작용을 벌이면서, 혈액내의 백혈구의 구성비율이 위에서 본 이상적인 범위 안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인체가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지속적으로 항진하는데 그때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생리적 변화들이 나타난다. 이중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과립구로 인해 발생되는 활성산소다. 증식 능력이 큰 과립구는, 인체가 위급 시 두세 시간 내에 배로 늘어나는 놀라운 증가 속도를 보인다. 그렇게 생성된 과립구는 이삼 일 정도의 생명기를 지나면서 대량의 활성산소를 배출하고 죽음을 맞는다. 활성산소는 체내에 침입하는 이물을 퇴치하여 신체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지만 과다 생성될 때에는 자기의 혈관벽, 조직, 장기 등을 공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처럼 활성산소가 세포를 지속적으로 공격하여 이종세포가 만들어지고 결과적으로 암세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암의 예방·치료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암이 발생한다면, 암을 예방·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명확해진다. 무엇보다 스트레스 속에서 야기되는 지속적인 교감신경 항진 상태를 부교감신경 우세 쪽으로 돌려놓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과로를 피하고 마음의 번민 등과 일상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고 박사는 말한다. 그러나 우리가 애써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여 부교감신경 우세의 상태를 만든다고 해도 평소에 폭음과 폭식을 일삼고 운동을 제대로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운다면, 몸은 이렇게 생성된 과잉에너지를 소비하기 위해, 스스로 심박수를 높여 교감신경긴장 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니 특별히 주의해야 할 것이다.

또 우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일상 속에서 흔히 먹게 되는 소염진통제들이다. 이들 약물들은 체내에서, 지각신경을 과민케 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한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에는 통증 유발 외에, 교감신경의 긴장을 억제하는 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소염진통제를 지속·반복적으로 먹게 되면 일단 목표한 통증제거에는 성공할 수 있겠지만, 자율신경을 교감신경 우세 상태(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과 동일한 상태)로 방치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田

명성환<장수한의원 원장>

글쓴이 명성환 님은 서울대 외교학과 학·석사를 거쳐 영문잡지 및 벤쳐캐피탈에서 근무하다가 뒤늦게 한의학에 입문하여 세명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장수한의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문의 : 011-9782-4322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강산택] 한방과 암(II)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