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 길고 푸른 가을강의 아침 안개, 여름이 자나간 흔적조차 찾을 수 없지만 강심에서 솟아 나오는 안개의 뒷면에 그런 상처가 있는 줄을 누가 알겠는가. 언제나 수줍은 듯 웃으며, 헛된 농사일이나 고된 마을일을 마다않고 해 내는 용보의 마음속에 여름 날 장마비보다 더 굵은 세찬 비가 내리고 있는 줄 누가 알겠는가 **

양평의 가을은 안개의 계절이다. 이포 나루를 지나 강상면 세월리와 개군면 하자포리 사이로 흐르는 남한강은 가을이면 안개의 주산지가 된다. 해가 오르기 전에는 진을 치고 있는군사들처럼 끄떡도 않다가 햇살이 비추면 북쪽으로는 용문산, 남쪽으로는 양자산 골짜기를 타고 못이긴 듯 슬며시 올라가곤 한다.

안개는 그 자체만으로는 문학적으로 복선이나 낭만적 비유물로 원용되기도 한다. 또한 사진 작가들은 세상을 신비롭게 만드는 차양으로 안개를 렌즈에 담는다. 요즘 출근길에 양수리 다리를 지나면 수많은 사진 작가들이 안개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줄을 지어 서 있는 것을 종종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안개가 피어오르는 것을 보면 낭만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처절한 모습을 띠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더구나 그 강물이 여름 내내 붉은 흙탕물로 흘러가던 것을 본 사람들은 결코 그렇게 단순하게 안개를 볼 수가 없다.
아침 해가 오르기 전후에 강에서는 김이 나듯 안개가 솟아오른다. 강물 깊은 곳에서 누군가가 강물을 끓이고 있는 듯이 말이다.

이른 아침 제 몸을
스스로 데우는 강물을 본다

흙탕물 뒤집어쓰고
온몸을 뒤척이던 여름마저
하얀 인고의 꽃으로 피워 올리는
그리운 성자의 뒷모습처럼

오라
또다시 겨울을 준비하는 자여
갈꽃 하얗게 몸을 푸는
가을강 아침 안개 속으로

이 시는 필자가 얼마 전에 쓴 <가을강>이라는 작품이다. 강물에서 피어나는 안개가 여름 내내 쏟아지는 빗물을 받아내고, 흙탕물로 흐르던 그 인내와 아픔이 피워내는 꽃처럼 생각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강에서 살지 않는 자는 안개의 참모습을 모르는 것이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안개가 인내와 아픔의 꽃이라면, 세월리에 사는 용보는 안개 같은 사나이다.
심용보(42)는 세월리 5개 반 중 2반의 반장이다. 반장으로서 마을 일을 한몫할 뿐 아니라, 집안 아저씨뻘인 마을 이장을 개인적으로 보좌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천성이 착하기도 하지만 특정한 직업이 없는 데도 있다.

지난 일요일 가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오후 우리 집에서 매운탕을 끓였다. 이장과 심재두, 그리고 나 이렇게 셋이서 천렵을 한 후 개울가에서 매운탕을 끓여 먹을 작정이었는데 마침 비가 내리는 바람에 우리 집 원두막에서 끓이게 된 것이다. 집에서는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파, 마늘, 고추장 등 양념이 필요했는데 팔이 불편한 용보가 그 심부름을 다하였다. 이렇게 용보는 작은 일에서부터 마을의 대소사에 이르기까지 언제나 앞장서서 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용보가 작은 농사일 외에 특정한 직업이 없는 것은 왼쪽 팔을 거의 못쓰기 때문이다. 두 팔이 다 성했을 때는 직장도 다니고 제대를 한 후에는 양조장을 한 부친의 일을 적극적으로 돕기도 했다고 한다.

그의 부친 심재성(76) 씨는 어려서 다리를 다쳐 한쪽 다리를 저는 데도 불구하고 그 형제가 공동으로 양조장을 경영하였다. 그러나 탁주 구역제가 무너진 뒤 경영이 어려워지자 문을 닫고 말았다. 그래서 지금은 거의 앞을 보지 못하는 부인 박음전 씨와 아들인 용보 셋이서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

용보가 팔을 못 쓰게 된 원인은 교통사고였다. 그의 아버지가 양조장을 할 무렵인 1990년 탁주 배달을 다녀오다 그가 타고 가던 오토바이와 관광버스가 충돌하였기 때문이다. 그 당시 신체 부위는 별로 다친 데가 없었는데, 왼팔로 통하는 어깨부분 신경에 큰 충격을 받았던 것이다.

그 무렵 시골에는 젊은 사람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치료를 하는 경우나 보험 관계의 일에 도와 줄 사람이 없는 바람에 완벽한 치료나 사후 보상 문제에 심각한 손해를 봤다고 지금도 아쉬워하고 있다. 왜냐하면 팔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을 뿐 아니라 평상시에도 팔이 저려오고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올 경우에는 그 정도가 매우 심하기 때문이다.

이런 용보가 올 가을에는 유난히 한숨을 자주 쉰다. 남의 논을 빌려 지은 벼농사도 반타작이요, 고추는 완전히 말라죽었기 때문이다. 들깨가 조금 남아 있어 용보 아버지가 불편한 몸으로 베고 터는 데에도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았다. 속이 상해도 한참 상한 듯했다. 그래도 입으로는 불평 한 마디 없다. 다만, '그것 털어서 뭐 해유, 참 내 원'하고 한숨만 쉴 뿐이다.

논 1,200평에 수확량 벼 28가마, 이것이 용보가 올해 지은 농사 전부다. 평년에는 오십 서너 가마는 나왔다니 딱 절반이다. 거기에다 도지세 10가마 제하고 나면 18가마, 이것을 도정하면 쌀 80키로 그램들이 10 가마가 나온다. 돈으로 환산하면 180여 만 원, 인건비는 고사하고 농비 200여 만 원에도 못 미치는 액수이다.

이것이 용보가 올해 거둔 가을의 전부다. 남들 같으면 날씨 탓하랴, 농민 정책 탓하랴 입이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지만 용보는 남 탓 할 줄 모른다. 몰라서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해도 소용없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너무 잘 알기 때문이다.

자신도 후천적 장애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장애자인 두 부모님을 스스로 모시고 사는 용보는 삶의 고통과 아픔을 너무나 깊게 체험하고 있기에 한 해 농사 정도는 문제가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깊고 푸른 가을강의 아침 안개, 여름이 지나간 흔적조차 찾을 수 없지만 강심에서 솟아 나오는 안개의 뒷면에 그런 상처가 있는 줄을 누가 알겠는가. 언제나 수줍은 듯 웃으며, 헛된 농사일이나 고된 마을일을 마다않고 해 내는 용보의 마음속에 여름 날 장마비보다 더 굵은 세찬 비가 내리고 있는 줄 누가 알겠는가.

이렇게 고되고 아픈 가을을 보내면서도 요즘 용보가 선보러 다닌다는 말이 들려온다. 그래서 올 가을이 다 끝나고 겨울이 오기 전에 세월리 청년들 모두 힘을 모아 용보를 장가보내야 할 것이다. 농사만이 가을 수확의 전부가 아니기에.
용보와 용보 새색시 될 사람 화이팅!

■ 글 이기윤(시인·육군사관학교 교수)

글쓴이 이기윤은 시인이자 육군사관학교 교수이며, 현재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세월리에 살고 있다. 1997년 《시와 시학》 신인상으로 문단에 등단했으며, 1999년 시집 《자전거와 바퀴벌레》를 출간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일기] 용보의 가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