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울은 때아닌 고기잡이꾼들로 가득 찼다. 손바닥만한 웅덩이에 투망을 던지는 이, 족대로 훑는 이, 어항을 놓는 이로 바글거렸다.
다리 위에서 그 모양을 내려보자니, 투망을 던질 때마다 버들잎 만한 고기들이 은빛으로 반짝이며 버글대어 올라오는데 한 시간도 안되어 들고 온 양동이를 채웠다. 저러다 고기 씨를 말릴 듯하여 그만 두었으면 싶었지만, 그이는 양동이가 가득 차자 황급히 그것을 비닐 봉지에 담고는 다시 투망을 던져 넣기 시작했다. 보다 못해 잡을 만큼 잡았으니 그만 하라고 하니, 아니꼬운 대꾸가 돌아온다. 이게 당신 땅입니까? 개울에도 주인이 있습니까?
시골은 사람만 사는 것은 아니다. 호젓하니 숲 속에 들어앉아 살다 보면, 그동안 알지 못했던 수많은 생명들이 바로 곁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실낱 같은 도랑물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버들치며 중투라지가 헤엄치고, 찔레가 필 무렵이면 돌 틈에 숨어 지내던 가재들이 기어 나온다. 아침이면 목을 축이러 오는 산토끼를 만나 서로 놀라기도 하고, 편지통 속에서 뛰어나오는 다람쥐와 마주치기도 한다. 닭을 물어 가는 족제비도 있고, 어슬렁거리며 산길을 거니는 멧돼지도 만나게 된다.
그런데 이런 이웃들에 대해, 오래 전부터 그들 곁에서 살아온 사람일수록 함부로 다루기 쉽다. 비만 오면 투망을 들고 개울을 뒤지는 사람들이나, 눈이 내린 뒤 올무나 덫을 놓는 사람들을 만나 무어라 말을 하면, 그이들은 자신이 가까운 마을에 산다는 것을 무슨 치외법권처럼 내세운다. 놀이 삼아 하는 천렵이나 올무질이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마을 토박이에게 주어지는 특권이라는 데에는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언젠가 눈이 많이 내린 산길에 낯선 차가 서 있는 것을 보았다. 사람들이 서성거리는 게 멀리 보이는데, 밤늦도록 불을 켜둔 채 차는 그곳에 남아 있었다. 이튿날, 그 곳에 가보니 사람도 잡을 만큼 억센 덫 두개가 놓여 있었다. 크기로 보아 멧돼지나 고라니를 노리는 것인 듯 한데 눈에 덮여 사람이라도 밟았다가는 발목이 절단날 판이었다.
그런 이야기를 마을 분들에게 했더니, 겨울 소일 삼아 재미로 하는 거 아니겠냐며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 깊은 산중에 짐승들 다니는 길까지 소상히 알고 오는 걸 보면 외지 사람보다는 물골 주민일 가능성이 많다는 이야기다.
지난 봄에는 산에서 내려오는 아주머니의 손에 뿌리째 뽑힌 헛개나무가 들려 있길래, 산의 나무를 함부로 뽑으면 되느냐고 물으니, ‘요 아래 마을에 산다’는 엉뚱한 대답을 한다. 그 대답을 가만히 새겨보면, 이 마을에 사는 사람에게는 이 부근의 나무며 짐승쯤은 마음대로 다루어도 된다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두물머리 못 미처 송촌리라는 강마을이 있다. 일체의 취사, 낚시, 어로 행위가 금지되었다는 상수원보호구역 표지판이 붙어 있는 곳에서 버젓이 투망을 치는 이들이 눈에 띄었다. 마침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가던 주민이 고기가 좀 잡히느냐 어쩌느냐, 담소를 나누는 걸로 보아 한 마을 사람들로 보였다. 그런데 강 본류와는 뚝 떨어져 도로 건너편의 조그맣게 갇힌 웅덩이에서 낚시를 하는 사람들을 보고는 오토바이 주민이 호통을 치는 것이었다. 상수원 보호구역에서 낚시를 했다며 야단을 치는 그이가 자랑스럽게 꺼내 놓은 것은 명예 환경감시위원증이었다.
그렇다고 바깥에서 놀러 온 이들이라고 나은 것은 아니다.
가뭄이 들어 개울바닥이 드러날 때쯤, 물골에서도 가장 물이 좋다는 수산리 개울에는 손으로 움켜쥘 만한 물들이 군데군데 괴여 있었다. 강까지 이어지던 개울물이 말라붙자, 고기들이 얼마 남지 않은 웅덩이로 죄다 모여들었다. 개울은 때아닌 고기잡이꾼들로 가득 찼는데, 손바닥만한 웅덩이에 투망을 던지는 이, 족대로 훑는 이, 어항을 놓는 이로 바글거렸다.
다리 위에서 그 모양을 내려보자니, 투망을 던질 때마다 버들잎 만한 고기들이 은빛으로 반짝이며 버글대어 올라오는데, 한 시간도 안되어 들고 온 양동이를 채웠다. 저러다 고기 씨를 말릴 듯하여 그만 두었으면 싶었지만, 그이는 양동이가 가득 차자 황급히 그것을 비닐 봉지에 담고는 다시 투망을 던져 넣기 시작했다. 보다 못해 잡을 만큼 잡았으니 그만 하라고 하니, 아니꼬운 대꾸가 돌아온다. ‘이게 당신 땅입니까?’, ‘개울에도 주인이 있습니까?’
유난히 비가 많은 올해도 개울 곳곳에서 투망을 던지는 이들의 모습을 많이 본다. 어린 시절, 삼태기 들고 개울 섶을 뒤져 피라미를 건져내던 일이나, 눈 덮인 산능성을 더운 김을 내뿜으며 산토끼를 몰아대던 추억이 없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그러나 모처럼 저녁상에 풋고추 넣고 조려먹던 찬거리가 아니라, 몸에 좋다는 말 하나로 온 산을 뒤져 헛개나무며, 가시오갈피며, 오소리며 싹 쓸어버리고, 개울의 물고기마저 쓸어다가 중탕을 내려 먹는 일은 결코 아름다운 추억이 될 수 없으리라.
‘바로 요기 살아요,’ ‘이게 당신 땅입니까.’ 이런 말을 언제까지 듣고 살아야 할지는 모르지만, 쪽동백이며, 현호색이며, 애반디와 수염이 멋진 동자개와 알록달록한 꼬리가 귀여운 너구리, 오소리....이런 모든 것들이 사라진 뒤의 시골은 얼마나 삭막할까.
얼마 전, 수산리의 유료 낚시터에 간 적이 있었다. 손바닥만한 붕어 여 댓 마리를 잡아 세 마리는 마당에 묻은 함지박에 넣고, 나머지는 불당골 이웃이 붕어찜을 한다고 가져갔다. 온종일 나는 연잎 밑으로 노는 붕어를 들여다보는 즐거움에 빠졌다. 하루가 지나자 붕어들은 물 위로 코를 내밀고 가쁜 숨을 몰아 쉬었다. 나는 붕어를 꺼내어 집 밑의 개울 도랑에 풀어 주었다. 발목도 잠기지 않을 만큼 얕은 도랑물이지만, 나는 매일 일을 나가거나 들어올 때면 그 앞에 차를 세우고, 내 붕어들이 잘 있는지 들여다보았다. 그 뒤로도 꽤 오랫동안 집 앞 도랑에 머물던 내 붕어들은 큰비를 따라 개울로 내려갔는지 보이지 않았다. 일터에서 돌아올 때마다 도랑을 들여다보며, 풀 섶 밑에 어른거리는 붕어들에게 환호성을 지르던 내게 그것은 서운한 일이지만, 나는 붕어들이 넓은 개울에서 마음껏 헤엄치며 살아가기를 꿈꿔 본다. 어린 시절, 숙모가 빨래 가는 앞 개울에서 손으로도 움킬 만큼 흔한 붕어며, 구구리며, 불거지들로 집 앞의 도랑이 버글거리기를 즐거운 마음으로 기대해 본다. 田
■ 글 이시백<작가,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