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촌에서 띄운 편지
‘산 속에 살다 보면’
산 속에 살다보면 산이 일터요, 산이 놀이터요, 산이 쉼터다. 즐거워도 산에 오르고 울적해도 산에 오른다. 어느 때고 산은 다 받아들인다. 산은 함께 즐거워하고 울적한 마음을 달래준다. 산은 기를 준다. 나무와 풀꽃들도 기를 준다. 기를 서로 교환한다. 산은 생명으로 가득 차 있다. 산을 헤매다 보면 마음이 정화된다. 산에 가면 사악한 마음도 욕심도 사라진다. 마음을 순화시킨다. 그래서 산행을 할 때만은 누구나 동심으로 돌아감을 느꼈을 게다. 이처럼 산은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시가 있고 산문이 있으며 깊은 사색에 빠져들게도 한다. 비례, 균형, 대조, 하모니, 색감, 질감 등 모든 조형 감각을 깨우쳐 주고 온갖 음색도 다 들려준다.
--------------------------------------------------------------------------------
얼마 전 친한 친구가 이사를 갔다. 이삿짐 거들어 주러 갔다가 새벽 산책길에 뒷산에서 산삼을 찾았다. 노송 밑 정갈한 자리에 특이한 풀 한 포기가 확 눈에 들어오는 순간 ‘아! 산삼이구나.’ 육감으로 느꼈다. 책에서만 보았지 실물은 처음인데 신기하게도 금방 알아 볼 수 있었다. 일곱 개의 소엽(小葉)으로 된 장상의 잎사귀 네 장이 줄기 끝에 윤생으로 달렸고 그 가운데 꽃대가 올라오고 있었다.
산삼은 영물이라 오랜 채취 수련과 경험을 터득한 심마니들이 목욕재계 후 찾는 그들의 전유물인줄 알았는데, 나 같은 문외한의 눈에 쉽게 띄다니 정말 희한한 일이다.
인가가 멀지도 않고 부근 산소도 여럿 있어 인적이 드문 곳도 아닌데 수십 년 간 사람들의 눈에 안 띈 것도 이상하다. 산골에 들어와 몇 년이 지나도록 자생하는 산송이 하나 구경 못한 터라, 초가을 송이철이 와도 나와는 인연이 없다 생각하고 아예 관심 밖이었다. 그런데 작년 추석 전에 대여섯 개를 채취하고는 여간 흐뭇하지 않았다. ‘내 눈에도 송이버섯이 보이는 구나!’ 하고. 역시 초보자라서 처음에는 갓이 활짝 핀 갈색의 버섯을 발견하고 자세히 관찰했더니 향기로 송이버섯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자리에 가만히 앉아 주위를 자세히 살피는데 솔잎 낙엽이 볼록한 곳을 헤치니 감자잎만한 커다란 송이머리가 봉긋이 솟고 있었다.
‘궂은 날 버섯 따기 좋다’기에 이슬비 오는 날, 밤버섯을 찾으러 참나무 숲을 헤매는데 작은 솥뚜껑만큼이나 큰 시커먼 버섯이 눈에 띈다. 일행을 불렀더니 능이버섯이란다. 앉은자리에서 여섯 개나 채취하는 행운을 얻었으니 이 기쁨을 어찌 다 말로 표현하리요.
올 초봄엔 앞산에 엄나무 묘목을 심으려 구덩이를 파기 위해 낙엽을 헤치는데 연녹색의 앙증스런 잎이 눈에 띄었다. 자세히 봤더니 애기사철난이 아닌가?
다시 주변을 조심스럽게 뒤지니 두어 평 면적에 큰놈은 개화주부터 작은 놈은 생강근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보고 애기사철난의 군락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애기사철난은 수십 년 산행을 하면서도 겨우 몇 촉을 찾기 힘든 희귀식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집 앞이 바로 그들의 군락지라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들에게 환경이 아주 적합한 모양이다. 오솔길 옆이라 산나물 채취꾼의 발에 밟힐까 염려되어 적당한 보호조치를 해 두었다.
산행은 가을 산도 좋지만 신록의 계절 산행시는 요란한 먹거리 준비가 없어 좋다. 밥과 고추장만 있으면 다른 반찬은 준비할 필요가 없다. 잔대 싹, 더덕 싹, 삽주 싹, 참나물, 곰치, 당귀 등 심심한 산채로 쌈을 싸거나 고추장에 그냥 찍어 먹으면 그렇게 고소하고 향기로울 수 없다. 또한 가을 산행의 부산물인 버섯장아찌, 산초절임, 더덕장아찌, 머루술, 다래술, 오미자술, 오갈피술 을 어찌 도시의 인스턴트식품과 비교 할 수 있겠는가.
산 속에 살다보면 산이 일터요, 산이 놀이터요, 산이 쉼터다. 즐거워도 산에 오르고 울적해도 산에 오른다. 어느 때고 산은 다 받아들인다. 산은 함께 즐거워하고 울적한 마음을 달래준다. 산은 기를 준다. 나무와 풀꽃들도 기를 준다. 기를 서로 교환한다. 산은 생명으로 가득 차 있다. 산을 헤매다 보면 마음이 정화된다. 산에 가면 사악한 마음도 욕심도 사라진다.
마음을 순화시킨다. 그래서 산행을 할 때만은 누구나 동심으로 돌아감을 느꼈을 게다. 이처럼 산은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시가 있고 산문이 있으며 깊은 사색에 빠져들게도 한다. 비례, 균형, 대조, 하모니, 색감, 질감 등 모든 조형 감각을 깨우쳐 주고 온갖 음색도 다 들려준다.
그런데 요즘은 산을 너무 파헤친다. 산이 노할까 두렵다. 우리나라 산골짝마다 오래된 산사들을 보면 별로 자연 훼손 없이 지형의 형편에 맞게 당우를 배치하며 자연 경관에 어색하지 않게 처리했다. 선진국들의 소위 전원주택들은 산을 크게 다치지 않고 최소한의 훼손으로 매끄럽게 처리했다. 우리의 명승지를 찾아 풍광을 감상하노라면 주위에 조잡하게 난립한 인간이 만든 구조물들이 마음을 상하게 만든다.
우리는 우리 세대가 이 땅을 잠시 임대해 살 뿐 영원히 소유하는 것이 아니므로 후손들도 그대로 즐길 수 있도록 잘 보존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 산은 대부분 장년기 산이라 경사가 급하고 산세가 험해서 산행에 조심해야 한다. 얼마 전 절벽에서 할미꽃 씨앗을 채취해 봉투에 넣는 순간 균형을 잃어 3미터 가량 미끄러지다가 천만 대행으로 줄댕강나무에 댕강 걸렸다. 더 큰 위험은 모면하고 일주일정도 병원 다닐 상처만 입었지만 정말 산신께 감사한다. “오늘 네 발로 걸어서 돌아가도록 용서할 테니 다음은 주의하라”는 경고로 받아들였다.
산은 품이 넓고 포용력이 크며 관대해서 누구나 받아들인다. 그러나 한번 노하면 커다란 재앙을 준다. 산은 언제나 겸허하게 대해야 한다. 마치 인자하면서도 엄격한 어버이 같고 스승 같다. 깊은 산 속 산사에는 으레 산신각이 있다. 불교의 교리상 필요 불가결한 존재인지 견문이 짧아 의문이지만 산의 품속에 살면서 어찌 산을 소홀히 대하겠는가? 산을 외경(畏敬)스럽게 여기라는 증표로 받아들이고 싶다.
자연을 정복한다는 말은 언어도단이다. 자연에 순응해야 한다. 그 순응하는 지혜는 자연이 가르쳐 준다. 田
■ 글 황대석<들뫼꽃야생화농원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