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전원일기
강상면 일곱 마을 이야기
세월리로 내려 온 지도 벌써 두 달이 되었다. 그동안 마을 주변의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기도 하고, 또 마을 어른들을 비롯하여 여러 사람을 만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직 이 마을에 대해 아는 것이라곤 쥐꼬리만큼 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실감한다. 길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아는 사람보다는 모르는 사람이 더 많고, 가 본 곳보다는 가 보지 못한 곳이 더 많기 때문이다.
--------------------------------------------------------------------------------
얼마 살지도 않아 세월리에 대하여 다 알 수 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사람의 얼굴과 이름을 안다고 해서 그 사람을 다 안다고 할 수 없듯이, 마을의 겉모습만 보고 그 마을의 모든 것을 알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지금부터는 세월리의 참모습을 보기 위한 첫 단계로 세월리의 주변 이야기부터 하기로 한다. 그림을 그릴 때 현실감이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원근법을 쓰듯이, 주변의 이야기에서부터 중심의 이야기로 이동하는 것도 세월리를 더욱 생생하게 그릴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세월리는 양평군 강상면에 있다. 양평군은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이 합쳐져 양평군이 되었다. 그 당시 강상면은 남시면(南始面)으로, 현재의 강하면인 남중면(南中面), 1914년 광주군으로 이속된 남종면(南終面)과 더불어 남한강 남쪽에 있는 3개 면을 이루었다.
그러고 보면 남시면이란, 양평군의 남쪽 시작점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는 말이다. 실제로 광주의 곤지암 방면이나 여주의 이포 방향에서 올 때, 남한강의 남단에서 만나는 첫 마을이 바로 대석리와 세월리로 남시의 의미가 살아 있는 곳이다.
이러한 강상면은 북쪽으로부터 병산리, 송학리, 교평리, 신화리, 화양리, 세월리, 대석리 등 7개 동리가 양자산 줄기와 남한강 사이를 따라 거의 일직선으로 놓여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제일 북쪽에 있는 병산리는 백병산 밑의 마을이라는 의미로 강하면과 접경해 있으면서 양평읍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백병산은 양자산이 남한강 쪽으로 뻗으면서 형성된 산인데, 이 산을 중심으로 골짜기마다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농업을 주로 하지만 현재에는 마을 앞을 지나는 88번 도로를 따라 발달된 상업에도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
병산리에는 고려 초기 석물인 돌거북상이 있다. 이 돌거북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삼한을 통일할 때, 이 고장 출신인 함규 장군의 전승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고 한다. 이 상은 높이 1.24미터, 길이 2미터, 폭 1.4미터로 고려 초기 석조물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요인 《반달》의 작곡가인 윤극영 선생의 묘소가 있으며, 더 멀리로는 조선왕조 선조의 딸인 정근옹주의 묘와 광해군 때 벼슬을 지낸 김이원의 사당과 신도비가 있다.
송학리는 병산리에서 양자산 골짜기로 들어가 있는 마을로 양자산과 백병산 사이에 있으며, 송산리와 학곡을 합친 이름이다.
이곳에는 예부터 유명한 구사곡(九寺谷) 약수터가 있는 마을이다. 구사곡이란 구절골로도 불리웠는데, 양자산과 백병산 사이에 있는 아홉 골짜기마다 절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약 600여 년 전에 지어진 사찰들로 알려진 이 절들은 지금은 찾아볼 수 없으나, 이 골짜기에서 나오는 약수는 그 효험이 아직도 많이 알려져 찾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송학리에는 오이와 팽이버섯 작목반이 있어 농가 소득을 높이는 데 그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마을에서 강하면 성덕리로 넘어가는 곳에 길마재라는 고개가 있다.
교평리는 교암과 평리를 합친 이름이며 강상면의 소재지다. 양평대교를 건너면 바로 닿는 곳이 교평리인데 면사무소를 비롯하여, 농협 등이 있어 이 면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교평리에도 표고 작목반이 있어 특수작목 재배가 활기를 띄고 있는데, 송학리에 있는 팽이버섯 재배와 더불어 양자산과 남한강이 어우러져 형성되는 신선하고 맑은 공기와 환경 덕분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곳에는 강가에 봉의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이 정자는 조선시대 윤승훈이 지었다고 한다.
신화리 신당리와 내생화를 합친 이름이며, 양자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로서 교평리에서 양자산 쪽으로 약 15분 정도 걷는 거리에 있다. 이곳에는 약 7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강상초등학교가 있다.
지금까지 약 43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강상초등학교는 충효예를 강조하는 인성교육과 가정보다 더 좋은 학교 환경 조성에 그 교육적 특성을 두고 지역사회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 육성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평리를 지나 곤지암 방면으로 가는 강기슭과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 화양리이다. 화양리는 외생화와 양곡을 합친 이름이며, 대체로 강과 산이 잘 어우러져 있는 곳으로서 볕이 잘 들어 꽃이 환하게 잘 피는 마을이라는 뜻도 담겨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는 조선왕조 시대 명종 때 태어나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봉의정을 지은 윤승훈의 묘가 있다. 그리고 한국방송공사 남한강 연수원이 자리잡고 있는 앞강에는 도러소라는 깊은 소가 있었다고 전한다.
화양리를 지나 짧지만 경사가 꽤 높은 사실고개를 넘으면 세월리다. 그리고 세월리를 지나 왼쪽으로 가면 여주군 금사면이 나오고 오른쪽 방향으로 돌아나가면 대석리가 나온다.
대석리는 대감리와 백석리를 합쳐서 지은 이름이다. 백석리는 흰돌이 많은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며, 대감리는 대감이 살던 곳이라는 이름이다.
그런데 대감리에 대한 유래는 두 가지로 하나는 조선 전기 권근의 후예인 권일신, 권철신 두 형제가 살았던 곳이라는 설과 양근 김씨의 시조인 김인찬이 살던 곳이라는 설이 있다. 어느 설이 정확한지는 기록으로 보아서는 분간할 수 없으나, 이 두 설이 지닌 시대가 400여 년 정도 차이가 있으므로 다 맞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곳에는 지석묘가 있는 것이 특색이다. 마을 입구 100여 미터 전방 밭두렁에 있는 이 지석묘는 모두 6개이며 남방식으로 밝혀진 것이다. 이 지석묘로 보아 이 주위에는 청동기 시대인 약 3000여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이야말로 강상면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강상면의 모든 동리 이름들은 수많이 존재하던 옛 마을들의 이름들을 합친 것이 특색이다. 세월리도 세심리와 월리를 합친 이름이 아니던가. 앞으로 이 옛 마을들의 유래를 찾으면 더 풍성한 역사가 나오리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