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전원일기
이장님, 이장님, 세월리 이장님
세월리는 40대 초반의 이장이 이 마을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도 50∼60대라면 젊은이 취급을 받고 있는 곳이 우리의 농촌 현실인데 40대 초반의 의욕에 찬 청년이 이 마을을 위해 헌신 봉사하고 있다는 것은 세월리의 축복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203세대라는 마을이 어디 작은 공동체라 할 수 있을 것인가. 세월리 심 이장의 하루는 짧기만 하였다.
--------------------------------------------------------------------------------
내가 작년 7월 세월리에 정착하기로 마음을 먹은 후, 맨 먼저 만난 사람이 이 마을의 이장인 심재준(42) 씨였다. 그의 첫인상에서는 시골 사람이라기보다는 어딘가 도회지 냄새가 물씬 풍겼다.
세련되고 자연스런 헤어스타일, 깔끔한 옷맵시, 절제된 대화 등에서 그렇게 느꼈다. 만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자신을 ‘세월리 쌍둥이’라고 하면 양평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다라고 했는데, 다소 터프하게 보일려고 그런 말을 했는지 몰라도 말씨나 매너가 그렇지는 않아 보였다.
2002년 7월에 땅(164평)을 매입하고 10월에 착공에 들어갔는데, 그는 건축업자의 선정에서부터 토목공사, 이웃주민들에 대한 양해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자상하게 보살펴 주었다. 직장 관계로 현장에 자주 내려가지 못하는 사정을 배려하여 매일 현장 체크를 해 주었으며, 상량을 할 때는 많은 주민들을 독려하여 풍성한 자리가 되도록 힘써 주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언제나 강조하는 것은 ‘우리 동네는 텃세가 없다’라는 말이었다. 이 말에는 주민들의 분위기를 마을의 이장이 좌우하고 있다는 사실이 내포된 것이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을의 발전을 위해서는 동네 사람들과 외지인들과의 화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과 그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이기도 하였다.
그는 조선 숙종 때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심권(1643∼1697)의 14대 후손으로, 심경섭(작고) 씨의 4남 1녀 중 3남으로 태어나 세월초등학교와 양평중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이 마을을 떠나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였다. 그리고 군복무를 하기 위해 고향에 잠시 머문 뒤 다시 고향을 떠났다. 1980년대 초 이농현상이 극한에 달했을 때, 그도 도회지에서 꿈을 이루기 위해 농촌을 떠난 이농민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서울 생활이 어디 말만큼이나 그리 호락호락한 것인가. 도회지의 변두리에서 서성이며 바라보는 도회의 네온사인 불빛이 어디 고향 마을을 비추는 별빛처럼 정답기나 했겠는가. 그는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 잠시 가내 공장을 경영하다가 본격적인 농군이 되었던 것이다. 2000여 평의 농지에 농사를 지으며 마을의 청년회장을 4년 동안 역임하기도 한 그는 지금까지 5년 째 마을의 이장을 맡고 있다.
세월리는 양평군에서 단일 마을로는 세대수가 가장 많은 동네이다. 총 203세대에 500여 명의 주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주민과 외지인이 각각 절반을 이루고 있다. 외지인들이 들어와 있는 곳은 갑을빌리지, 세월빌리지, 나루터전원주택, 통나무전원주택, 한울전원주택, 다랫골의 화가촌 등인데 이곳의 주민들이 마을 행사 등에 적극 참여하는 것은 심 이장의 노력 덕분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원주민과 외지인들이 화합하여 살아가고 있는 것 외에도 이 마을의 큰 자랑거리는 세 가지가 더 있다. 하나는 마을 사람들과 동문회(회장 : 심재혁)의 단합된 힘으로 세월초등학교를 폐교 직전에서 저지한 일이다.
1990년대 말, 우리의 농촌은 극심한 이농현상으로 인해 취학 아동이 줄어들자 수많은 시골 초등학교들이 강제로 폐교를 당했다. 그러다 보니 젊은 사람들이 아이들을 키우며 살아가는 데에 또 하나의 어려운 점이 더해져 사실 시골의 공동화 현상이 더욱 가속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때에 세월리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세월초등학교 살리기 운동이 벌어졌는데, 인근 여주군의 폐교된 학교의 학생들을 데려오기 위해 스쿨버스를 구입하는 등 갖은 노력을 다한 결과 지금은 8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작지만 아름답고 알찬 학교로 거듭난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젊은층인 30∼40대가 40여 세대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우리 농촌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다. 그뿐 아니라 이러한 사실이 이 마을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마을 청년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마을의 들녘을 무공해 청정지역으로 조성해 반딧불이와 메뚜기 등이 서식하는 곳으로 탈바꿈시켜 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이곳은 도회에서 지친 심신을 주말을 이용하여 편안하게 쉬어갈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학습장으로서도 그 역할이 기대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바로 40대 초반의 이장이 이 마을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도 50∼60대라면 젊은이 취급을 받고 있는 곳이 우리의 농촌 현실인데 40대 초반의 의욕에 찬 청년이 이 마을을 위해 헌신 봉사하고 있다는 것은 세월리의 축복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203세대라는 마을이 어디 작은 공동체라 할 수 있을 것인가. 세월리 심 이장의 하루는 짧기만 하였다.
그는 오전 8시 전후로 자신의 사무실로 출근한다. 마을회관 앞에 있는 사무실은 유형근(42) 씨의 부동산 중개사무실과 함께 있는데, 마을 주민들의 민원도 수리하고 외지인들에게 마을의 현황을 친절하게 소개하는 데에는 안성맞춤이다.
집이 비록 낡아 현재는 새 사무실을 갑을빌리지 앞에 신축하고 있지만 내가 보기에는 안온한 분위기가 낯선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기에는 더없이 좋은 곳이다. 이 곳에서 두세 시간 마을 민원을 받고는 오전 11시 전후로 5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강상면 사무소로 향한다.
거의 매일 오는 면사무소에서 그는 먼저 마을 주민들이 부탁한 민원 등을 해결하고는 마을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면장을 비롯한 면사무소 직원들과 대화를 나눈다. 거기에서 그는 마을 주민들의 의견을 전달하기도 하고 새로운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또한 강상면 이장협의회 총무를 맡고 있어 인근 마을의 이장들과 만나 강상면의 발전책을 진지하게 토론하기도 한다.
면소재지에서 점심식사를 마친 그는 오후 두세 시경에 마을로 돌아온다. 그리고는 세월천 건너 강마을, 초등학교 인근의 본동네, 다랫골의 전원주택지, 도로가의 갑을빌리지 등을 한바퀴 돈다. 마을 곳곳에는 도로 수리 공사, 건물 신축, 부지 정리 등이 언제나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자신의 사무실로 돌아와 마이크를 잡는다.
“마을 주민 여러분께 알려 드립니다. 고속도로 건설 부지에 편입되는 땅을 가지신 분은 주민등본과 인감 도장을 가지고 5시까지 마을 회관으로 나와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알려 드립니다 … …”
낭랑하고도 무게 있게 울려 퍼지는 심 이장의 목소리에 우리 집 앞 후박나무 가지에 있는 까치집으로 들어가던 까치가 날개를 멈칫거리고, 뒷집 저녁 연기가 잠시 몸을 낮추다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아내와 2녀(중학교 3학년, 초등학교 4학년)를 둔 가장으로서 자신의 일보다 마을 주민들의 복리증진을 위해 헌신하는 심 이장을 볼 때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한다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소이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田
글 이기윤<시인, 육군사관학교 교수>
사진 정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