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나의 전원일기

세월리(洗月里)로 간 까닭은


세월리는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에 위치한 마을이다. 지리적으로는 88번 지방도로와 44번 지방도로가 교차하는 곳이며, 마을 뒤로는 높이 710미터의 양자산이 수려하게 펼쳐져 있다. 마을 앞으로는 중부 지방의 젖줄이자 우리 역사의 산 증인인 남한강이 유유히 흐르는 곳이다. 특히 양자산은 천진암이 있는 앵자봉과 더불어 광주산맥의 한 등뼈를 이루며 광주군 퇴촌면과 여주군 산북면의 경계를 만들어 경기도 남동부의 3개 군이 접하는 곳이다.
--------------------------------------------------------------------------------


내가 이 세월리를 알게 된 것은 몇 년 전 이 마을 앞을 지나게 되면서부터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육군사관학교 문학부 생도들을 봄이 되면 남양주 능내리에 데려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가와 묘소를 참배하게 하였다.

다산은 조선조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사람이자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자주적이고 진보적인 사상을 지닌 사람이었기에 이를 본받고자하는 의도에서였다. 그러던 중 1998년쯤 후배인 설경민 화백이 이천군 백사면 도립리 산수유 마을로 이사를 하는 바람에 능내리를 거쳐 도립리까지 돌아서 다녀오게 되었다.

세월리는 바로 능내리에서 도립리를 가는 중간에 있었다. 양수리를 거쳐 양평대교를 지나 십오리(6㎞)쯤 가면 곤지암 방면과 이포 방면으로 갈라지는 삼거리가 나오는데 이 삼거리 마을이 바로 세월리였다.

이곳에는 전교생이 80명쯤 되는, 작지만 그 이름만큼이나 예쁜 세월초등학교가 있고 보건진료소가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시장기를 달래주는 슈퍼도 있다.

세월리, 한자로는 洗月里라고 쓰는데, 그 유래는 양자산 다래골에서 발원하여 이 마을 앞을 지나는 냇물이 너무 맑아 달이 그냥 지나가지 못하고 몸을 씻고 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흔히 물이 맑으면 선녀탕이니 용소(龍沼)니 하여 조금은 추상적인 이름을 붙였던 것에 비해, 밤이면 언제나 만날 수 있는 달을 매개로 하여 이름을 붙였다니 얼마나 현실적이면서도 환상적인가.

이 아름다운 이름에 마음이 이끌려 이 마을 앞을 지날 때면 마음과 몸이 훈훈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양자산 기슭에 있던 주어사(走魚寺)라는 절은 천진암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서학을 맨 처음 공부하고 토론하던 강학회가 열렸던 곳이라고 한다.

이 주변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처절한 삶을 살았던 당대의 젊은이들의 고혼이 서려 있는 곳이기에 느낌이 남달랐다.

지금은, 주어사는 물론 그에 딸린 암자였던 천진암과 곤지암도 자취는 없어지고 이름만 남아 있어 더욱 처연한 기운을 느끼게 한다. 또한 역사의 기록은 없으나, 세월리에서 주어사 쪽으로 가는 길에 대감마을이라는 곳이 있는데, 세월리 노인회 총무인 심재욱(67세) 씨에 따르면 권철신, 권일신 형제가 살았다고 하여 그렇게 전해진다고 한다.

전원주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다 알고 있듯이 지금 서울 근교 즉 남양주, 광주, 양평, 용인, 안성 등은 물론이고 멀리 여주와 강원도 일부까지도 전원주택 단지 조성 붐이 일고 있다.

그래서 전망이 좋다고 하는 산자락이나 산기슭은 예외 없이 붉은 흙을 드러내 놓고 있다. 도시에서 찌든 삶을 회복하기 위해 전원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무어라 할 수는 없지만 훼손되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먼저 자연 훼손이 그것이다. 특히 한강을 비롯하여 강줄기가 조금이라도 내다보이는 곳이면 전원주택 사업자가 산을 헐고 깎아 택지를 조성하는 바람에 치마 잘린 여인네의 모습으로 안쓰럽게 서 있는 산이 얼마나 많은가.

전원적 삶을 누릴 권리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자연을 보존할 의무는 더 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아쉽기만 하다. 두 번째는 전원의 삶을 누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사업자들에 의해 선정되든 아니면 스스로 동호인들을 만들든 함께 무리 지어 모여든다는 사실이다.

겉으로 보면 그럴 듯하게 보이지만 사실 그것은 도시적 삶의 형태를 전원이라는 공간으로 이동한 데 불과하다.

전원이란 무엇인가? 이는 공간적 개념으로만 인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전원이란 바로 전원적 삶이 숨쉬고 있는 곳이며, 전원적 삶의 주체란 바로 지금까지 전원을 지키고 있던 농민들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전원적 삶의 주체들이 지켜 온 삶의 가치가 배어 있는 곳이 전원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원적 삶을 꿈꾸는 사람들은 이들이 지켜온 가치에 동화되는 것이며, 그들과 함께 숨쉬고 살아가면서 새로운 삶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런 생각 끝에 지난 여름 세월리로 가리라고 마음을 먹고 마을 노인회관 앞에 있는 부동산 소개소에 들렀는데, 마침 그곳은 공인중개사인 유형근(42세) 씨와 마을 이장인 심재준(42세) 씨가 마을 사무를 보고 있는 곳이었다.

거기에서 이장님께 나의 생각을 말한 후 동네 한가운데에 있는 대지 165평의 농가주택을 하나 소개받아 구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추석이 지난 후부터 철근 조립식 주택(40평, 사업주:융성건업, 대표:김학덕)을 지었다.

앞집은 2년 전에 안양에서 이사 온 임철승(43세) 씨가 살고 있었는데, 그는 두 자녀의 교육을 위해 도시에서 이곳으로 왔다고 했다. 대부분 자녀 교육 때문에 도시로 몰려가고 있는 세태에 비추어 볼 때, 그 마음이 너무나 세월리라는 이름처럼 맑고 아름다워 보인다.

세월초등학교 1학년인 동형(8세)이와 이제 7살인 동완이가 새침떼기 흉내를 내며 자라고 있는데, 그 애들이 나중에 다 자라면 얼마나 깨끗한 마음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겠는가.

심권(沈權, 1643∼1697) 이래로 청송 심씨 일가들이 이 마을에서 300년 이상을 살면서 만들어 놓은 따뜻한 인심과 애정은 집을 짓는 동안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모른다.

직장 관계로 매일 내려가지 못하는 데도 이장님이나 임철승 씨,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보여준 관심과 애정은 벌써 내가 이 마을 한가운데서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기에 충분했다.

이제부터 나는 이 마을에서 선조들로부터 내려오는 역사의 등뼈를 베개 삼고, 마을의 어른들과 주민들이 보내주는 따뜻하고 정겨운 인심을 이불 삼아, 전원 속에서 함께 호흡하며 살아가리라 굳게 다짐해 본다. 田

글 이기윤 <시인, 육군사관학교 교수>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나의 전원일기] 세월리(洗月里)로 간 까닭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