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고생하며 지은 집

정통 미국 방식으로 꼼꼼히 지은 2×4 2층 목구조주택


미국인 감독관은 아주 철저했다. 바닥 공사를 할 때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검사한 뒤 약하다는 이유로 대기하고 있던 레미콘 모두를 되돌려 보내고 다른 레미콘을 다시 불렀다. 이 감독관은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모든 것을 꼼꼼히 챙기면서 미국인들의 분명한 일 처리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었다. 치수의 정확성은 물론, 자재의 탈루, 부적격 자재에 대한 검증 등 여러면에서 정확했다.

이 집을 짓기까지의 지난 과정을 돌이켜 보면 참으로 우여곡절이 많았다. 얘기의 시작은 96년부터다. 전원주택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김환엽 이창례씨 부부는 쉬는 날이면 함께 수도권 주변을 돌며 땅을 보러 다녔다. 때로는 책을 사 보기도하고, 전원주택 전시회가 있으면 여기에도 빠짐없이 다니며 정보를 얻고 견문을 넓혔다.
그러나 관심을 가질수록 욕심이 생겼고, 당초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면서 가까이에 전원주택을 짓고 출퇴근하려던 계획 대신, 아예 모든 기반을 시골로 옮기기로 했다. 그렇게 해도 큰 문제가 없을 만큼 대안이 섰는데 바로 카페를 운영하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결국 지금 살고 있는 경기도 포천군 소흘읍 무림리 준농림전 2백평을 구입하고, 다니던 직장도 비슷한 시기인 97년 초에 그만두었다. 그러나 문제가 생겼다. 회사를 그만 두었으니 생계를 위해 뭔가를 해야했고, 그 일이 카페였으나 동네사람들의 반대에 부딪혀 일이 곤란하게 됐다. 이렇게 신청과 반려가 반복되는 가운데 하루는 마을 이장이 달려와 일반주택으로 신청할 것을 권고했는데, 사실 당시로서는 일반주택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었다. 결국 30평 규모의 일반주택을 짓기로 하고 전용허가 신청을 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생겼다. 전용허가 면적이 건폐율의 세배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 결국 그렇게 따진다면 30평 주택을 지을 경우 90여평 정도만이 전용된다는 얘기였고, 1백10평 정도는 내 땅으로 등기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였다.

이 모두가 3백3평에서 한참 못 미치는 2백평 짜리 준농림지를 구입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었다. 결국 2백평 모두를 전용 받아 내 땅으로 등기하기 위해선 건축면적을 늘릴 수밖에 없었는데 적어도 70여평은 되어야 2백평 모두가 전용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왔다.

그러나 당시로써는 어쩔 수 없는 노릇이었다. 결국 다시 설계 변경 신청을 해서 주택을 55평으로 늘리고, 창고와 옥외 화장실을 추가해서 건폐율 29.9%를 간신히 맞추었다. 어렵사리 전용허가를 받고 이제는 집 지을 차례가 되었다. 여기서 떠 오른 생각이 새로운 사업 구상이었다.

직접 자재를 수입해 집을 지으면 경비를 줄일 수 있고, 또 카페 운영이 어려워 졌으니 이번 기회에 건축업에 뛰어들어 보겠다는 생각이었다. 이 계획은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했다. 몇 차례 미국을 드나들며 모든 준비를 끝내고 신용장 개설까지 마쳤다. 미국 목조주택협회도 가고 미국의 동부 ,중부, 서부 등 3개 협회도 시찰하는 등 꼼꼼히 준비하며 이미 일부 자재도 들여와 집을 짓는 중이었다.

그러나 또 문제가 생겼다. 이번엔 아주 심각한 문제였다. 그해 12월 생각지도 않았던 IMF관리체제라는 것이 등장하면서 모든 것이 일순간에 바뀌어 버렸다. 천정부지로 뛰어 오르는 환율 앞에 치솟는 자재값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당초 같이 주택사업을 해보기로 했던 사람들도 엄청난 환난의 위력 앞에 뿔뿔이 흩어졌고 주택사업은 아예 없던 일이 되어 버렸다.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아찔한 순간이었다.

그러나 일단 일을 벌려 놓았으니 아무런 대책도 없이 중도에 그만두기엔 눈앞의 손해가 더욱 막대했다. 결국 혼자서라도 강행하기로 하고, 건축을 진행 했다. 건축은 직접 짓기로 했는데 2×4 미국식 목조주택을 지어 모델하우스로 활용하기로 했다.



설계는 미국에서 들여온 설계 원안에 우리나라식 특징을 가미해 약간의 수정을 거쳤다. 자재 역시 기본적인 자재에서부터 내외장재, 마루판, 샤워부스, 물받이, 못까지 미국 현지에서 들여왔다. 이 공사에는 미국 현지에서 온 감독관과 국내 목조주택 전문목수 3명이 투입됐다.
건축방법은 확정된 설계에 따라 미국 현지공장에서 벽구조, 지붕구조 등 모두 58개 파트로 미리 제작해 국내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방식이었다.

미국인 감독관은 아주 철저했다. 바닥 공사를 할 때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검사한 뒤 약하다는 이유로 대기하고 있던 레미콘 모두를 되돌려 보내고 다른 레미콘을 다시 불렀다.

이 감독관은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모든 것을 꼼꼼히 챙기면서 미국인들의 분명한 일 처리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었다. 치수의 정확성은 물론, 자재의 탈루, 부적격 자재에 대한 검증 등 여러면에서 정확했다.

어려운 과정을 거쳤지만 그래도 집은 완성됐다. 실내 구조는 1층의 경우 방 2개와 거실, 주방, 화장실, 드레스룸, 테라스 2층은 방 3개와 화장실, 라운지 등으로 구성됐다. 연건평은 87평으로 1층이 57평, 2층이 30평으로 기본적인 건축비는 평당 3백만원 정도가 소요됐다.

살림집 겸 모델하우스가 비로소 마을 한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한동안의 시련이 일단락 지어지는 감격적인 순간이었다.田

글·사진 류재청

기초공사
1. 바닥공사: 200mm 자갈 깔기, 100mm유공관 매설(지하수흡수→하수관으로 연결)
비닐커버링(비닐덮기), 400mm 철근 콘크리트 타설
2. 콘크리트 옹벽공사: 200mm철근 콘크리트 줄기초 세움, 외벽에 아스팔트
에멀젼(유액) 및 Polethyene Cervering(방수용)

바닥구조(Floor Structure)
1. 대들보: 2×12″ 및 2×14″ 집성목 대들보(Laminate Girder)를 위에 설치.
#(2등급)Garde Marked, Kiln Dried
2. 장선: 2×10″ 장선(Floor Joist)을 16″(40㎝) 간격으로 대들보 위에 설치.
#1AND 2#(1,2등급)Garde Marked, Kiln Dried, Yellow Pine(북미산 소나무)
3. 바닥: 23/32″(19mm), Georgia-Pacific사 Oriented Strand(O,S,B)합판을
장선 위에 얹고 마감처리.

외벽체 및 내벽체(Exterior& Interior Wall)
깔판: All Plates(콘크리트 위 깔판목)to be 2×4″, Kiln Dried, Spruce-Pine-Fir Bearing Wall
(내력벽) tobe Double, Teiple and furthermore Studs(2겹, 3겹, 다중겹)
단열재: 3/4″(19mm) 우레탄 폼 패널 덮개(Urethane foam Panel Sheathing)
외벽체: 7/16″(11mm), Geogia-Pacific사 O,S,B Sheathing, Dupont사 Tyvek Leaf (습도조절용 덮개)

지붕(Roof)
1. 지붕구조: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트러스 구조(Prefabricated Trusses)를 크레인으로 조립.
2. 덮개: 7/16″(11mm), Georgia-Pacific사 O,S,B Roof Sheathing(덮개)
3. 방수지: Georgia-pacific사 #15 Asphalt Felt(아스팔트 먹지 방수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정통 미국 방식으로 꼼꼼히 지은 2×4 2층 목구조주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