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해 온 중년의 도시인들 중 상당수가 은퇴 후 전원으로 이주를 바라고 있다. 그 이유로 도시생활에 대한 염증과 고향을 그리워하는 향수병鄕愁病을 꼽는다. 하지만 도시에서 오랜 기간 일가一家를 이루고 경제 기반을 닦아 왔기에 ‘도시여 안녕’하면서 선뜻 전원행을 택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직장 출퇴근 문제까지 겹치면 전원행은 먼 훗날의 이야기가 되고 만다. 곽동수(54)·박경란(53) 부부는 오랜 기다림 끝에 금년 7월 1일 대구의 아파트에서 고령가야의 역사 향기 짙은 고령군 운수면 월산리에 36평 단층 ALC 주택을 지어 이주했다. 이들 부부가 전원에서 알콩달콩한 삶을 누리기까지 그 과정을 들여다보자.




건축정보

·위 치 : 경북 고령군 운수면 월산1리

·대지면적 : 278평(사용 가능 대지, 약 240평)

·건축면적 : 36.17평

·건축형태 : 단층 ALC 블록 주택

·외벽마감 : 시멘트사이딩 + 드라이비트

·내벽마감 : 종이벽지, 실크지

·천 장 재 : 서까래 노출 + 원목 루바 + 벽지

·지 붕 재 : 아연도 금속기와

·바 닥 재 : 강화마루, 장판

·창 호 재 : 시스템 창호

·난방형태 : 심야전기보일러

·시공기간 : 2006년 4월∼6월

·건 축 비 : 평당 280만 원

시 공 : 대림ALC주택 1544-4460

www.alcdl.com




전원생활 새내기 곽동수·박경란 부부가 싸이월드 미니 홈피(http://www.cyworld.com/kds7277)에 올린 ‘게시판’과 ‘사진첩’에서는 전원에서의 아기자기한 삶이 묻어난다. 게시판 장막帳幕에는 기초부터 벽체, 천장, 내·외장 마감공사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시공 과정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소개했다. 또 사진첩에서는 곽동수 씨가 부인 박경란 씨를 위해 땅을 갈며, 고향인 청도에서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농사일을 좀 거들었는데 이젠 괭이질 몇 번에 땀이 비 오듯하고 숨은 턱까지 차 오르는 엉터리 농부라고 자평自評한다. 한편 박경란 씨는 남편이 일군 밭에다 오이, 호박, 가지, 깨, 열무 등 욕심껏 다 심어 놓았는데 어느새 싹이 돋고 열매까지 맺었다며 마냥 신기해한다.

대구 왜관의 ○○미군 부대에 근무하는 곽동수 씨는 나이 40을 넘어서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전원생활을 꿈꾸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연년생인 병훈(현 28세, 현대로템)·병욱(현 27세, 삼성SDS) 군의 교육 문제와 서울에서 나고 자란 부인의 시골 생활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 꿈을 50대 후반으로 미뤄야 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른 2005년 가을, 작은아들이 대학 졸업 전에 취업하면서 가슴에 고이 접어 둔 전원생활에 대한 꿈을 끄집어냈다. 부인도 남편이 전원생활을 간절히 원하자 이번에는 두 손을 들었다고.



꿈-축복 받은 땅을 찾아서



이 마을은 배산임수背山臨水 형국인데다 남향받이로 선무당의 눈에도 예사롭지 않다. 뒤로는 너른 들녘을 향해 제법 위용을 갖춘 산세가 흘러내리고, 앞으로는 풍류객風流客들이 시를 읊조리던 가야산 백운동계곡에서 발원한 후암천이 농토를 질펀하게 적신다. ‘땅에는 임자가 따로 있다’고 했던가! 아무런 연고도 없는 안온安穩한 곳에 부지를 마련했으니. 곽동수 씨는 입지를 선정할 때 출퇴근 거리와 진입 여건, 신앙 생활 등을 중시했다고.

“처음엔 집안 어른들이 계신 청도 쪽의 땅을 살폈는데 직장과 거리가 너무 멀어서 포기했어요. 이 마을은 윗동네(덕곡)가 고향인 친구를 따라서 몇 번 지나치며 본 곳으로 그때마다 참하다고 생각했지요. 또 대구에서 넉넉잡고 30분 안팎 거리라 출·퇴근하기에도, 인근 88고속도로 성산나들목은 경부와 구마, 중앙, 중부내륙고속도로하고 가깝기에 아이들이 주말에 찾아오기에도 편하겠다 싶었죠. 무엇보다 100년 전통을 지닌 월산교회가 바로 옆이라 마음에 들었고요.”



그러나 완벽한 터는 없는 법. 낡고 작은 한옥이 있던 이 땅도 마을회관과 구옥舊屋이 앞을 가려 전망이 없다는 게 흠이다. 더욱이 대지 278평 중 38평이 마을회관에 잠겨 있기까지 하다. 그럼에도 이들 부부는 2005년 10월 대지 278평을 평당 19만 원에 매입했다. 마을회관에 잠긴 땅은 그렇다 치더라도 구옥은 시간을 두고 사들이겠다는 의도에서였다. 박경란 씨는 그보다 외지인에 대한 텃새가 심하지 않을까 내심 걱정했다고.

“마을이 의성 김씨 집성촌이라 그 한가운데 집을 짓기가 만만치 않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성역화된 마을이라 그런지 텃새는커녕 오히려 젊은 부부(?)가 들어온다며 다들 좋아했지요. 부지 마련 후 종종 월산교회를 찾아 예배를 드릴 때는, 이 마을에서 최고 부잣집이 있던 터라며 잘 될 거라는 덕담까지 들었는걸요.”



시행착오-ALC 구조는 그 공법에 맞는 설계를



이 주택의 설계는 전원주택이 아닌 집합건물 전문 건축사가 맡았다. 곽동수 씨는 설계와 시공 업체가 달라야 건축물의 품질이나 책임 소재가 분명해진다는 판단에서였다고.

“건축도 그 과정이 세분화되다 보니 분야별 전문가가 있잖아요. 그래서 당초 설계와 골조 시공, 인테리어로 나누어 각기 전문가에게 맡기기로 했지요. 설계할 때는 노후를 생각하고 들어왔기에 단층에다 우리 부부와 어머니 그리고 아들이나 손님이 찾아왔을 때 묵을 방 그렇게 3개를 요구했고요. 집사람이 주방과 욕실은 현대식 아파트 구조를 원했지요.”



부지는 옆으로 긴 장방형이기에 정원을 시원스럽게 꾸미고자 집은 방풍防風을 겸한 대숲 가까이 배치했다. 그로 인해 정원은 물론 우측에도 60여 평의 텃밭이 만들어졌다. 내부는 거실과 주방 겸 식당을 사이에 두고 사적 공간을 동서로 나누어 사생활을 보호하는 형태다.
옥에 티라고 해야 할까? 곽동수 씨는 전원주택 경험이 없는 건축사가 ALC가 아닌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염두에 두고 설계했기에 외관이 단조롭다고.

“좌향이나 평면, 입면 배치 등의 설계를 뽑은 다음에 ALC 구조를 선택했지요. 나중에야 ALC 구조, 특히 전원주택은 그에 맞는 전문 설계가 필요하다는 걸 알았어요. 원래는 밋밋한 박스 형태였는데 대림ALC주택(대표이사 박찬구)에서 ALC 자재에 맞추어 외벽과 지붕에 시각적으로 변화를 주어 그나마 나아졌지요. 처음부터 ALC 전원주택을 전문으로 설계하고 시공, 인테리어까지 겸하는 대림ALC주택을 만났다면 비용을 상당히 절감했을 거예요.”



행복-주민들 관심 속에 지은 집



곽동수·박경란 부부는 부지 마련 후 목구조 흙집을 지으려고 했다. 그런데 만만치 않은 비용과 벽이 갈라져 살면서 손이 많이 간다는 게 맘에 걸렸단다. 차선책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염두에 두고 설계까지 마친 상태에서 ALC 소재를 알게 됐다고.

“ALC 구조는 대중화되지 못했기에 반신반의半信半疑했는데 시공 현장과 몇 채의 주택을 답사하면서 친환경 주택으로 살기에 적합하다는 확신을 가졌지요. 경산에 소재한 대림ALC주택은 자재를 생산하는 쌍용ALC에서 ‘시공 기술이나 실적 면에서 앞서 있다’며 추천해 주었고요. 건축백화점을 방불케 하는 대림ALC주택을 방문했을 때 ALC 자재의 특성과 시공 과정 그리고 건축비 산출에 대한 설명을 듣고는 그 자리에서 계약을 했어요.”



이들 부부는 대림ALC주택에서 제시한 기본 사양에다 몇 가지를 추가시켰다. 원래 설계도면의 거실 천장은 우물 반자였는데 개방감이 들도록 박공 형태로 그리고 이미지 서까래를 형상화하여 그 위에 까는 개판蓋板을 원목 루바로 바꿨다. 이 주택은 주민들의 관심 속에서 지어졌다. 생긴 것은 마치 시멘트 블록인데 톱으로 쓱싹 자르고 짜 맞추니 어느새 벽체가 올라갔기 때문이다.

곽동수 씨가 대림ALC주택의 시공 기술이 너무 맘에 들어 자신의 미니 홈피에 사진과 함께 올린 ‘건축일지’의 간략 시공 과정을 살펴보자.



05년 11월 10일, 계약 후 기존 주택 철거. 05년 12월, 정지 작업 전에 아들과 함께 감나무 제거. 매주 토요일마다 당시 서쪽 마당에 무성한 대나무 제거 및 소각. 겨우내 작업을 통해 집터가 제 모습을 갖춤. 06년 3월 25일부터 3월 27일, 포크레인을 동원해 마당 뒤쪽 축대 공사 마침. 06년 4월 3일 착공, 줄기초 작업 시작 후 다음과 같이 6월 26일 주택 완공. 줄기초 후 바닥 콘크리트 타설 → ALC 블록(200㎜) 벽체 조적 작업 → 지붕 공사, 크레인으로 ALC 패널(170㎜) 덮음 → 상량식 → 외장 마감 후 시멘트 사이딩 부착 준비 → 지붕 공사, 금속기와 시공(내부 마감 공사 동시 진행) → 완공.

희망-전원생활에 매혹된 초보 농군(?)



곽동수·박경란 부부는 주택 완공 후 닷새 만인 7월 1일 비 오는 날 입주했다. 곽동수 씨는 앞으로 펼쳐나갈 전원생활과 생애 처음으로 내 집을 지었다는 기대감 때문이라고.

“여느 신축 건물 같으면 눈과 코를 자극하는 쾨쾨한 냄새 때문에 그렇게 빨리 입주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을 거예요. 유난히 무더웠던 이번 여름은 어땠고요. 대구 아파트에서는 에어컨 없이는 하루도 견디지 못했는데 여기선 그렇지 않았어요. 외출했다 돌아와도 집 안이 상쾌해 에어컨은커녕 선풍기도 없이 여름을 났으니까요. ALC주택에 사는 사람들이 냉·난방비 걱정 없이 여름과 겨울을 난다고 했는데 괜한 말이 아니더라고요.”



곽동수 씨는 이곳에서 왜관까지 대구보다 출퇴근 거리가 4킬로미터 더 멀지만 시간상 큰 차이가 없다고. 오히려 포장이 잘 된 농로를 가로질러 산을 넘어 출퇴근하는 길이 한갓지고 운치 있어 좋단다. 그러면 시골살이가 처음인 박경란 씨는 어떨까.

“양지바르고 공기 맑아 맘껏 빨래를 널거나 장독을 열어 놓을 수 있어 좋아요. 60평 텃밭에다 욕심껏 심은 푸성귀들이 자라는 걸 보면 마냥 대견스럽고 신기해요. 이른 아침 닭이 홰를 치는 소리며 바람결 댓잎의 사각거림 그리고 잔디밭을 제 집처럼 날아드는 새들… 여기에 매혹돼 사람들이 전원생활을 꿈꾸는 게 아닌가 싶어요. 어느 날 천연덕스럽게 않아 있던 청개구리는 어땠고요.”



올해는 때를 놓쳤지만 내년에는 밭에다 종류대로 온갖 것을 다 심을 거라는 박경란 씨. 그 옆에서 남들이 무늬만 농군이라 놀리겠다며 웃음 짓는 곽동수 씨. 전원에서 이들 부부가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삶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잔디가 막 뿌리내리기 시작한 마당에는 머지 않아 손자손녀들이 할아버지 할머니를 부르며 뛰어다닐 것이다.田




글 ·사진 윤홍로 기자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새내기 농군이 펼치는 알콩달콩 전원생활 고령 36평 단층 ALC주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