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나는 산촌이 좋다. 평야보다 서늘하고, 숲이 있어 정신이 맑아지고, 추운 날이 많아 할 일 없이 쏘다니지 않고, 집에서 마음 가다듬고 삶을 음미할 수 있어 좋다. 또 추운 덕분에 마당에 쌓인 눈도 쓸고, 장작도 패고, 해야만 될 일들이 있어 비교적 건강하다. 제일 좋은 건 오래된 나무며 바위의 묵직한 기운을 받아서 경거망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벽난로 온돌방》 중에서


치악산 줄기를 따라 에돌아 난 길섶에 희끗희끗 보이는 잔설이 산촌임을 느끼게 한다. 농가 몇 채가 옹기종기 모인 한적한 나래실마을에 이르자 남향받이 산중턱에 아스팔트 슁글을 머리에 인 토담집이 모습을 드러낸다. 도중에 길을 잘못 든 탓에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굴뚝 연기가 여간 반갑지 않다. 군더더기라곤 찾아볼 수 없는 수수한 토담집, 발명가 이화종 씨의 살림집이다.

아담한 마당은 일찌거니 먼 길을 마다 않고 찾아온 사람들의 차가 차지하고 있다. 이화종 씨와 얘기를 나누는 중에도 전화벨은 쉼 없이 울려 댄다. 한 번 때면 일주일 가는 ‘벽난로 온돌방’이 시쳇말로 떴음을 실감하게 한다.



산촌 토담집에서 느끼는 인생의 단맛

이화종 씨가 귀농한 것도 토담집을 지은 것도 벽난로 온돌방을 발명한 것도, 그 바탕에는 부정父情이 짙게 깔려 있다. 그는 아들의 뇌성마비를 고치고자 병원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대체의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귀농을 결심했다. 그는 당시의 심정을 이렇게 말한다.

“37살에 장가가서 얻은 뇌성마비 아들을 안고 많이 헤맸지요. 결국 나 자신이 예수와 석가가 되어야 아들 병을 고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산촌에 들어왔으니까요.”

그는 벽체 두께가 50센티미터나 되는 22평 토담집을 한국자연건강회 회원들과 5년간 한 달에 한 번씩 건강에 좋다는 전국의 주택을 찾아다닌 것을 계기로 지었다.

“예나 지금이나 토담집은 흔치 않은데 당시 안동 하회마을의 다 쓰러져 가는 토담집이 한 채 있다고 하기에 답사에 나섰죠. 한여름이라 반소매 차림으로 그 집 안에 들어가 보니 소름이 돋을 정도로 추웠어요. 황토 벽체에 무수히 많은 미세한 구멍으로 공기가 안팎으로 소통하면서 습한 기운을 빨아들이고 신선한 기운을 뿜어낸 거예요. 그때 건강을 위해 그만한 집도 없겠다 싶어 우리 집을 토담집으로 짓기로 했지요.”



이화종 씨의 토담집에 들어가면 마치 황토 굴에 들어온 듯하다. 황토는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는 토기운土氣運에 속하고 오장육부五臟六腑로는 비위脾胃에 속하며 오미五味로는 단맛〔甘〕에 속한다. 그렇기에 그는 자신의 토담집을 기운(영양)의 보고寶庫라고 말한다.

“요즘 사람들이 흙을 멀리하다 보니 누추한 것(겸손)을 모르고 속이 좁아 너그럽지 못해 신경질적으로 변하는 거예요. 토기운인 비위가 약하면 구역질이 나고 위장이 약하면 만사가 귀찮아져 성격에 모가 나기 때문이죠. 흙집에서 살면 인체의 위장에 밥 한술이 들어가서 혈액〔血氣〕으로 나오는 것과 같아요. 또한 토기운은 단맛에 해당하는데 이곳 산촌 즉, 자연의 품에서 느끼는 단맛은 세상의 어떤 고통도 씻어 주고 인생의 참맛을 알게 하지요. 그게 진짜 단맛이에요.”



인체 오장육부를 닮은 벽난로 온돌방

이화종 씨의 토담집에는 불을 때는 아궁이가 집 밖이 아닌 집 안에 있다. 한 번 불을 때면 온기가 100일 동안 간다는 지리산 칠불암의 선방禪房인 아亞자방을 떠올리며 인체 오장육부를 본떠 만든 바로 벽난로 온돌방이다. 그러면 온돌과 인체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의 설명이다.

“공기 구멍은 인체의 코로 막히면 답답해 불완전 연소를 하고, 아궁이는 입으로 많이 먹으면 토하듯이 연기만 나오고, 장작은 음식으로 국물이 많으면 소화가 안 되듯이 젖은 나무는 잘 타지 않고, 복부는 연소실로 속이 좁고 냉하면 영양 실조에 걸리지만 넓고 훈훈하면 불이 잘 타고, 창자는 고래로 길고 맑아야 장수하듯이 축열이 잘 되고, 항문은 굴뚝으로 치질과 변비에 안 걸리려면 그을음에 막히지 않아야 하지요.”

언뜻 옆으로 눕힌 벽난로와 편평한 침대처럼 보이는 벽난로 온돌방. 굴뚝으로 연기가 잘 빠지는 방법을 찾아 아궁이를 거실 내에 두었으므로 벽난로 역할을 겸하는 셈이다. 즉 아궁이의 불을 끄집어내면 벽난로가 되고, 밀어 넣고 문을 꼭 막으면 함실(부넘기 없이 불길이 그냥 곧게 고래로 들어가는 아궁이 구조) 온돌이 되는 것이다.

난방 기구는 대부분 실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입해 연소하거나 공기의 대류를 이용하므로 환기를 안 하면 머리가 아프다. 벽난로 온돌방도 실내에서 불을 때는데 산소 부족으로 머리가 아프지 않을까?

“서양식 벽난로는 실내 산소를 빼앗는 강도지만, 벽난로 온돌방은 신선한 공기를 흡입해 완전 연소시키고 복사 난방(실내 공기를 돌리지 않음)이므로 맑고 상쾌해요.”

벽난로 온돌방은 불을 많이 땐 첫날은 찜질, 다음날은 좌욕, 다음은 온돌이 된다고 한다. 열기가 오래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구들장과 흙 두께를 두껍게 하고 구들 고래를 성글게 채워서 축열 효과가 높아요. 또한 아궁이가 거실 내에 있으므로 외부 냉기에 접촉하지 않고 철문으로 틈 없이 막으면 열기가 빠져나가지 못하지요.”




피부처럼 살아 숨쉬는 토담집

이화종 씨는 집 짓는 요령은 피부를 가꾸는 것과 마찬가지라면서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는 피부에 접해도 거부감이 없는 흙과 나무를 재료로 쓰고, 둘째는 피부처럼 공기가 들락거려야 하고, 셋째는 인체의 눈·코·귀·입·항문처럼 집에도 구멍이 많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떤 흙이 집 짓기에 좋을까? 사실 이것은 황토집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 대부분의 궁금증이기도 하다. 의외로 이화종 씨의 대답은 간단하다.

“집터나 그 주위에서 나온 흙이 제일 좋아요. 그러한 흙은 그곳의 자연 흐름〔氣〕을 담고 있기에 터를 닦고 살려는 사람하고도 잘 맞으니까요. 우리 집도 비탈진 터를 다듬을 때 나온 흙으로 지었어요. 거름기를 머금어 거무튀튀한 겉흙을 20센티미터쯤 걷어 내고 속에서 나온 누렇고 뽀얀 원래의 흙으로요.”

종종 건강하게 살고자 황토집을 지었다면서 집 안을 온통 실크벽지로 마감해 놓은 경우를 접한다. 마치 랩(Wrap)으로 감싼 듯한 그런 집에서 건강을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이화종 씨는 황토집은 살아 숨쉬는 생명체이기에 그 자체가 인위적인 마감재를 거부한다고 강조한다.

“집은 밤에 편히 쉬는 곳이지요. 여기서 쉰다는 말은 낮에 활동하느라 몸에 쌓인 노폐물을 호흡하면서 빼낸다는 거예요. 황토 벽체는 그런 노폐물을 흡수해 정화시켜 주지요. 피부처럼 수많은 공기 구멍으로 숨을 쉬면서요. 그렇기에 거기에다 실크벽지를 바르면 황토집의 숨통을 옥죄는 것하고 다를 바 없지요. 결로結露가 생겨서 실크벽지가 들뜨는 것도 황토 벽체가 숨을 제대로 못 쉬기 때문이에요.”

황토집에 사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전날 과로나 과음을 해도 그 이튿날이면 몸이 개운하다고 한다. 황토집에서는 숙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화종 씨.

“밀폐된 공간에서는 숙면을 못 취하기에 자명종이 시끄럽게 울려 대도 아침잠에서 깰까 말까 하는 사람이 있지요. 피곤이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땐 자명종 대신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게 창문을 조금만 열어 두면 금방 일어나요. 황토집에서 자고 일어나면 몸이 개운하다는 말은 안팎으로 공기 흐름이 원활하기 때문이에요.”

사람들은 으레 보기 좋고 살기 좋은 집을 찾는다. 과연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켜 주는 집이 있을까? 이화종 씨는 몸이 고달프면 마음이 편하고, 몸이 편하면 마음에 고민이 많다는 말로 운을 뗐다.

“자연을 닮아서 있는 듯 없는 듯해야 살기에 좋은 집이지요. 마치 오래 사귄 친한 벗처럼 말예요. 집의 외형에 너무 신경을 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田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만난 사람] 한 번 때면 온기가 일주일 가는 벽난로 온돌방 발명가 이화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