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30여 명의 주민이 사는 평화로운 해망산 마을. 이 마을 아주머니들은 뭬링 씨네 집 앞을 지나가면서 ‘앞으로 나란히’ 밭이라고 우스개 소리를 한다. 원리원칙을 중시하는 독일인 뭬링 씨가 자로 잰 듯하게 밭고랑을 만들고 채소들을 구획해서 심은 것을 보고 하는 말. 어디 밭뿐인가. 은퇴 후 시골에 내려와 엉겁결에 영어선생님이 된 인골프·재키 부부는 농작물 관리 뿐 아니라 아이들의 영어 교육에도 열정을 쏟는다. 게다가 10만의 시 인구보다 20배가 훌쩍 넘는 관광객들이 몰려드는 보령머드축제에서 통역관으로 봉사활동 하는 등 전원에서 더욱 바빠졌다.

글·사진 박지혜 기자


보령시 소재 관창초등학교의 정규 수업이 다 끝난 방과후 수업 시간. 재키 선생님과 인골프 선생님이 베개를 사이에 두고 영어 대화 시범을 보이면 그걸 지켜보고 있던 아이들이 리듬을 타면서 영어 문장을 따라 말한다. 이 학교 방과후 교실에서 진행되는 영어 수업은 특별한 데가 있다. 지도 교사가 한 명이 아닌, 원어민과 통역이 가능한 한국인 두 사람. 게다가 이들은 부부. 인골프 뭬링(Ingolf Moehring, 68세)과 재키 김 뭬링(Jackie Kim Moehring, 50세) 부부다.



부부가 함께하는 ‘1+1’ 방과후 영어수업

뭬링 씨 부부는 인골프 뭬링 씨의 정년 퇴직과 김자경(재키 김 뭬링의 한국이름) 씨의 이른 은퇴 후 여유를 부리려고 2005년 한갓진 전원으로 내려왔다. 그런데 예정에도 없던 새로운 항로가 생겨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작지 않은 텃밭 돌보는 일만도 농사일에 초심자인 이들에게 숨 가쁜데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뛰놀기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새로운 언어를 가르친다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 지난해 관창초등학교 측에서 의뢰가 들어와 처음 방과후 수업을 맡게 되었을 때만 해도 소일 삼아 하는 일쯤으로 여길 수 있었는데 어느새 보령 지역에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 여기저기서 요청이 들어와 지금은 주 5일 오후 시간은 모조리 학교에서 보낸다. 유치원 2개, 초등학교 4개, 중학교 1개, 이렇게 해서 무려 주 21시간 수업을 진행한다.




“월요일은 가장 바쁜 날이에요. 아침에 일어나 밭일을 하고 늦은 아침을 먹은 다음 학교로 가요. 1시 10분부터 수업 시작해서 50분씩 4타임을 마치고 나면 와-, 그때서야 한 숨 돌릴 틈이 생기죠. 다시 집에 와서 남은 일을 하고 남편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고-, 그러면 하루해가 후딱.”

어쩌면 김자경 씨만 방과후 수업을 맡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김 씨는 처음 수업의뢰가 들어왔을 때 “We will do”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남편과 함께 하겠다는 말이었지요. 그런 전례가 없었기에 학교 측에서는 의아해했어요. 그러나 나는 남편과 함께가 아니라면 정중히 거절한다고 했어요.”

김 씨 설명대로라면, 한국 남성은 은퇴 후 가정에서 지내는 시간이 갑자기 많아지면서 가정사를 도맡아 하는 여성보다 작아지는 느낌을 줄 때가 더러 있다. 영어를 가르치러 외출하고 난 후 혼자 있을 남편을 생각하니 함께 다녀야겠다는 생각이 간절해졌고 학생들에게도 원어민을 접할 기회를 주는 편이 교육 효과도 좋을 것이라 생각된 것.

전체적인 진행은 재키가, 정확한 원어민 발음과 문장 구사력은 인골프가 책임진다. 김 씨는 부부가 함께 진행하는 자신들의 수업 형태를 두고 “‘1 더하기 1’, buy one, get one. 요즘 마트에 가면 하나 사면 하나 더 드려요 하는 마케팅 전략처럼 서비스예요”라며 유머를 섞는다.

"We love Jackie & Ingolf!"

뭬링 씨 부부가 이곳 보령시와 시내 학교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여름 대천해수욕장 일대에서 열리는 국제 머드축제. 지난해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통역 봉사활동을 벌여오면서 유명인사로 소위 ‘뜨게’ 된 것이다.

알음알음 몇몇 학교에서 아이들 영어 수업을 맡아 달라는 요청이 들어오고 개인교습 요청도 있으나 죄다 ‘Ok’ 할 수 없는 터. 주로 1차 산업이 중심을 이루던 이곳 보령도 교육·서비스 산업 분야가 차츰 개발돼 인구 밀집지역인 대천동 중심으로 사설학원이 많이 생겨났고 원어민 영어강사도 15여 명이 들어와 있다고 한다. 반면 외곽지역은 여전히 사교육 혜택에서 소외됐다. 이런 점을 고려해 뭬링 씨 부부는 사설학원 이용이 어려운 외곽 지역 학교 중심으로 가르치기로 마음먹은 것.

전원에서 소일거리로 하는 일이라고 보기에는 투자하는 시간이나 전문성을 따져보았을 때 이미 일정 수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직업을 가진 것과 다름없다. 때로는 아이들이 잘 따라주지 않아서 가르치는 보람보다는 힘겨울 때도 있지만 부부는 소명감으로 마음을 다잡는다.

왜 미운 아이 예쁜 아이가 없겠는가. 선생님이 앞에서 열심히 말하는데도 딴 짓하는 아이, 멍하니 의무적으로 앉아있는 아이, 그런 가운데 집중력 있게 수업에 참여하는 아이는 불과 20~30%에 불과하다. 맨 후자 아이들 덕분에 힘이 나고 특히 초등학교 6학년생들은 마치 스펀지처럼 수업내용을 흡수해 가르치는 재미가 더하단다.

최근에 이들 부부 선생을 우쭐대게 한 일이 있었다. 모 텔레비전 방송에서 뭬링 씨 부부가 소개된 후로 “우리 아이들 졸업할 때까지 가르쳐주셔야 돼요”하는 학부모가 있는가 하면 어떤 학부모는 “아들이 영어학원에 안 가려고 해요, 학교에서 인골프 재키 선생님한테서만 배워도 된다고 하네요”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럴 때는 구름이 고이지 않는다는 청명한 보령의 하늘 끝까지 가슴 벅차오르는 기분이랄까.





함부르크 원칙주의자가 보령에는 왜?

“한국은 제게 특별해요. 정이 많이 들었어요.”

독일 함부르크 태생의 인골프 뭬링 씨가 한국에는 어쩐 일로 왔을까?
뭬링 씨가 한국 땅을 처음 밟은 것은 1974년. 당시 현대가 조선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독일의 조선 기술을 한국으로 전파하는 역할을 조선 엔지니어였던 그가 담당했다. 그 후 한국에 머물기도 떠나기도 하다가 88년부터 지금까지 정착하게 되었다. 그에게 한국은 제 2의 고향.

그는 현대 조선이 세계 최대의 중공업 회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봐 왔고 반도체와 IT 산업 분야 등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한 축을 이룬 산업 분야에 지속적으로 헌신해 왔기에 한국에 대한 감회가 남다르다.

그러니 노후 정착지로 뭬링 씨의 고향이 있는 독일을 비롯해 캐나다 필리핀 등지를 고려하다가도 가장 마음이 이끌리는 곳이 한국이 된 것. 지역은 두 번 생각할 것도 없이 만세지萬歲地(산 좋고 물 맑아 대대손손 평강을 누리며 산다 하여 예로부터 보령을 일컬을 때 쓴 말) 보령. 지난 10여 년 동안 주말이면 잠시 쉬었다 가던 휴식처다.


농사일, 자연에게서 배우는 참된 행복

김자경 씨는 동이 트면 으레 텃밭으로 직행한다. 부모가 자식의 방문을 열어 ‘잘 잤니?’ 하고 아침인사 하는 것과 같다.
텃밭에는 부추 대파 샐러리 무 딸기 호박 배추 고구마 등등 농작물이 끼리끼리 모여 아주 제대로다. 농사일을 처음 해 보는 사람의 솜씨 같지 않게 밭 정리도 잘 돼 있고 작물도 튼실해 보인다.

도시에서 해외 바이어들과 협상은 할 줄 알았지 농사일에 전혀 문외한이었던 김 씨는 농업기술센터에서 여러 가지 농법을 배워 농약을 일절 쓰지 않고 미생물 비료도 직접 만들어 작물을 튼튼하게 길러내는 방법도 안다. 농작물에서 나오는 쓰레기와 음식 찌꺼기도 그냥 버리지 않고 잘 섞어 퇴비로 만들어 쓴다.

땅을 갈아엎고 심는 방법, 심는 시기 등도 마을 사람들이 슬쩍 흘리고 가는 정보를 주워다 그대로 따라한다. 이웃 할머니가 ‘뭐 심어야지~’ 하면 아 그렇구나 하고 따라서 심고 ‘이것 갖다 심어봐’ 하면 그대로 해 본다. 그러면 처음이라도 실패는 면할 수 있다.

주변의 도움을 받아가며 3년째 농사를 그럭저럭 해내고 있다는 김 씨는 “처음 하는 건데 농작물이 잘 크니 운이 좋지요” 한다. 농사를 지어보니 사람이 하는 일은 일부분에 불과하고 자연이 다 알아서 한다는 그의 말. 농사일이 삶의 진리를 일깨워주었단다.

“커리어 우먼으로 살 때는 일에 대한 성취감이 곧 행복인 줄로 착각하고 살았어요. 그런데 이곳에서 참된 행복이 어떤 것인지 깨달았어요. 농사일을 해보니 자연에게 감사하게 되고 자연에게서 배우는 게 많아요.” 또 전보다 느긋하고 여유로움을 즐길 줄 알게 되었다.

차고 안에는 어제 캐낸 싱싱한 고구마가 박스째 발송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고구마 무 배추, 땅에서 난 것들을 박스에 잘 포장해 서울 가족들에게 보낸다. 힘들여 농사지은 걸 애써 포장해 보내는 것이 수고로워 보이는데, 나눠먹는 재미가 여간 쏠쏠한 게 아니란다. 그러고 보면 나누는 즐거움 또한 이곳에서 새롭게 얻은 행복이다. 田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만난 사람] 은퇴 후 시골 영어선생님 된 인골프, 재키 부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