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동물 소리 내는 신기한 나무피리를 수제작하며 아내와 단 둘이서 황토집을 짓는 사람이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을 때 단순히 ‘기인이다’ 싶었다. 그러나 인적 드문 봉화군 법전면 소천리, 그의 건축 중인 집을 방문하고 악기라기보다는 작품에 가까운 나무피리 수 점을 보았을 때, 강한 개척자 정신과 핸드메이드에 대한 열정 혹은 신념이 읽혔다. 올 봄 완성을 앞두고 1년여에 걸쳐 억척스레 짓고 있는 그의 집은 훗날 목관악기 제작소로 음악사에 길이 남을지도 모르겠다.

글·사진 박지혜 기자 취재협조 조성용 011-779-5535 www.mokarina.com


오카리나Ocarina
진흙 또는 쇠붙이로 만든 관악기의 하나. 비둘기 모양의 몸통 양쪽에 다섯 개씩 모두 열 개의 구멍이 있다.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입으로 물고 불며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았다 열었다 하여 소리를 내는데, 소리는 부드러우며 음역은 1옥타브이다. 1860년 이탈리아의 도나티(Donati)가 만들었다. - 네이버사전



경상북도 봉화군 사미정 계곡에는 산야의 수풀마저도 감동케 하는 나무 소리가 있다. 바로 죽은 나무를 깎고 다듬어 생명을 불어넣는 일, 나무 피리를 만드는 조성용(56) 씨 이야기다. 조 씨는 관악기를 즐기는 마니아층에게는 ‘목카리나(Mokarina, 木芽理喇)’ 제작자로 이미 알려져 있다.

남양주에서 아내 김연희(52) 씨와 함께 전원생활을 10년 동안 하다가 보다 더 청정한 지역에 욕심이 생겨서 봉화로 이주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남양주도 차츰 개발되어 자연환경이 예전만큼은 못하다는 게 조 씨의 설명. 같은 산속이라도 그 청량감이 남양주와 봉화는 뚜렷이 차이 남을 몸소 느낀다. 봉화가 공기가 한층 맑고 같은 소나무라도 잎의 길이에서 차이가 난다. 모두 같은 시골로 보일 뿐인, 도시 사람들이 들으면 웃을 얘기다.


목카리나가 뭔가요?

“오카리나는 잘 아시지요? 흙으로 빚어 만든 오카리나는 떨어트리면 쉽게 깨지는 것이 단점이에요. 그래서 아무리 떨어트려도 손상이 없는 나무 오카리나를 만들어보았지요. 이름도 오카리나 앞에 나무 목木자를 붙여서 목카리나라고 지었어요. Mokarina, 목카리나 혹은 목아리나로 불러요.”

‘木芽理喇(목아리나)’를 풀이하면 ‘나무에 생기를 불어넣고 다듬어서 나팔이 된다’는 의미가 있다. 나무로 만들었기에 그동안 오카리나를 다루다가 깰까봐 걱정하던 시각장애인들도 안심하고 가지고 다니면서 쓸 수 있다.


조 씨는 동물피리, 가로피리, 세로피리, 통피리 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피리를 제작한다. 세계의 민속악기를 본뜨기도 하고 변형을 통해 새로운 악기로 재창조하기도 한다.

기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그동안 조 씨가 제작한 작품들을 쏟아내었다. 음악 전공도 하지 않았다는 사람이 이것들을 다 손수 만들었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다. 셀 수 없이 많은 목관악기들이 서로 엇비슷해 보여도 다 다른 이름을 가졌다. 입을 대고 소리를 내는 리드가 다르고 손가락을 대는 구멍의 위치와 개수와 크기가 다르다. 또 실제로 들어 보니 나무 재료의 종류와 생김새에 따라 음색도 확연히 다르게 표현된다.

길이를 줄인 접는 휘슬, 초보자들도 부르기 편하라고 취구를 넣은 혼을 개발하였고 세계적으로도 희귀하다는 쌍피리도 만든다. 또 세상에서 제일 작은 악기라며 건전지(AAA사이즈)보다 조금 더 큰 나무피리도 보여준다.

오리, 토끼, 멧돼지, 매, 올빼미 등의 소리를 내는 나무피리는 정말 그 동물 울음소리와 흡사한데 아이들은 가히 까르르 하고 좋아서 넘어가겠다. 그렇지 않아도 광릉수목원에서 ‘해설이 있는 나무피리 음악회’를 연 적이 있었는데 동물피리에 아이들 반응이 폭발적이었단다.

또 조 씨가 산을 오르다가 휴대가 간편한 8공 목카리나로 ‘칠갑산’ 연주를 하면 그 목가적인 음색에 반하여 산악인들이 산을 내려갈 생각을 안 할 정도로 목카리나 소리는 사람 마음을 매료시킨다.



‘조성용 표’ 목카리나 소리는 다르다

조 씨는 남양주에서 전원생활을 할 때부터 손수 나무 재료를 구하고 다듬어서 악기 만드는 작업을 했다. 벌써 시작한 지 4~5년 됐다고. 늘 새로운 나무 재료에 대한 연구와 악기의 모양새, 음색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그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 Mokarina.com에서 선보이고 또 주문 제작도 하고 있다.

조 씨의 목카리나를 구입한 후 사이트에 올린 후기를 하나 소개한다. 그의 나무피리가 얼마나 섬세하고 정교한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는지 엿볼 수 있는 구절이다.

‘목아리나님의 랭글리형 오카리나가 드디어 도착. 도착 전에는 나무 2쪽을 붙여서 만들었을까 상상했는데 그렇지 않고 나무 하나를 그냥 파 들어갔다. 굉장한 기술이고 정성인 것 같다. 한번 불어볼까… 고음에서 좀 거칠게 호흡을 넣어도 다 받아준다. 소리가 시원할 수밖에. 며칠전 도자기로 만든 랭글리형 ○○오카리나를 받은 것이 있어 비교하기 딱 좋다. 음량도 크고 시원하다. 나무 재질의 독특함이랄까 참 부드럽고 좋다. 좀 강하게 불어도 또는 고음에서도 도자기의 찢어지는 느낌이 없다. 그리고 재질이 똑같은 나무로 만든 리코더(독일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하고는 비교도 안 되게 소리가 크고 또렷하다. 음역도 다른 랭글리형과는 달리 오리형처럼 13음역이 정확하게 난다.’



황토벽돌도 손수 찍어내

조성용 씨는 지난해와 올해는 나무피리 제작에 소홀하다. 지난해 4월 1일 봉화로 이사한 이래 임시 주거용으로 컨테이너박스를 마련해 놓고 아내와 둘이서 황토집을 짓고 있다. 공기를 1년으로 잡고 시작했는데 2008년 1월 현재 약 70% 진행된 상태다.

과거 자동차 정비사 출신이자 전자제어엔진 분야 전문가로서 기계에는 통달한 조 씨는 굴삭기를 사들여 직접 운전하고 황토벽돌 찍는 기계도 손수 제작해 황토를 구해다가 아내와 둘이서 벽돌을 직접 찍어냈다.

“여기 와서 가장 가난하게 사는 방법을 터득중”이라는 아내는 “집 짓는 일은 매일 반복되는 일이라 대단한 인내심을 필요로 해요”라고 말한다. 특히 가장 힘든 일은 벽돌 찍는 것. 8000장의 벽돌 소요를 가정했을 때 건축 작업 속도와 벽돌 건조기간을 고려해 하루 200장을 찍으면 40일 동안 쉬지 않고 벽돌을 찍어 내야 한다는 말이 된다. 누가 봐도 녹록치 않는 과정이다. 부부는 이곳으로 내려오면서 손수 할 수 있는 일은 가리지 않고 해보자고 작정한 듯 보였다.

나무피리 문화관 겸 살림집 기능의 공간 계획

기자가 방문했을 때는 외부는 완성이 거의 코앞에 둔 모습이었고 와이어패널로 만든 지붕이 시멘트가 노출된 상태로 기와가 얹히길 기다리는 상태였다. 지붕을 경사가 완만한 아치형의 와이어패널로 시공한 계기는 이곳 산세와 특산물인 송이버섯의 둥근형을 연상해 이와 잘 어우러지게 하기 위함이었다. 골격은 나무 대신 철제 빔으로 하고 벽체는 황토벽돌 이중쌓기를 했다.

건축면적 40겿?132겎? 규모에 집 전면과 후면 쪽으로 화장실 딸린 8겿?26.4㎡)짜리 구들방을 드리고 중앙에는 전시장으로 쓰일 홀을 계획했다. 살림집 기능보다는 목관악기 전시 공간과 공방의 기능에 보다 치중하다 보니 전시장 천장고에 맞춰 구들방 역시 천장고를 높여 설계했다. 높은 천장으로 인해 다락 공간이 생겼다.

건축주가 직영으로 황토집을 지을 때 가장 만만치 않는 과정으로 여기는 것이 구들 놓기다. 이들 부부는 40cm 깊이로 고래둑을 만들어 대동고래를 놓았다는데 방 전체가 고루 뜨끈뜨끈하게 덥혀진 걸 보니 성공적인 듯 했다. 아내는 “처음 해 보는 거라 긴가 민가 했는데 우리가 만들어 놓고도 이게 진짜 되네 하고 놀라웠어요” 한다.

귀농 희망자들은 인터넷 사이트 ‘시골기차’에 올려놓은 이 부부의 집짓는 이야기를 재미있게 보고 집 구경하러 먼 길도 마다않고 찾아온단다. “실습도 할 겸 며칠 묵으면서 집짓는 일을 도와주겠다는 사람들도 더러 왔었어요. 그런데 하루 일을 해보더니 그 다음날 아침이면 다들 도망치듯 떠나요. 상상했던 것보다 집짓는 과정이 너무 힘들다고 느낀 거지요.”

봉화나무피리전시관으로 놀러 오세요~

조 씨는 “누구나 악기를 만들 수 있고 구경할 수 있는 전시장 겸 체험장을 만들고 더 나아가 실력을 인정받는 목관악기 제작 학교로 그 규모를 키워 나가고 싶어요”라며 포부를 내비쳤다.

부부는 현재의 건물을 완공하면 곧 나무피리 전시관과 공방을 오픈할 예정이다. 이어서 펜션용 객실을 갖추어 나가 가족단위로 자연에서 여유를 만끽하며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테마 펜션으로 확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마침 인근에는 가을마다 규모 있는 음악회가 열리는 청양사와 여름 휴가철 피서객들이 찾는 사미정 계곡 등 즐길 거리도 있어 부부는 이러한 계획에 긍정적이다.


“테마 펜션이 농촌에서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가족과 목관악기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춰서 문화체험을 하는 펜션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에요. 아직 때 이른 희망사항인데, 나중에는 음악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예술 공간이 이 지역에 모이게 되어 헤이리예술인마을 만큼의 대규모는 아니더라도 그런 문화예술의 향기가 그윽한 봉화 어은골로 만들고 싶네요.”田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만난 사람] 봉화의 '헤이리' 예술인 마을 꿈꾸며 나무피리 만드는 조성용 씨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