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비싸고 고급스로운 물건은 우리 집에 오면 푸대접 받아요. 안 어울리기 때문이죠. 대신 보잘 것 없고 세상에서 싸구려 취급 받는 물건은 이곳에 아주 잘 어울려요." 볼품없어 보이는 존재물에게 제자리를 찾아줘 그 진가를 발휘하도록 만드는데 특별한 재주가 있는 최정희 씨는 이곳 양평 지평면 황토산방에서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비로소 찾은 기분이다. 전원에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취미로 시작한 천연염색이 지금은 어엿한 업으로 발전해 그의 토담집은 옷 짓는 공방이 되었고 그는 생활 한복 디자이너로 변신했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문턱 최정희 씨의 살림집이자 작업장인 황토산방을 찾아갔다.


글 박지혜 기자 / 사진 서상신 기자





판문을 활짝 열어젖힌'황토산방黃土山房'에 깃들인 것은 땡감, 쪽풀, 황토로 물들인 오색 창연한 빛깔. 게다가 토담집 흙에서 나오는 자연의 향기. 그 속에 깃들어 자연을 닮아가는 아주머니의 푸근함과 그리움.

서울에서 두물머리를 지나 6번 도로를 타고 지평면으로 진입, 읍내를 벗어나 기다란 모시 천을 깔아놓은 듯 너울너울 춤추는 산 엉덩이를 얼마간 밟고 여주 북내로 가는 345번 도로 초입 좌측으로 황토산방이라는 이정표가 반갑게 얼굴을 든다. 아스팔트길에서 언덕 위로 올라서니 확 트인 농촌 마을이 소설'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Wonderland)라도 되는 듯 평화롭게 펼쳐진다.

20대 초반에 시집 온 후로 딸 셋, 귀하게 얻은 막내둥이 아들 하나 낳아서 자식들 뒷바라지와 남편 내조로 젊은 날을 다 보내고 정작 자신을 돌볼 겨를이 없었던 최정희 씨. 황토산방은 그런 그에게 지난날 가슴 속에 묻어두었던 신기루 같은 신세계新世界를 열어준, Wonderland(원더랜드) 같은 존재다.



서울여자, 토담집을 리디자인하다

14년여 전 남편이 뜬금없이 시골에 헌 집 하나 샀다고 말했다. 따라가 보니 정말 다 무너져 가는 허름한 토담집. 머리에는 바람 불면 금세라도 날아갈 듯한 너와를 이고 부엌은 옛날 방식 그대로 외부에 놓이고 난방은 아궁이에 불을 때는 구들 방식으로 볼품없는 데다 불편해 보이기 짝이 없었다. 그러나 그걸 본 최정희 씨는 속으로'아, 바로 이거야'라며 쾌재를 불렀다고 한다.

"나도 모르겠어요. 무의식적으로'그래 이거야'하는 긍정의 메시지가 튀어나왔어요. 그 시골집이 그동안 잠자고 있던 잠재의식 속의 무 언가를 일깨웠던 거예요." 조용한 자연으로 둘러싸인 집에서 그만의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꿈을 자신도 그제야 알았던 것이다. 그는 서울 아파트 살 때에도 남과 어울려 지내기보다는 산으로 들어가 산책하면서 자연물을 수집해 오는게 취미였단다. 산에서 가져온 나뭇가지와 돌 등으로 베란다에다 원두막 모양의 공예품도 만들면서 그만의 창조적인 세계를 펼쳤다.

그녀는 남편한테 "이 집 수리는 내가 하겠어요"라고 툭 던지고 목수와 미장이 도움을 얻어 자신의 설계대로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기존 마루에서 전면 외부 부엌이 있는 방향으로 공간을 연장해 거실을 넓히고 부엌을 실내로 드렸다. 토담이 부엌까지 아우르면서 전면으로 일보 전진해 완벽한 ㄱ자형 건축물이 되었고 천장이 낮아 내부가 답답해 보이

는 것을 감안해 창도 많이 내었다. 방 두 곳과 거실은 구들 대신 보일러 설비를 해 편리하도록 하고 방 하나는 구들을 그대로 남겨두어 몸이 안 좋을 때나 한겨울 몸을 지지고 싶을 때 불을 때 사용한다. 방바닥에서 나온 구들장은 버리지 않고 마당에 깔아 조경석으로 꾸며놓았다.

폴짝폴짝 널뛰기 하던 지붕재 너와는 몇 년간 그대로 쓰다가 남편이 저세상으로 떠난 후 기와를 새로 얹었다. 지붕을 바꾸었을 뿐인데 집의 표정이 사뭇 달라졌다. 수수한 토담집이 오랜만에 목욕하고 머리에 기름칠 했다고 할까.



전원에서의 새로운 인생... 천연염색과 옷 짓기

"취미가 없으면 전원생활이 무료해요. 이곳에 잘 적응해서 살려면 시간을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는 노하우가 필요해요." 최정희 씨는 스스로도 인정하는 솜씨를 살려 황토와 감, 쪽풀, 한약재등으로 물들이는 천연염색과 그 천으로 생활 한복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오랜세월어떻게잊고살았을까. 그의스승은어린시절어머니였다.

어머니가 손수 옷을 해 입히던 시절로 기억을 더듬어 올라가서 어머니가 작업하시던 모습, 그 옆에서 조막손으로 도와주던 일이 고스란히 피부 밑으로 녹아있어 자연스럽게 손끝으로 번져 나왔다. 처음 해보는 일이라도 한번 배우면 남들보다 탁월하게 해내는 재주가 있다는 그는 천연염색에는 자신감이 있었고 옷감을 만지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

아 곧 다채로운 의상을 디자인해 내었다.

양평에 온 후로 손수 만든 생활 한복만 입고 다닌다는 그는 옷을 입고 읍내나 서울로 나들이 가면 어김없이 지나가는 사람이 붙잡았다고.

"실례지만, 이 옷 어디서 했어요?" 그런 사람들에게 처음 3년간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취미도 즐기고 소득도 생기면 더 일이 재밌겠다 싶어서 손수

한 것임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그러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말은 "내 것도 하나 만들어 줘요"였다.

한 사람이 옷을 해 입으면 그걸 본 다른 사람이 옷을 해 달라 하고 또 그 손님을 통해 다른 사람이 손님이 되고… 입소문을 타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최정희 씨의 옷을 입겠다는 손님들로 황토산방 문지방은 윤이 돌기 시작했다. 단골도 하나 둘 생겼다. 생활 한복은 한번 입어본 사람이 계속 찾게 되어 계절별로 용도별로 때에 맞게 옷을 맞춰 입는 이가 많다고 한다.

어릴 적 어머니가 만든 옷을 입고 동네로 나가면 아주머니들이 깜짝 놀라는 눈으로 다가와 한 번씩 옷을 만져보곤 하던 그 때 그 까닭을 그는 옷을 만들면서 새삼 알게 되었다고 한다. 천연염색한 천의 빛깔이 고운 데다 보통 바느질 솜씨가 아니라고 칭찬하는 몸짓이었다. 그 어머니의 솜씨를 고스란히 이어받은 것이다.



마음으로 한 땀 한 땀

이번 여름만 해도 주문이 많아 쉴 틈이 없었다는 그는 황토산방을 홍보하거나 손님을 끌기 위해 따로 한 일이 없다. 그런데도 해가 갈수록 손님이 늘고 일감이 늘어 딸들이 "이 불황에 울 엄마 대단해~" 하고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홍보가 대단한 거예요.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단순히 내가 만든 옷이 아니라'내 마음이 담긴'옷이지 않을까 싶어요." 자연을 벗하며 사는 최정희 씨의 라이프 스타일이 의상에 녹아든 데다 그의 마음과 정성이 더해져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치를 만들어 낸 것이다. 굳이 말로 설명하지 않아도 그런 가치를 공감하는 이들이 그 멀리에서도 황토산방을 찾아와 옷을 주문하는 것이다.

황토산방에는 처음엔 손님으로 왔다가 다음부턴 친구가 되어 오는 이들이 많다. 화려함으로 이목을 끄는 맛은 없어도 자연스러운 운치와 편안한 분위기가 이방인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그런 분위기에서는 마음도 잘 통해 쉽게 친구가 된다. 그래서 두 번째 이곳을 찾을 때는 빈손으로 오는 이가 없단다. 사과 한 톨이라도 들고 와서 나눠 먹는 사이가 되기 때문이다. 손님이 아닌 친구에게 줄 옷이라 마음을 담은 작품이 탄생되는지도 모르겠다.

그는 가족과도 익명의 대중과도 동떨어진 산중에 와서야 이제 겨우 세상을 향해 한 발 내디딘 기분이라고 말했다. 뜰 안에 핀 이름 모를 풀 한 포기가, 어디선가 굴러온 돌멩이 하나가 그에게 존재감을 일깨워준 것이다. 그에게 세상과 새로운 화법으로 대화하도록 가르쳐준 선생은 바로 자연이 아닌가 한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에서 만난사람] 하늘과 땅의 물감으로 옷 짓는 여인 - '황토산방' 최정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