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풍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집을 새로 지을 때 알게 모르게 풍수를 적용해 본다. 산과 강을 끼고 나무가 보기 좋게 푸르러 주변 경치가 좋은지, 인근에 흉물은 없는지, 집들이 적당히 띄엄띄엄 배치돼 살기 쾌적한지 등. 이와 달리 인테리어에서 풍수를 적용하기란 익숙지 않은 듯하다. 풍수를 이용하면 쾌적하고 편안하며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전원주택 건축을 계획하거나 실내 단장을 하는 새해를 맞아 3회에 걸쳐 인테리어에 풍수를 적용하는 손쉬운 방법을 안내한다.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되는 풍수는 양택陽궀 풍수, 생활 풍수라고 불린다. 양택 풍수는 묏자리를 보는 음택陰궀 풍수와 대비되는 용어다. 주거공간에 풍수를 적용하는 목표는 거주자와 공간이 서로 조화를 이뤄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데 있다. 그러니 생활 풍수는 오행에 바탕을 두되 거주자의 취향과 습성 등을 최종 반영한다. 풍수에 맞춰서 공간을 꾸몄어도 그 모습이 거주자의 눈에 거슬리고 마음이 불편하거나 혹은 공간에 어울리지 않는다면 시정돼야 한다. 바로 '조화'를 깨트리기 때문이다. 이 조화라는 한 단어만 명심한다면 누구나 풍수를 살린 복이 들어오는, 건강한 공간의 재창조자가 될 수 있다.
풍수 코디네이터 김태형 씨는 "풍수 코디를 함에 있어 오행을 바탕으로 가족별 성향을 분석하고, 주택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코디가 진행된다"고 한다. 그 이전에 공간 및 가구배치에 있어서 공통 사항을 정리해보자.


침실

풍수에 있어 예부터 안방과 대문을 중시했다. 대문은 외부의 기가 유입되는 통로이기에 중시 여겼고 안방은 집 주인 신변을 보호하고 건강을 관장하는 곳이기에 중요한 공간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와서도 침실은 매우 중요한 공간인데 숙면을 취하는 것은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침실은 휴식과 수면을 취하는 곳이므로 거실이나 식당과 같은 공용공간과 거리를 두고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가 도는 위치에 배치한다. 침대는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방위를 찾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자신에게 맞는 방위라도 화장실이 내부에 있을 경우 화장실을 정면으로 바라보거나 방문과 일직선이 되는 배치라면 피한다. 안방은 주택에서 가장 소중한 부분이므로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다른 공간에 비해 너무 밝지 않아야 한다. 평상시 사람의 모습이 보일 정도의 은은한 조명을 사용하고 청소 시 사용하는 밝은 등을 따로 설치해 둔다. 스탠드 조명이나 소품을 배치하고자 한다면 부부에게 맞는 소재와 색상인지 확인하며 두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색상의 벽지와 커튼을 선택한다.




현관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매우 소중한 공간으로 외부 도로-대문-현관문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 풍수적으로 볼 때 외부 기운이 바로 들어오는 것보다 잠시 머물다 걸러져 들어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곧장 들이치는 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풍수적 처방으로, 진입로 방향을 돌리거나 마당에 나무를 심거나 조명기구를 설치해 기의 속도를 늦추도록 한다. 또 건물 외벽을 유리 소재로 마감해 기를 반사시키거나 대문과 현관 사이에 계단을 설치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실내에서는 현관 앞에 중문을 설치하는 형태가 외부 기운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중문 설치가 여의치 않은 경우 커튼 등을 이용한 가림을 하는 것도 괜찮다. 주의할 점은 현관은 외부의 좋은 기운을 들이는 위치이므로 가림막을 설치하더라도 거추장스러운 것이면 안 좋고 신발을 잔뜩 늘어놓거나 물건을 쌓아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관은 늘 밝고 청결함이 유지되도록 하고 방위나 위치상 어쩔 수 없이 어두운 경우 센서 등보다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등이나 자체 발광 효과가 있는 마감재 등을 활용해 항상 밝도록 한다. 현관은 너무 어둡거나 통풍이 되지 않는 경우, 해당 방위에 속하는 가족의 건강을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거실

현대 주택에서 보통 현관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마주하는 공간이 거실로 출입문으로 들어온 기는 거실에서 잠시 머물다 실내로 퍼져 간다. 이때 거실 전체의 색상, 가구 배치, 조명기구의 위치와 밝기 등이 기의 순환에 영향을 준다. 특히 거실에서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소파는 가족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좋은 기를 받도록 배치하는 게 중요하다. 이동공간이 아닌 거실 안쪽에 안정감이 느껴지도록 배치하되 출입문과 창문을 등지고 배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창을 향해 배치했을 경우 꽉 막힌 전망이나 병원 영안실 혹은 공동묘지, 다른 건물의 모서리가 보이는 등 전망이 흉할 때는 그 전망을 피해 소파를 배치하는 게 맞다. 가능하다면 건축 설계 시에 이러한 전망을 고려해 공간을 배치한다.
거실은 실내 공간에서 앞마당에 해당하므로 복잡한 구조, 많은 가구보다는 정사각형의 심플한 형태가 안정적이다. 그렇지 못한 경우 가구를 이용해 보완의 형태로 공간을 확보한다. 거실 벽면에 미술작품이나 사진 등의 소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그림의 크기와 내용에 주의한다. 공간 전체의 크기와 분위기에 어울리는 것을 택하고 벽면에 비해 크기가 너무 크면 보는 사람을 압도해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만든다. 소품 선택 시에는 풍수상 가장에 해당하는 소품으로 거실에서 방위를 측정한 후 소품의 오행에 맞는 방위에 두는 것이 가장의 기운을 높이는 방법이다.




자녀방

팔괘상 가족 구성원에 따른 방위가 있지만 이보다 개인에게 맞는 오행상 방위를 선택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오행 관련 풍수 코디는 다음 호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 다만 특정 해에 특정한 기운이 필요한 경우 해당 기운을 상징하는 방위의 방으로 옮겨 잠시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수험생의 경우 창문을 통해 문필봉文筆峯이라 하여 아름다운 봉우리가 보이는 방에서 기운을 받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방위에 오랫동안 머무는 것 자체는 좋지 않으니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자녀방에는 침대와 책상을 비롯해 배치할 가구가 꽤 많다. 가구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 가구의 기운에 눌려 자녀가 기를 펴지 못하고 위축되니 공부방과 침실을 따로 두는 게 좋다. 만약 침대와 책상을 한 방에 둬야 한다면 가구 수를 최대한 줄이고 문과 창문의 위치를 잘 살펴 가구들을 배치한다. 이때 침대에 누웠을 때 가구의 모서리가 정면으로 보여서는 안 된다. 이러한 모서리를 풍수에서는 화살이라 하는데 화살은 스스로 인식하지는 못하더라도 평소 잠재의식에 남아 좋은 기운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밥상 모서리에 앉지 마라'는 어르신들의 말씀은 이러한 풍수에서 연유한다. 어쩐지 방해받는 기분이 들거나 불쾌감이 든다면 한번 주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책상 뾰족한 모서리나 벽의 들보가 응시하고 있을 수 있다. 화살에 대한 풍수적 처방은 화살과 본인 사이에 화분이나 차단물을 두면 된다. 애초에 화살이 생기지 않도록 붙박이장을 주택 설계 시 반영하면 유리하다.




주방

주방의 방위는 남서방을 피하는데 남풍이나 남동풍이 부는 여름에 열기와 음식 냄새가 집 안으로 번질뿐더러 화재 위험이 있다. 또 오행상 불[火] 기운에 해당하는 남쪽 방위일
경우 가스레인지를 남쪽에 두는 것을 피하고 이런 배치가 부득이한 경우 상극相剋인 물[水]기운에 해당하는 북쪽 벽면에 물[水] 기운에 맞는 소품으로 보완한다.
가족 전체가 비만이 되거나 위장 문제가 생겼다면 주방이 흙[土] 기운(남서쪽 북동쪽)이 강한지 살펴봐야 한다. 이럴 경우 주방에서 나무[木]를 상징하는 동쪽 방위에 흙 기운을 누를 수 있는 나무나 풍경화를 두는 것이 좋다. 주방의 방위는 동쪽이나 동남쪽이 바람직하고, 가족의 건강과 직결되는 음식을 다루는 곳이므로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욕실/화장실

욕실 및 화장실의 경우(주방도 마찬가지, 물을 쓰거나 쓰레기 등 지저분한 찌꺼기가 생기는 공간) 귀문방鬼門方(귀신이 드나드는 방위, 음양의 기운 변화가 생기는 방위)이라고 하여 북동 남서 방위는 피하는 것이 좋다. 귀문방이 청결하지 않으면 그 화禍가 집 안 전체로 번져 가족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북동 남서 방위를 피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북동 남서 방위에 해당한다 해도 중요한 것은 잘 건조시키고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다.
변기의 위치는 문을 열어 정면에 있는 것은 대단히 흉하다. 또 현관문을 열고 들어왔을 때 정면에 화장실이 보이도록 배치하는 것을 가급적 피한다. 부득이하게 정면에 배치할 경우 화장실 문에 가족에게 맞는 장식을 달아 보완하는 것이 좋고 공간에 여유가 있다면 문 양쪽에 소품을 두어 기운을 분산시킨다.


복도/이동공간

조명을 사용하여 자칫 음한 기운이 정체되는 것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되도록 너무 길거나 어둡거나 통풍이 어려운 공간을 만들지 않도록 한다. 이는 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복도가 길거나 직선상에 놓여 충(흉)이 되는 경우 복도가 끝나는 부분에 콘솔 등의 가구를 두고 화분이나 소품으로 보완하는 것이 좋다.




덱/발코니

외부 기운과 내부 기운이 바로 맞닿는 중요한 공간으로 풍수적으로 사격이라 하는데 주변에 깨진 산이 보이거나 흉한 건물, 앞이 막혀 답답한 경우 반드시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족 각자의 기운에 맞게 키가 큰 활엽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대나무를 이용하는 방법 혹은 롤 스크린을 활용하는 방법이 좋고 풍수에서 충이라 하여 도로가 자신의 주택으로 직선상으로 들어오는 경우라면 매우 흉한 경우이므로 반드시 가족에 맞는 소품을 이용해 가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리 박지혜 기자 도움말 FIS(풍수인테리어 디자인 소사이어티) 정동근 대표 02-701-4855 www.fengshui.kr 김태형 풍수 코디네이터 016-294-4643 http://cafe.naver.com/housecoordi.cafe 도면자료제공 FIS 정동근 대표 -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INTERIOR] 북이 스미는 우리 집 풍수 코디 I - 공간별 노하우 익히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