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경우 전년도 대비 주택 착공이 급격히 감소했다고 한다. 그런데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주택 건축이 줄었음에도 목조주택은 크게 증가(17.6%)했다는 점이다. 목조주택은 웰빙과 친환경성을 고려해 많은 예비건축주들이 희망하는 건축구조다. 그리고 더 꼼꼼하게 따지는 소비자는 목재도 선별적으로 사용한다. 국산 목재 선호는 친환경주의 물결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심리적 요소로 우리 풍토에 익숙한 나무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친숙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눈에 보이는 요소로 근거리 수급 유통 가능해 운반에 따르는 에너지 자원을 절감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강원도 횡성군에 전량 국산 목재로 전원주택을 지은 안상현 씨와 강원대학교 학교기업인 에코포리스트(Ecoforest) 장준근 박사 이 두 사람이 국산 목재를 선택한 동기 역시 환경 친화적이고 몸에 이로운 집을 짓기 위해서였다. 집 안에서 산림욕을 만끽하는 천연 국산목재로 지은 집에서는 도시에서 계절마다 갈아 끼우는 방향제가 필요치 않다는 점도 장점 중 한 가지다.
글 사진 박지혜 기자
취재협조 산림조합중앙회 목재유통센터 1588-1398 www.woodkorea.or.kr
에코포리스트 033-433-2866 www.ecoforest.co.kr
횡성 105.8㎡(32.0평) 경량 목조주택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목향집
경기도 안산시에서 사업체를 경영하던 안상현(55) 씨는 그간 사업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던 일상에서 벗어나 잠시 휴지기休止期를 갖기 위해 전원주택을 지었다. 이왕이면 인체에 유익한 자연 재료를 최대한 사용해서 지을 것을 생각해 보니 나무집이 해답이었다. 황토집도 생각 안 해 본 것은 아니나 시공이 까다롭고 유지 보수로 손이 많이 간다는 점을 감안해 제외시켰다.
재료를 중요하게 여긴 안 씨는 일반적으로 그렇듯 설계사와 시공사 위주로 정보를 살피기보다는 직접 목재를 물색하며 정보를 섭렵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여주군을 지나치다 우연히 산림조합중앙회 목재유통센터를 발견하고 이곳에서 국산목재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우리 산에서 난 나무로 집을 지어야겠다고 최종 결정 내렸다. 수입품은 먹을거리도 인체 유해한 물질 첨가로 믿음직스럽지 않은데 나무 역시 보관, 유통과정에서 첨가되는 인공적인 조작에 대한 염려가 있어 더 저렴하다고 함부로 쓸 수 없었다.
2×4 공법의 경량 목구조인 이 주택의 구조재는 낙엽송을 사용하고 일부 잣나무를 사용했다. 실내 루버는 전반적으로 낙엽송을 쓰고 거실 천장 일부분에 낙엽송보다 더 옅은 색상의 편백나무를 사용해 변화를 주고 장식 기능을 더했다. 또 화장실과 방은 편백나무 루버로 마감했다. 각종 방문과 창문에 쓰인 문선 역시 모두 낙엽송으로 만들었다.
25㎝ 폭의 벽체는 30㎝ 간격으로 기둥을 세우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인슐레이션을 시공하고 내외부 합판으로 벽체를 만든 뒤 내부에는 루버, 외부에는 낙엽송 사이딩으로 마감했다. 안 씨는 보기에는 벽체가 얇은 듯해도 영하 10℃ 이하로 내려가는 추운 겨울에도 실내 온도가 유지돼 추위 걱정은 안 해도 될 정도로 단열성이 뛰어나다고 한다.
나무의 자연스런 효과를 그대로 누리기 위해 외부에는 오일스테인으로 마감 칠을 하고 내부는 칠을 일절 하지 않았다. 덕분에 실내에 들어서면 나무 향이 은은하다. 산림욕을 위해 일부러 숲을 찾지 않아도 되는 이 집을 안 씨는 '목향木香집'이라 부른다. 지인들도 집에 놀러와 보고는 '목이 트인다'고 할 정도로 실내 공기가 자연을 닮았다며 칭찬이 자자하다고.
"낙엽송의 특징은 나뭇결이 예뻐요. 결이 촘촘해 단단해 보이고 실내를 무게감 있게 연출하면서 옹이가 많아 화려한 점도 있어요. 바로 아랫집에 수입목으로 루버를 댔는데 우리 집 루버와 겉만 비교해 보면 벌써 결부터 확연히 차이가 나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수입목은 국산목보다 결이 느슨하고 더 밝은 색상으로 가벼워 보인다고 할까요?"
그러나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문선 모서리에는 틈이 발생해 있었다. 처음 시공할 때만 해도 가로 세로 목재가 아귀가 딱 들어맞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틈이 생겼다는 것이다. 안 씨는 "그만큼 인공적인 처리가 안 됐다는 의미겠지요. 나무가 갈라지고 틀어지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인데 이런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면 나무집에서는 못 살아요" 한다. 안상현 김점옥(51) 부부는 전원생활을 위해 3년 동안 강원도 일대를 안 다녀 본 곳이 없단다. 횡성군 청일면 유동리, 섬강 발원지인 이 지역은 1급수의 하천과 토종벌꿀보호마을로 지정돼 자연환경이 우수하다. 처음에는 수목원을 계획하다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까다로운 점이 많아 부부가 살 만한 규모로 주택을 지었다. 지난해 9월 9일 완공된 안상현 김점옥 부부의 경량 목조주택은 시공기간 4개월, 총 건축비 1억 5,000만 원 소요됐다. 여기에 사용된 국산 목재 비용은 약 2,900만 원이다.
홍천 138.8㎡(42.0평) 에코포리스트 건강체험센터
흙으로 돌아가는생태·건강 주택 짓고자…
국내 유일의 산림 관련 대학이 개설돼 있는 강원대학교 학교기업인 '에코포리스트Ecoforest' 사무동 옆에 지어진 건강체험센터(2008년 12월 완공). 여기에 사용된 목재는 모두 국산이다. 건축 내용을 살펴보면 사람 중심의 문화보다 생태 중심의 문화를 선도한다는 기업 설립 취지에 걸맞다.
에코포리스트 장준근 박사(조림학)는 "건물 해체 시 흙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고 했다. 특히 목분과 접착제가 들어가는 합판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인공 단열재 대신 100% 천연 양모 단열재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노력이 엿보인다.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에 소재한 에코포리스트 건강체험센터는 겉만 봐서는 외벽 마감을 로그 사이딩으로 둘러 자연친화성을 강조한 일반적인 목조 건축물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건축 공정 상 면면에 들어간 재료를 들여다보면 자연과 사람을 두루 생각한 건강 건축물임에 감탄하게 된다.
2x4공법의 경량 목구조의 이 건물의 가장 큰 특징은 골조 사이에 양모 단열재를 충전하고 그 위에 합판 대신 내외부로 각각 루버 세 겹씩을 쳤다는 것. 단열과 기밀성을 고려해 루버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게 설치했다. 루버를 세 겹씩 겹쳐 설치한 것은 합판 대용이라는 점도 있으며 수백 년을 견딘 고건물에서 나온 목재가 아닌 이상 장기간 수축과 팽창을 반복해 틈 발생이 생긴다는 나무 특징을 잘 아는 장준근 박사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됐다.
구조재로 낙엽송을 사용했고 실내 마감용 루버는 낙엽송, 잣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등 국산 목재를 다양하게 사용했다. 실내 목재 위에는 칠을 하지 않은 자연 상태 그대로로 나무 향기가 실내 전체로 번지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인 피톤치드가 그대로 전달된다.
바닥은 시멘트 타설한 위에 스티로폼(단열재)을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한 번 더 치고 황토 모르타르 시공했다. 황토 모르타르 위에 숯을 원료로 한 숯 패널을 특별 제작해 설치하고 그 위에 수맥차단 효과가 있는 은 매트를 깔고 모르타르를 친 후 엑셀 파이프로 난방 설비 후 맥반석을 섞은 황토 모르타르를 시공한 후 최종적으로 옥돌 패널을 깔았다. 이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사용, 동판 지붕 적용 등 건강과 친환경성에 부합하는 재료를 적극 사용했다.
약성 있는 국산 목재
"국산 목재의 우수함은 바로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약성藥性이 있다는 것입니다. 산이 많고, 바로 마셔도 될 정도로 산에서 나는 물이 깨끗하고, 마사토(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흙)가 발달돼 있는데 이러한 지형적 조건이 약성이 있는 나무로 자라게 합니다."
국산 목재의 아쉬운 점으로는, 한국전쟁을 겪은 후 뒤늦게 시작한 조림 사업으로 건축자재로 사용하기에 부족한 어린 나무가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수령이 80년 이상 된 나이든 나무여야 조직 안정성이 갖춰져 뒤틀림이 덜해 건축자재로 적절하기 때문이다. 나이가 많은 나무일수록 나무의 중심부인 심재가 두꺼워 쓸모가 많아지는데 어린 나무를 쓰다 보니 수분 통로인 변재도 사용하게 되는 것에서 문제가 생긴다.
"나무 나이가 200년 됐을 때 강도가 최고조에 이른다고 합니다. 한데 현재 우리나라 나무는 어디를 둘러봐도 사람으로 치자면 초등학생들로 꽉 차 있어 건자재로 이용 가치가 있는 나무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또 아직 수종의 개별 특성에 따른 용도 개발이 미흡한 수준인데 수종에 관계없이 목재 가격이 엇비슷한 점을 보면 수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장준근 박사는 목재유통센터를 통해 다량 보급되는 국산 낙엽송에 대해 "강도가 굉장히 높고 잘 썩지 않는 성질이 있어 기둥과 보와 같은 건물 구조재로 사용하기에 손색이 없고, 사계절 뚜렷한 기후 변화로 인해 장기간 천천히 성장해 나뭇결 간격이 일정하면서 조밀해 루버와 같이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하면 멋스럽다"고 설명하고 "반면 잣나무는 그보다 더 무른 편으로 구조재보다는 내장재 위주로 사용되며 리기다소나무도 건축재로 쓰이기는 하나 송진이 많고 결이 일정치 않은 단점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