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근래 정자亭子를 찾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단독주택은 물론이고 아파트에서도 정자를 세워 가족이나 입주민의 단란한 모임장소로써 이를 톡톡히 활용한다. 심지어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하는데 어떤 사람은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생각해 냈다"하고 다른 이는 "우리 것, 한韓스타일에 대한 인기가 높아 자연스레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듯 근래 정자를 취급하는 업체들도 분주해졌다.


홍정기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DB ㈜한국목조031-335-9986 www.korearesidence.co.kr




한옥형 정자 전문 업체 ㈜한국목조 엄태석 대표는 "정자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 작년부터 공장에 자재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이고 직원들도 현장에 다니느라 사무실에는 사람이 없다"고 밝혔다. 덧붙여 그는 "친환경, 웰빙 기세가 대단한 만큼 정자 시공실적도 날로 증가할 것"이라면서 관련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내놨다.


순수한 한국적 공간이자 이상적 건축물

사전적 의미로 정자는'경치가 좋은 곳에 놀기 위하여 지은 집'으로 정의된다. 고려시대 학자 이규보는 ≪사륜정기四輪亭記≫에서 "사방이 트이고 텅 비고 높다랗게 만든 것이 정자"라 칭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 정자가 언제부터 지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유사≫에 "제 21대 소지왕 즉위 10년(488년)에 왕이 청천정天泉亭으로 거동하였더니 이때에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었다"
고 적혀 있어 기록상 청천정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삼국사기≫ 권 28에는 "655년(의자왕 15년) 대궐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세웠다"고 전해지고, ≪고려사≫ 권 18에는 "정축 11년(1157년) 민가 50여 채를 헐어내고 태평정太平亭을 짓고 태자로 하여금 현판을 쓰게 했다. 주위에는 유명한 화초와 진기한 과수를 심었으며 이상하고 화려한 물품들을 좌우에 진열하고 남쪽에는 못을 파 관란정觀갿亭을 세웠다. 그 북쪽에는 양화정養和亭을 지어 종려나무로 지붕을 얹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정자는 삼국시대 이전 혹은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자가 지체 높은 사람들의 전유물이었던 것은 아니다. 동네 어귀나 사람 이동이 잦은 큰길 느티나무 아래 놓인 정자는 어르신들 만남의 장이자 이웃사촌이 옹기종기 모여 시시콜콜한 집안 소사小事까지 털어놓는 마을 사랑방이기도 했으니 말이다.
그래서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원은 정자를 "한민족과 한반도를 배경으로 한 순수한 한국적 건축이자 공간이며 자연, 사회, 학문, 생활이 용해된 이상적 건축물"이라 밝혔다.


자연합일 중심에 정자가 있다

이렇듯 예로부터 신분과 세대를 뛰어넘어 사랑받던 정자는 산업화 바람에 자취를 감췄다. 아침저녁으로 경제 활동에 내몰린 우리네가 모일 시간은 충분치 않았고 동시에 합리성과 편리성으로 무장한 서구식 건축물은 여유와 낭만과 멋을 간직한 전통 건축물이 설자리를 뺏어갔다. 그러면서 정자는 건축비나 잡아먹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굳이 비싼 돈 들여 지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다.
요즘 환경에 대한 높아진 관심과 더불어 자연과 함께 하는 삶, 자연합일自然合一을 이루려는 움직임이 한창이다. 우리네 선조가 그랬던 것처럼 역시 그 중심에는 정자가 있다.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185.6㎡(56.2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에는 40.0㎡(12.0평) 크기의 정자가 놓였다. 건축주는 이곳을 손님을 맞이 공간과 손주 녀석들이 놀러 오면 놀이방으로 활용한다. 행여나 몸에 해를 끼치지나 않을까 싶어 비싼 천연 목재만을 자재로 삼았을 정도로 애정이 각별하다. " 자연과 함께 아이들이 맘껏 뛰어놀 수 있어 좋고 마음 맞는 사람과 시원한 바람에 차 한 잔 마시면 기분이 최고"라는 건축주는 바비큐 장소로도 딱이라고 정자 예찬론을 펼친다.
거문고 켜는 소리, 시 읊조리는 소리가 없어진 요즘, 그것을 대신해 정자에는 아이들 웃음소리와 시원한 바람이 가득하니 자연합일이 또 있을까 싶다.

 

 

 

 

고려시대에 이동식 정자가 있었다?



요즘에도 보기 힘든 이동식 정자가 800여 년 전인 고려시대에 이미 구상되었다는 흥미로운 기록이 전해진다.
고려시대 재상을 지낸 이규보가 1201년 쓴 ≪동문선東文選≫ <사륜정기四輪亭記>를 보면 "여름에 손님과 함께 동산에 자리를 깔고 누워서 자기도 하고 술도 마시면서 바둑도 두고 거문고도 타면서 하루를 지내는 것이 한가한 자의 즐거움인데, 햇볕을 피하려고 그늘로 자리를 옮길 때마다 거문고, 책, 베개, 대자리, 술병, 바둑판을 떨어뜨리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사륜정을 계획하고자 한다"고 나와 있다. 풍류를 즐기는데 자리를 옮겨 다녀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자 사륜정(네 바퀴가 달린 정자)을 구상한 것이다. 기록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간단한 평면도도 실렸다<사진참조>.
바퀴를 넷으로 하고 그 위에 정자를 짓는다. 정자 사방은 6척이고 들보가 둘, 기둥이 넷이다. 무게를 줄이고자 대나무로 서까래를 하고 대자리를 그 위에 덮고 난간은 동 · 서 · 남 · 북 각각 하나씩만 단다. 더욱 놀라운 것은 각 척마다 그 쓰임새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정자 사방이 6척이니 그 간수를 총 계산하면 모두 36척이다. 모두 여섯 사람을 앉게 하는데 두 사람이 동쪽에 앉되 4평방 정간을 차지하고 앉는다. 세로 · 가로가 모두 2척인데 두 사람 분을 총계하면 모두 8평방척이다. 나머지 4평방 정간을 쪼개어 둘로 만들면 각각 세로가 2평방척이다. 거기에 거문고 하나를 놓는다.
짧은 것이 흠이라면 남쪽 난간에 걸쳐서 반쯤 세워둔다. 거문고를 탈 때 무릎에 놓는 것이 반은 된다. 2평방척에는 술동이, 술병, 소반그릇 등을 놓아두는데 동쪽이 모두 12평방척이다. 두 사람이 서쪽에 앉는 데도 이같이 하고 나머지 4평 방정간은 비워서 왕래하는 사람이 다니게 한다. 서쪽도 모두 12평방척이다."
여기서 거론된 여섯 명은 거문고 타는 사람 1명, 노래하는 사람 1명, 시에 능한 중(僧) 1명, 바둑 두는 사람 2명 그리고 주인이다.
사륜정이 실제 지어졌는 지는 알 수 없다. " 지금은 비록 성취하지 못하나 뒤에 반드시 지을 것-今難未就後必爲之"이라는 기록만 전해진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신분을 뛰어넘어 사랑받은 정자亭子 - 친환경 바람 타고 되살아난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