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이나 집 입구에 놓인 정자는 높고 웅장해 자연스레 드나드는 사람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다 마을 한가운데 놓이면 주민 모임 공간으로 사회적 교류 역할을 담당하며 반대로 집 안으로 들어오면 휴식을 취하거나 가족 구성원 그리고 방문객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또 산이나 계곡에 들어선 정자는 예로부터 선비들이 풍류를 만끽하는 곳이었다. |
글 홍정기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DB ㈜아름054-337-3399www.areum.co.kr ㈜한국목조031-335-9986 www.korearesidence.co.kr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통틀어 누정樓亭이라 하는데 누정은 사방을 바라보도록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은 다락식 집이라는 뜻이다. 누각은 대개 바닥에 돌을 쌓아올린 대臺 위에 세운다. 대각臺閣 또는 누대樓臺라고도 하며 강릉 경포대鏡浦臺, 평창 청심대淸心臺가 대표적이다.
한편 정자는 작은 건물로 역시 벽이 없고 기둥과 지붕만으로 되어 있다는 점은 누각과 같으나 돌을 쌓아올린 대臺가 없다. 따라서 바닥에 기둥을 받치는 대가 있으면 누각이고 없으면 정자다. 대로 인해 누각은 정자에 비해 웅장하고 화려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요즘은 누정 건축이 희소화되고 간편화되면서 누각과 같은 형식으로 짓는 것도 정자로 통칭하고 있다.
전해지는 정자는 숫자도 많을 뿐 아니라 그 모양이나 쓰임도 다양하다. 정자는 설치된 장소에 따라 ▲강이나 계곡에 위치한 강계 연변형江溪沿邊形 ▲연못 인근에 놓인 지변형池邊形 ▲산마루나 언덕 위에 지은 산정형山頂形 ▲집 안에 들어선 가내형家內形(집 안에 지은 정자) ▲마을 어귀에 놓인 모정형茅亭形으로 구분한다.
오래전 정자는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며 세월을 낚는 무대이자 학문을 닦는 도량(강계연변형, 지변형, 산정형)이었고 또 마루를 높이고 복층 누樓형식으로 올린 마을이나 집 안 정자(가내형, 모정형)는 사람을 감시하는 역할도 담당했다.
평면에 따라 장방형과 사각형(사모정), 육각형(육모정), 팔각형(팔모정), 십자형, 부채꼴 등으로 나뉘는데 궁궐이나 양반 집에서는 화려한 치장으로 위압감을 발산하는 육모정이나 팔모정 형태를 주로 사용했다.
경복궁 경회루慶會걹와 밀양 영남루嶺南樓 · 진주 촉석루 촉석루矗石樓 · 삼척 죽서루竹西樓등은 사모정, 창덕궁 존덕정尊德亭과 경복궁 향원정香遠亭등은 육모정, 창덕궁 부용정芙蓉亭등은 십자형이다. 창덕궁 관람정觀纜亭은 특이한 경우로 평면이 합죽선 부채꼴 모양이고 이를 지탱하기 위해 기둥 사이 자재를 휘게 하는 보기 드문 공법을 적용했다. 한편 근래 지어지는 정자는 사모정, 육모정, 팔모정이 대부분이나 아무래도 손이 덜 가는 사모정과 육모정이 다수다.
구조적으로 평면이 정방형을 이루는 정자는 대들보가 없어 추녀가 정상에 모이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기와를 얹되 지붕 끝을 날카롭게 하지 않고 둥글게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장은 서까래가 그대로 노출되는 연등천장이고 지붕 위 가운데 모이는 부분에 항아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절병통을 얹어 마무리한다. 요즘은 개성을 강조한 각양각색의 절병통이 쓰인다.
드나듦이 많은 마을 입구에는 먼 길 달려온 객客에게 좀 쉬어 가라며 정자가 유혹한다. 또 산세 좋은 곳 허리쯤에는 빼어난 경관을 꼭 보고 가라는 듯 어김없이 나타나 발걸음을 붙든다. 하늘로 닫혀 있지만 사방으로 열린 정자는 묘하게 사람을 끄는 힘이 있다. 인공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오랜 시간 자연과 동화되어 시간의 때가 묻어 처음 대해도 전혀 낯설지가 않아서일까. 비록 서구 건축물 홍수 속에 찾는 이들이 줄었을지언정 정자는 우리 민족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