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정부의 '그린홈 프로젝트'가 발표되기 무섭게 건축시장은 저에너지 친환경 '그린'에 초점이 맞춰졌다. 대형 건설사들은 앞다퉈 그린홈 모델하우스를 공개했고 전원주택 분야도 이에 뒷짐만 지고 있지 않았다. 전원주택시장은 이미 그린홈 물결을 탔다. 3.8리터 전원주택에 이어 지난해 제로에너지하우스에 근접한 0.8리터 주택이 지어졌고 국내 제1호 패시브하우스 인증 전원주택(1.4리터)도 생겼다.

박지혜 기자

 

 

 

정부는 보금자리주택부터 그린홈을 선도적으로 공급하면서 민간 부문까지 확대할 방침이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그린홈 시범 단지 조성에 착수했다. 2012년까지 그린홈 75만 가구 건설을 목표로 현재 에너지 관련 법 기준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25% 이상 절감된 주택을 설계 중이다. 2012년 준공 예정인 경기 의정부 민락지구와 행복도시에 세워질 공동주택이 대표적이다.
그린홈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2011년까지 보급형 그린홈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며 제로에너지하우스가 가능토록 태양열, 지열, 바이오메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적용 방안도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1차적으로 단열, 창호, 난방 등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를 달성하고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생산기법을 적용해 에너지 제로 주택(Energy Net Zero House)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지식경제부에서 추진해 온 그린홈 보급 사업은 올해 총 예산 962억 원이 투입돼 약 2만 호 주택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할 계획이다. 기존의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외에 연료전지를 신규로 지원 대상에 추가해 연료전지 분야에는 총 1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약 200대의 설비를 보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앞으로 지어지는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주택(그린홈)의 건설기준에 따라 건설할 것을 고시했다. 따라서 주택사업계획승인을 받고자 할 경우 전용면적 60㎡초과 주택의 총에너지를 15% 이상 절감토록 설계해야 한다. 또 올해부터 친환경 건축물인증(LH)이나 에너지효율등급인증(건설기술연구원)을 받은 민간 건물에 대해 각종 인센티브를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전원주택 등 단독주택에 대한 그린홈 정책은 논외다. 국토의 대단위 면적을 차지하고 에너지 소모가 많은 건축물부터 그린홈을 추진한다는 국토부 방침때문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차차 단독주택까지 아우를 계획도 가지고 있다.
다만 농수산식품부와 강릉시가 '농어촌 그린홈 표준 모델'개발 사업을 3년 계획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가 선도적으로 전원주택 분야 그린홈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세미나 등 인적자원 교육과 패시브 설계, 에너지 성능 인증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패시브건축협회는 곧 패시브하우스 표준 설계도면을 완성하고 대중에 공개할 예정이다. 협회의 활발한 활동에 힘입어 올해 패시브하우스 건축 동수는 대폭 늘 것으로 전망된다.

 

 

전원주택 그린홈,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에 따를 것

 

국토해양부 건축기획과
김 민 철 사무관


2017년 패시브하우스 수준, 2025년 제로에너지하우스 수준의 건축은 단순히 선언적인 목표가 아닌 현실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그린홈 정책을 내놓기 전에 이미 대형 건설사들은 이를 달성키 위한 기술 수준에 도달해 있었고 각 건설사들은 그린홈 모델하우스를 속속 내놓았다. 현재 해결 과제로는 인력과 기술 개발이다. 국토부는 그린홈 관련 신제품 기술 개발에 170억 원을 지원하고, 미래친환경건설산업 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 중으로 설계와 시공 두 분야로 나눠 한 기수 130~150시간 이수 과정으로 한 해 3기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전원주택을 그린홈으로 짓기 위해선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의 네 가지 항목에 따르면 된다. 네 가지 설계기준 항목은 건축 부문, 기계설비 부문, 전기설비 부문, 신재생에너지 설비 부문이다. 공동주택을 시작으로 추후 단독주택에도 그린홈 리모델링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그린홈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본부
조 동 우 박사


미국은 1990년대 초반부터 기존 코드 대비 30% 에너지 절약 주택에 대해 '에너지 스타 홈'이라는 인증제를 실시했고 지금은 자리를 잡았다. 본 연구원은 미국의 에너지 스타 홈처럼 에너지효율 등급 표시제를 2001년부터 시행했다. 초기에는 잠잠했으나 최근 친환경 녹색 건축물이 대두되면서 재작년부터 인증사업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다. 복잡한 행정 프로세스를 개인들은 꺼려한다. 또 정부의 그린홈 정책에 대형건설 업체들은 민감하게 반응하나 단독주택 시장은 소외돼있는 게 사실이다. 우리나라 주택의 85%가 공동주택이 차지하기에 아파트 우선의 기술 개발 및 정책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 아파트에 비하면 단독주택은 기술 성장이 어렵고 미진하다. 일례로 전원주택 시공업자가 열관류율이라는 말조차 생소하게 여기는 걸 봤다. 건축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단독주택은 하자가 많고 수명이 짧을 수밖에 없다. 대신 단독주택 시장에선 그린홈이 틈새 시장으로 부각되는 분위기다. 현재까지 지어진 에너지 절약형 단독주택은 1~2년 후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그때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에너지 절약형 Green Home의 모든 것] 우리나라 그린홈 기술 충분하다 - 전원주택, 틈새시장 형성으로 기초 닦는 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