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화초들과 나무, 작은 연못이 소담스럽고 곳곳에 놓인 옹기와 나무로 만들어진 작은 창고는 옛날 시골집에서 볼 수 있을 법한 풍경을 자아낸다. 홍인경 씨의 정원은 남해의 청량한 햇빛처럼 찬찬히 둘러볼수록 따스함이 전해지는 곳이다.
글 · 사진 백희정 기자 취재협조 원예예술촌 055-867-4702 www.housengarden.net
원예예술촌 초창기 멤버였던 홍인경 씨는 2007년 남해에 내려오기 전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서울내기로 살아왔다. 평생 살던 곳을 떠나 남해에 내려오게 된 계기는 단순히 원예에 대한 순수한 열정 때문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화초를 좋아했던 그는 자신이 원예에 관심을 두게 된 건 당연한 일이었다고 말한다.
"어머니가 꽃을 그렇게 좋아하셨어요. 지금 생각해 보면 그렇게 풍족한 환경도 아니었는데 어머니는 항상 시장 다녀오시는 길에 화초를 하나씩 사 오시곤 했어요. 어릴 땐 그게 일상이었기 때문에 저도 모르게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원예엔 조예도 깊었고 서울에서도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았으니 정원 설계는 익숙한 일이었다. 화려하고 고상한 스타일도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시도할 수 있었지만 그가 선택한 건 조금 촌스러움이 느껴지는 토속적인 콘셉트였다.
"촌스럽고 옛날 생각나는 그런 마당을 만들고 싶었어요. 어린 시절 추억이 떠오르고 누구나 부담 없이 구경할 수 있는 시골집 앞마당 같은 곳으로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박한 매력이 은은하게 녹아있는 정원
'우리 마당'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 정원은 지형적 특성을 살린 설계가 돋보인다. 대지의 모양이 마치 물고기 같은 형상을 띠고 있어 자연스럽게 곡선을 살렸고 둥근 모양의 연못을 만들어 수생 식물을 식재했다.
집을 짓고 정원을 만들기 위해 객토 작업에도 정성을 쏟았다.
"흙 자체가 마치 갯벌같이 질은 황토여서 바로 정원을 만들 순 없겠더라고요. 내려온 지 4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2년에 한 번씩은 꼭 객토작업을 해주고 있어요."
정원을 처음 만들 땐 교목 종류부터 식재했다. 높이가 8m를 넘는 규모감 있는 나무로 중심을 잡은 후 오두막 등의 큰 구조물을 설치했다.
그 후 회양목 등 중간 크기의 관목을 식재했다. 화초들은 가장 마지막에 균형 있게 배치했다. 또한 특별한 디자인의 조형물보다 토속적인 옹기를 선택해 자연스러움을 연출했다. 화초는 수선화나 옥잠화, 둥굴레 등을 심었고 가을 팬지와 펠라르고늄, 샤피니어처럼 색감이 강렬한 꽃들로 밸런스를 맞췄다.
"한국 수종에 대해 애착이 있어요. 그래서 정원도 토속적인 콘셉트로 잡았죠. 채송화나 작약 같은 건 오래 봐도 질리지 않는 매력이 있어요."
연못에는 부레옥잠이 자라고 있다. 홍인경 씨는 정원에 연못이 있는 이에게 부레옥잠을 추천했다. 연꽃이나 수련보다 관리가 쉬워 초보자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고 가을까지 두 번 피기에 키우는 재미가 쏠쏠하단다.
가드닝의 정석은 기본을 지키는 것
원예에 관해선 전문가나 다름없는 그에게 정원 관리 비법을 물었더니 뜻밖에 싱거운 대답이 돌아왔다.
"원예는 화초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지만 기본을 지키는 게 가장 중요해요. 물을 줄 땐 뿌리까지 깊숙이 주되 꽃잎엔 닿지 않게 하는 것. 특히 한여름에 물주는 건 반드시 해줘야 할 일이에요. 잔디는 잡초가 잘 자라니까 눈에 띌 때마다 뽑고. 어찌 보면 너무나 쉬운 일이지만 그 두 가지만 잘해도 정원은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어요."
화초는 전부 남해에 있는 시장에서 구입하고 있다. 한 시간 이상 떨어진 곳은 되도록 피하고 있다. 미묘한 차이지만 기후가 다르기에 화초가 적응을 못 하는 경우도 있어서다.
"한낮에 나가면 바람이 너무 불어 몸이 휘청거릴 정도의 날씨에요. 기후 차이가 워낙 크니까 다른 지역에서 화초를 구입하진 않아요. 근처 꽃시장에서 구입한 꽃들은 거의 실패하는 법이 없습니다."
*
그는 정원 일을 하다 보면 어느새 꽃과 마음이 통하는 느낌이 든다고 했다.
"언젠가 너무 바빠서 실내에 둔 화초를 제대로 돌보지 못한 적이 있었어요. 그런데 어느 날 보니 아주 예쁘게 잘 자라있는 거예요. 마치 자길봐달라는 듯 말이죠. 그걸 보니 어찌나 미안한 마음이 들던지. 원예를 오래 했더니 이젠 가끔 화초에 말도 붙여 보고 눈길 한 번 더 주고 그래요."
그는 화초뿐만 아니라 정원에 찾아오는 모든 생명체는 소중하다고 말한다. 과육을 먹고 다소 피해를 주는 새와 벌레도 생각해보면 자신보다 더 오래전부터 남해에 살아온 원주민이나 다름없지 않냐며 넉넉한 마음 씀씀이를 보였다. 마당에 들어오는 생명은 모두 귀한 손님이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