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가든 디자이너 황지해 작가는 독특한 아이디어와 밀도 높은 구성력으로 작년에 이어 올해 첼시 플라워 쇼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화장실과 전쟁 등 정원과 쉽게 매치되지 않는 창의적인 소재의 활용은 세계 원예인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가든 구성의 한계를 넓힌 그녀의 정원을 살펴본다.

글·사진 서상신 영국통신원 seobbio@naver.com
사진 및 자료제공 ㈜뮴 062-527-4114 www.muum.kr
자료참고 영국왕실원예협회 Royal Horticultural Society www.rhs.org.uk

 

 

 

 

일차원적으로 생각했을 때 전쟁과 정원은 어울리지 않는다. 전쟁 속에 핀 꽃은 상징적으로 사용될 만큼 희소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가든 디자이너 황지해 작가는 세계적인 원예 박람회인 첼시 플라워쇼를 통해 DMZ를 새롭게 재현해 한국 정원의 우수성을 알림과 동시에 가든 디자이너로서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비무장지대를 뜻하는 DMZ(Demilitarized Zone)는 국제조약이나 협약에 의해 무장이 금지된 지역 또는 지대를 의미한다. 1953년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 각 2㎞씩 너비 4㎞의 지역이 비무장지대로 설정됐다.
이러한 이유로 DMZ는 한국의 특수한 분단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이며 이곳은 약 40년간 외부 출입이 통제됐기에 자연 상태가 잘 보존돼 생태학적인 가치가 높다. 황 작가는 이를 소재로 한국의 특수 상황을 보여줌과 동시에 전쟁이라는 소재를 정원의 아이디어로 끌어들였다는 점에서 창의성 및 구성 능력을 인정받아 2012 첼시 플라워 쇼 금상과 회장 특별상을 받았다.

 

 

비무장지대의 축소판 DMZ 정원
DMZ 정원의 첫 느낌은 정원답지 않다는 점이다. 박람회에 선보인 대부분의 정원 모습이'가든'이라는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면 DMZ 정원은 형태와 구성 모두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다. 잘 구획된 정원이기보다 하나의 정글을 연상시키는 외관에 일반적인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가시철사와 목재탑은 단연 구별됐다.
관람객들의 표정이 이를 대변했다. 다른 모델 정원을 감상할 때와 달리 호기심 가득한 그들의 반응은 사뭇 인상적이었다.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야생 그대로의 모습은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을 뿐만 아니라 비무장지대가 갖는 의미에 대해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어냈다.
BBC 프리젠터이자 가든디자이너인 제임스 웡James Wong은"이전 첼시 가든들과다른, 내가본최고의정원중하나"라고평가했다. 특히"식재 하나하나를 모발이식 하듯 한 땀 한 땀 심은 것이 놀랍다"며"디자이너에게는 자기 가든만의 독창적인 분위기(atmosphere)를 창조하는 것 자체가 엄청나게 힘든 일인데, DMZ 가든의 분위기는 60년이라는 시간을 완벽하게 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참전용사들 역시"잊혀진 전쟁이 돼 버린 한국전쟁을 다시 기억하게 해줘 감사하다"는 뜻을 전했다.

 

 

전쟁의 폐허 속에 탄생한 총천연색 야생 정원
'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이라는 타이틀을 내건 정원은 각양각색의 야생 식물들로 이뤄져 있다. 식물은 마치 수백 년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듯 자연스럽다.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야생 그대로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식물의 60%는 한국에서, 나머지 40%는 유럽에서 가져온 것들이지만 모두 비무장지대에서 발견한 식물과 유사한 종류로 선택했다.

 

 

 

 

 

비무장지대 식물 연구를 통해 황 작가는 몇몇 독특한 것들을 발견했다.
먼저 군인과 피난민들의 대체 식량과 약재로 활용됐던 쑥은 전시에 군인들의 피를 지혈하는 데 사용됐고 질경이 즙은 배가 아플 때 짜 마셨다고 한다. 머루와 다래 냉이, 산나물은 대체식량으로 사용됐다. 그 중 개느삼Gaeneusam이라는 식물은 북한의 차가운 기후와 남한의 따뜻한 기후가 만나는 지역에서만 살아남는다.
비무장지대를 그대로 재현한 듯한 느낌이 드는 또 한 가지 이유는 다양한 소품의 활용 덕분이다. 그 중 단연 돋보이는 아이템은 정원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목재탑이다. 감시탑을 연상시키는 이 탑은 공동경비구역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Bridge of No Return'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 다리는 대한민국과 북한 사이를 가로지르는 다리로 서쪽에 흐르는 사천에 위치한다. 이 외에도 전쟁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아이템은 가든 곳곳에서 발견된다. 참전용사들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낡은 군화, 도시락 그리고 단추 등은 전쟁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전쟁의 폐허를 딛고 아름다운 원시림으로 소생한 DMZ 정원은 자연의 재생력과 치유라는 정원의 본질적인 가치를 표현하고 있다.

 

 

 

 

 

 

마음과 몸을 비우는 철학의 공간, 해우소 가는 길
황지해 작가가 가든 디자이너로서 이름을 알린 것은 올해가 처음이 아니다. 황 작가는 2011 첼시 플라워 쇼에 '해우소 가는 길(Empting One's Mind)'이라는 주제로 정원을 출품해 Best Artisan Garden상을 받았다.
해우소는 '마음을 비우는 곳'이라는 의미로 한국 사찰의 화장실을 뜻한다. 황 작가는 전통적으로 화장실을 가는 과정이 비움과 성찰을 얻을 수 있는 장소라고 생각해 화장실과 주변을 독특한 정원으로 디자인했다. 가든의 주요소는 쉽게 예상할 수 있듯 화장실과 화장실로 연결되는 작은 산책길이다. 화장실 설계에서 인상적인 점은 입구는 일층이나 반대편은 반지하로 설계해 인분을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 것이다. 또한 생각의 비움에 이르는 길 주변으로 오죽과 백목련 등 관상가치가 높고 흰색 꽃을 피우는 식물을 심어 아름다움과 평화로움을 느끼도록 구성했다.
RHS 소형 가든 부분 담당자 Robert Hillier는 해우소 정원에 대해"한국 정원은 놀랍다"며"주제가 매우 독특하고 아름답게 완성됐다"고 전했다.

 

 

 

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 황지해 작가를 만나다
"자연과 사람에 대한 배려가 느껴지는 정원이 좋다"

 

 

 

 

Q. 먼저 당신의 정원 철학이 궁금합니다.
A. 정원 철학이라고 표현하기 전에 나에게 정원은 자연의 무한한 창조력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곳입니다. 정원은 창조의 욕구를 실현해 주면서 동시에 어느 소설가의 이야기처럼, 균열과 상처 난 곳에 영혼을 만들어주고 안식처를 제공하고 소생의 힘을 줍니다. 자연의 본질이 끊임없는 생명의 순환과 재생, 치유력에 있어서 일 겁니다. 모든 창조적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 영혼을 맑게 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작년에 이어 올해도 첼시 플라워 쇼에 출품을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A. 첼시 플라워 쇼는 작은 소리도 크게 들어주는 아주 특별한 소통 공간입니다. 스폰서와 함께 해야 한다는 것만없다면 나만의 이야기를 통해 꾸준한 문화 교류를 하고 싶습니다.

 

Q. 이번에 출품한 작품이 금상 및 회장상을 받았는데 수상 소감이 남다를 것 같습니다.
A. DMZ 가든이 보여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었다는 확신을 갖게 됐어요. DMZ의 존재가치를 증명받았다는 것이 수상의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Q. 비무장지대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 등 DMZ 정원 기획의도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A. 동생이 군대 생활을 특수부대에서 꽤 길게 했는데 떨어져 있는 동안 동생의 외로움과 답답함을 다 알 수 없었어요. DMZ는 동생이 왜 군대에 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했을 때부터 의문의 대상이기도 했습니다. DMZ의 식생 조사는 내 저변에 깔려 있는 본질적인 부분들을 알아가는 것처럼 흥미로운 일이었던 것 같아요. 특히 용늪에서의 시간은 내가 어릴 적 봤던 초지와는 다르게 무언가 내재된 흥분과 갈증이 있었습니다. DMZ 안을 넘나드는 산꾼들이 모아놓은 군사물품, 약품, 지뢰와 같은 살상무기 등이 당시 환경과 생활상을 파노라마처럼 체감할 수 있게 해줬고 다듬어지지 않은 맹아림의 거친 표정을 직접 볼 수 있어 경이로웠어요. 더불어 우점종·열성종으로 인해 자연이 그려놓은 드로잉이 흥미롭기까지 했지요.
새와 들짐승들의 은신처를 좀 더 명확하게 들여다볼 수 있기도 했고요. 때 묻지 않은 원시적 감성이 내가 왜 이 자리에 서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사명감과 의지를 줬던 것 같습니다.

 

Q. 당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정원이란 무엇인가요?
DMZ라는 작품으로 짐작해보면, 원시림이라는 것이 가장 아름답고 이상적이라고 답하지 않을까도 생각되는데요.
A.
DMZ는 60년의 세월 동안 DMZ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의 재생력, 즉 정원의 본질적인 부분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정원은 자연과 사람에 대한 배려가 느껴지는 정원입니다. 또한 정원의 성격이 다양하겠지만 일반적인 정원을 기준으로 볼 때 만든 사람의 성격과 성향이 잘 드러난, 사람이 느껴지는 정원을 추구하기도 합니다,

 

Q. 지난해 출품한'해우소 가는 길'과 차이점이나 발전된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A.
일단 규모 면에서 DMZ가든은 10배 이상 큰 작품입니다. 여왕 가든 바로 옆 사이트를 배정받았는데 지난해 해우소 이후 한국 정원에 대한 관심도가 치솟았음을 느낄 수 있었어요. 행사 중에도 국제사회와 언론이 한국 정원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다는 점을 피부로 느꼈어요. 특히 삼각형 모양의 부지인 트라이앵글 사이트는 디자인이 까다로워 모든 디자이너와 시공사가 가장 기피하는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고난이도의 자리를 한국 정원에 배치했다는 것은 그 가치를 인정하고 예우를 해준 것이라 생각합니다.

 

Q. 작업에서 한국적인 주제를 이어오고 있는데, 이유와 그런 주제로 구현된 정원의 특별한 매력이 있는가요?
A.
한국적인 것만을 부각하기 위해 일부러 애쓰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창조적 행위는 작가 자신을 말해주기 때문에 김치를 먹고 사는 저에게 한국적인 느낌은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정원의 정신적·미학적 가치를 찾고 발견하는 것은 나 자신을 발견해 내는 것처럼 흥분되는 일입니다. 드러내지 않고 과시하지 않으며 억지스럽거나 지나친 것을 멀리하고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것이 우리 문화의 전반적인 특성이라 하는데, 정원에서 역시 드러납니다. 던져놓은 듯한 투박한 원시적 감성을 존중하고 의도하지 않은 우연의 효과를 추구하는 편입니다.

 

Q. 앞으로의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A.
DMZ 가든은 현재 일시적으로 London Pleasure Gardens로 옮겨져서 재조성되고 있습니다. 9월 이후 엘리자베스 여왕 올림픽 공원에 옮기기 위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임페리얼 워 뮤지엄, 내셔널트러스트, 런던야생환경트러스트(London Wildlife Trust), 자연사박물관, 에드워드 왕자 개인 정원 등과 DMZ 가든 영구 보존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일본 가드닝월드컵(GWC)에 한국 대표로 참가합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 비무장지대의 재해석, DMZ 정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