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아름다운 산천은 한가한 사람의 것'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이 여유로워야 산천을 둘러보는 여유도 생긴다는 말이다. 남해 명소로 자리 잡은 원예예술촌 사람들이야말로 바로 그런 지극한 여유를 지닌 이들이 아닐까. 원예예술촌 살림을 맡고 있는 이경자 대표와 정원을 함께 가꾸는 남편 김두한 씨를 만났다.

박지혜 기자 사진 홍정기 기자 취재협조 원예예술촌 055-867-4702 www.housengarden.net

 

 

 

"처음에는 이웃 독일마을에 집을 지었어요."이경자 씨는 이렇게 이야기를 꺼낸다. 이경자 씨 부부는 독일과 인연이 깊다. 40년간 그곳에서 살았으니 한국에서보다 더 오래 됐으며 독일은 고향과도 같은 곳이다. 반세기 전 이야기는 마치 흑백영화의 장면처럼 드라마틱하게 펼쳐진다. 갓 결혼한 20대 새색시의 삶은 전형적인 화이트컬러였던 남편의 갑작스러운 독일행으로 덩달아 180도 변했다. 이 씨의 표현대로라면'외국병'에 걸린 남편은 회사에서 제공하는 집과 자동차를 마다하고 독일 광부가 되기로 결심했다. 나이 스물다섯, 어떤 모험도 앞뒤 재지 않고 뛰어들 혈기왕성한 청춘의 때였다. 1960, 70년대 독일이 산업 부흥기를 맞아 외국인 노동자를 대거 받아들일 때 이야기다.
"식당에 앉아 있는데 우연히 옆자리에서 독일 광부 모집 얘기하는 걸 들었어요. 아, 귀가 번쩍 뜨였어요. 바로 저거다 싶었지요."

 

 



 

 

24세에 첫 직장을 다닌 김두한 씨는 이듬해 관철동 소방센터 소장으로 발령 받는 등 사회인으로서 시작이 순조로웠다. 자동차가 귀한 시절 자동차와 집을 보장받을 정도의 대우를 받는 그에게 더 중요한 건 물질적 혜택이 아닌 꿈을 향한 도전이었다.
"청소년기에는 서양 팝에 젖어 지냈고 크리스마스 무렵이면 흑백 텔레비전에 비친 파리 상젤리제 거리의 낭만에 매료돼 유럽에 가겠노라는 꿈도 꾸던 시절이었어요. 그런 참에 일본 엑스포로 떠나는 사장님을 공항까지 배웅하는데 해외 출장을 가는 사장님의 뒷모습을 보며 문득 '나도 외국으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국비 유학생이 아니라면 외국은 엄두도 못 내던 시절 독일 노동자로 간다는 것은 더 넓은 세상을 구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게다가 몇 배의 월급을 더 벌 수 있기에 신청자는 꽤 많았다. 김 씨는'외국병'이 절정에 달하던 바로 그해 12월 광부 지원자 180명과 함께 전세기를 타고 독일로 향했다.
"육군 대위, 고등학교 선생, 공무원들… 내로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도 많았고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함께 비행기에 올랐는데 그 중에서도 나는 어린 축에 속했어요. 처음 타 본 비행기가 알래스카를 넘어가는데 그 황홀함이란…."
그 벅찬 환희는 오래가지 않았다. 비질 한 번 해보지 않았던 김 씨는 광부의 노동이 스스로 감당할 수 없는 수준임을 현장에 가서야 깨달은 것이다. 한국에서 받은 교육이라곤 강원도 탄광촌에서 하루 실습한 것 외에는 일주일간의 이론 교육이 다였다.
"빈 삽자루 하나에도 몸이 휘청거릴 정도였어요. 누가 상상이나 했겠어요? 울었어요. 너무 힘드니까 눈물이 나데요. 새벽 별 보며 일하러 나가 지하에서 8시간 일하고 나면 잠을 자도 머리가 띵했어요. 입에 맞는 음식은 미깡(귤의 강원도 사투리)이었는데 속까지 시꺼메 먹을 수 없는 걸 보면 괜히 서러워지고 그랬어요."
낯선 나라에서 고된 노동이 힘들기는 했어도 다시 한국행은 싫었다. 그럴 거라면 애초 독일로 올 이유가 없었다는 생각에 독일에 정착해보기로 하고 서울에 남아 있던 아내를 불렀다.

 

 

 

 

40년 만에 돌아온 고국, 한눈에 반한 남해
"남편이 출국한 지 1년 지난 후 간호보조원 교육을 받아 독일로 들어오라고 했어요. 남편은 3년 계약으로 갔는데 내가 들어가면 체류 기간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이었어요. 간호보조원 교육을 받고 독일로 가기까지 2년 정도 걸렸어요. 1994년에 일을 그만두었으니 독일에서 20년간 간호사로 일했네요."
그녀가 간호사를 그만두던 해 김 씨는 레스토랑 경영을 시작하면서 사업이 번성하기 시작했다. 그 3년 후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1200석 패스트푸드점을 오픈해 교포들 사이에서도 꽤 성공한 인물로 알려졌다.
부부는 독일 정착을 결정하면서 맨 먼저 한 일이 집을 구입한 것이다. 처음 살았던 연립형 주택은 이웃들이 정겨워 고국을 잊어도 좋을 정도였다. 차차 독일의 정원 문화에 익숙해졌는데 감정 표현이 솔직한 독일인들은 조금만 정원 관리를 소홀히 하면 한 마디 하기 일쑤였다.
"개인 정원이라도 마을 전체 경관과 이웃에게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기에 독일인들은 정원 관리가 몸에 뱄어요. 조금만 신경을 안 써 잡초가 무성해지면 이웃에서 잡초 뽑으라고 한 소리 할 정도예요. 우리나라처럼 취미로 원예를 하기보다 마을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도리라고 할까요."
40년간 타국 생활에 젖어 있던 이경자 씨는 남편의 은퇴와 함께 온돌방이 있는 곳, 그리운 고국으로 들어와 정착할 것을 고려하면서 처음에는 두려움이 더 컸다고 한다. 독일인에게 더 익숙해진 그녀에게 같은 민족이 되레 낯설게 느껴졌다. 그러나 그녀의 마음을 결정적으로 사로 잡은 것은 독일에 비할 수 없는 좋은 날씨와 공기, 쪽빛 바다와 어우러진 편안한 산세, 벼 익는 가을 풍경이 아름다운 남해의 자연이었다.
"유럽에도 이런 데는 없어요."
2005년 독일마을에 지금은 펜션으로 사용하는'베토벤 하우스'를 짓고 독일을 오가다 2009년 한국에 정착할 요량으로 겨울을 나보자며 들어왔다 원예예술촌을 알게 됐고 이듬해 3월 원예촌에 입주했다. 그리고 제2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서 그들이 한때 살았던 브레멘의 이름을 따라 집을'브레멘 하우스'라 부르기로 했다.

 

 

 

 

3년간 잘 자라준 원예예술촌
8월 초 푹푹 찌는 더위에 원예촌 입구에 있는 카페'브레멘'은 냉커피와 아이스크림을 찾는 손님들로 북적인다. 연인과 가족이 무리를 이뤄 남해에서 휴일을 만끽하는 풍경이 펼쳐진다. 원예촌에 첫 방문객을 맞던 3년 전만 해도 오늘과 같은 날을 상상이나 했을까. 사실 원예촌은 방문객으로부터 신랄한 쓴소리를 들은 적도 있다. 입장료에 비해 볼거리가 부족하다는. 그것이 사실이라도 원예촌 사람들의 심정은 이랬다. 정원을 가꿔보지 않는다면 그것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원은 하루아침에, 하룻밤 꼬박 새워 바느질로 예쁜 드레스를 만들 듯 탄생하는 것이 아님을.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그 대가로 어렵사리 돌아오는 것임을. 그런데 요즘은 원예촌 대표를 맡은 이경자 씨도 어깨가 좀 펴진다. 마을 정원이 3년 지나니 자리를 잡아 제 색을 한껏 발산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고맙다. 게다가 올해는 공동 정원에 더 많은 꽃을 식재하고 꽃 터널을 만들고 환경 정비사업도 하는 등 변화를 주었더니 방문객들 칭찬도 잦아졌다. 무엇보다 지난해 방문객이 25만 명이었는데 올해는 훨씬 늘어 40만 명까지도 가능할 것 같다. 7월 기준으로 지난해 대비 7만 명이 더 늘었으니 무리한 기대는 아니다.
"올해는 처음으로 이틀간 축제도 열었어요. 우리 모두 즐거운 경험이었어요. 아주 반응이 좋아 앞으로 축제를 정착시킬 예정이에요."
원예예술촌만이 갖는 매력은 실제로 사람이 거주하는 22동의 다양한 스타일의 전원주택과 정원이 있다는 것이다. 김두한 씨는 방문객들이 집 창문 앞까지 와서 내부를 유심히 들여다볼 때면 깜짝 놀라기도 한단다. 그래도 크게 불편하거나 개의치 않는다. 그걸 예상하고 이곳에 살기로 결정했으니. 그렇게 눈빛이 마주치면 거주자와 방문객 사이에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지고 전원주택을 꿈꾸는 방문객에게 집과 정원에 대한 조언을 하며 꿈을 한층 구체화하는 데 도움도 주고 있다.
김두한·이경자 부부가 운영하는 카페 브레멘을 두고 80년 토박이 주민은 '천지가 개벽했다'는 표현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우리가 원예촌에 입주한 후 그 해 여름 카페를 오픈했어요. 독일마을이나 원예촌에 오는 손님들이 쉴 공간이 없는 것을 보고 남편이'여보 선한 사업 한 번 해보자'며 시작한 것이었는데 우리 계획을 안 사람들은 하나같이 말렸어요. 남해군청에서도 장사가 안될 거라며 차라리 수퍼마켓을 하라고 권유할 정도였어요. 우리 역시 큰 기대는 하지 않고 마음을 비운 채 소일거리 삼는 셈 치자며 강행했어요. 그런데 카페가 들어서니 카페주변이 변하기 시작했어요. 카페 앞으로 유동인구가 늘자 허허벌판이던 언덕에 주차장이 생기고 길도 깔끔하게 정비됐어요. 이어서 원예촌 안에 두 곳을 비롯해 이곳에는 카페가 8개나 생겨났어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 것은 김두한·이경자 부부뿐만 아니라 원예촌을 가꾸며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해당하는 이야기다.
남해에는 요즘 힐링Healing 바람이 분다. 그 시원하고 기분 좋은 바람에 원예예술촌이 한 몫 했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잡풀로 우거진 허허벌판을 일궈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언덕으로 가꾼 원예예술촌 사람들. 그들에게 이경자 씨는 마음 깊은 데서부터 찬사의 박수를 보낸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남해 원예 예술촌 이경자 대표 -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 힐링타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