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주례민의 정원 디자인, 시공 그리고 가드닝 ⑥

가드닝의 새로운 패러다임,
커뮤니티 가드닝

각박하고 치열한 현대사회에서 취업을 위한 학점 취득이나 이미지 개선이 목적이 아닌, 사회 또는 공익을 위해 순수하게 자신 의지로 참여하는 봉사자는 얼마나 되며 그 영역은 어디까지일까? 함께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위한 여러 활동 가운데 도시의 공공장소를 정원으로 가꾸고 유지 및 관리까지 자발적으로 하는 ‘커뮤니티 가드닝’ 활동을 주목해 보자.  자연스레 지역 주민 간의 이야깃거리와 소통의 장을 마련해 가드닝의 즐거움과 보람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글·사진 주례민 오랑쥬리 대표


얼마 전, TV에서 시골 사람과 서울 사람을 비교하며 풍자하는 개그를 재미있게 본 기억이 난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함과 순박함으로 무장한 시골 사람이 복잡한 도시, 서울에 와서 겪는 다양한 헤프닝을 보여준다. 시골 사람의 이런 순수한 여유로움은 아마도 드넓은 자연을 곁에 두고 지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많은 사람의 휴식 공간이 되는 하이라인 공원은 자원봉사자들이 가꾼다.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답답한 도시에 사는 사람이 자연과 만나려면 시간을 따로 내어 교외로 나가야만 한다. 이런 번거로움을 덜고자 도시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자연으로 숨구멍을 내는 움직임이 활발한데 대표적인 것이 도시의 콘크리트, 보도블록 사이에 작은 텃밭을 가꾸고 꽃을 심는 것이다.
도시 근교에 땅을 마련해 주말마다 가족이 농사를 짓는 주말농장은 이미 때 지난 이야기이다. 서울 및 경기도 도심을 중심으로 원예와 정원, 텃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텃밭을 우리가 생활하는 도시 안으로 적극 끌어당긴 도시텃밭, 도시농부라는 말이 어느덧 유행처럼 번지고, 직접 기른 채소와 열매는 가족의 웰빙을 책임지는 건강한 식생활문화로도 이어져 시·구청에서 벌이는 도시농업 사업의 참여 및 지원자는 갈수록 늘고 있다. 도시정원사, 도시농업의 정착은 긴 시간 품어온 갈망과 갈증을 해결해주는 대안일지도 모른다.
누군가 ‘정원을 가꾸는 일이야말로 최상의 예술 활동’이라고 말했다. 가드닝 참여를 바라지만, 그 활동 영역은 극히 제한적이다. 그래서 최근 도시 공공장소를 정원으로 가꾸고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는 사회 공헌적인 자원봉사 활동, ‘커뮤니티 가드닝’이 주목받는다.
한 예로, 뉴욕의 핫 플레이스로 떠오른 ‘High line’의 2.4㎞ 공원은 조성부터 관리까지 지역 주민 커뮤니티로 이뤄진 ‘Friend of High Line’을 통해 기부와 멤버십으로 운영된다.

자원봉사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정원 만들기 프로젝트
커뮤니티 가드닝은 먼 나라 도시, 뉴욕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지난 3월을 시작으로 서울에서도 자원봉사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정원들이 탄생하고 있다. 기업 및 단체의 자원봉사자들과 일정 기간 교육을 받은 ‘도시정원사’가 하나 돼 소외된 땅에 정원을 만들고 꽃씨를 뿌린다. 프로젝트의 첫 장소는 서울 서초구 길마중다리이다. 도로로 분리된 녹지를 연결하는 그린웨이조성 프로젝트다. 통행이 잦은 다리의 하중 및 방위, 사람 동선 등을 고려한 플랜터 제작과 식재 계획이 도시정원사에 의해 진행됐다(필자가 자문과 교육 진행을 맡았고, 구청 및 서초구자원봉사센터 관계자의 도움과 노력이 뒷받침됐다). 계절별로 피고 지는 꽃을 심어 관리를 최소화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자리를 잡는 화단으로 콘셉트를 잡았다. 화려한 일년초 화단에만 익숙한 담당자를 설득하는 데도 다소 노력이 필요했다. 

자원봉사자, 서초구자원봉사센터 도시정원사가 함께 만드는 도시정원 만들기 1호 서초 길마중다리 조성 모습.
 

정원 조성 작업은 기업 및 단체 자원봉사자 50여 명의 참여로 하루 동안 진행됐다. 보행다리 위에 만든 정원이라는 효과도 있지만, 도심 공공장소에 자원봉사자 손으로 화단을 가꿨다는 데 의미가 크다. 조성 이후 관리 및 모니터링도 자원봉사자에 의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이곳이 사유지가 아니다 보니 간혹 지나가는 행인이 쓰레기를 버리거나 풀을 뽑아 가는 일들이 발생해 안타까움을 준다. 많은 사람의 수고와 노력으로 조성한 정원이 지니는 의미를, 지나는 사람들이 한 번씩만 생각해주기를 바란다.
도시정원 2호는 서초동 남부순환로에 위치한다. 길이 90m, 폭 1.5m의 황폐했던 길가에 금계국 1000본과 20여 종의 꽃씨를 뿌려 힐링꽃길을 만들었다. 비 오는 궂은 날씨에도 즐겁게 꽃씨를 뿌리고 모종을 심는 봉사자들의 활기찬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현재는 도시정원 3호가 서초구의 한 주민센터 옥상에 진행되고 있다. 버려진 용기와 폐자재를 이용해 식물이 자라는 터전으로 재탄생시키고, 길러 먹을 수 있는 채소와 식용 꽃 재배를 위한 정원을 만들 예정이다. 이곳에서 수확하는 채소들은 인근에 거주하는 어르신들께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서판교 게릴라 가드닝 2년 차
서판교에 작업실을 두고 터전을 마련한 지 2년째다. 신도시 상가주택이라 아직 건물이 들어서지 않은 공터는 한적하고 경치 좋은 이곳의 골칫거리이다. 지난해 봄, 이웃 가족과 작업실 바로 앞에 있는 공터에 씨앗을 뿌리고 꽃 심는 작업을 시작으로, 올해는 더 많은 분의 참여로 게릴라 가드닝 2회를 맞았다. 작년에 뿌린 씨앗에서 자란 꽃에서 꽃씨를 받고, 공공 기금을 마련해 부족한 꽃씨와 흙을 구입했다. 가장 지저분한 공터를 선정해 개간하고 꽃씨와 모종을 뿌리는 작업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지역 주민이 아니었다면 힘들었을 것이다. 이 게릴라 활동은 자연스레 지역 주민 간의 이야깃거리와 소통의 장을 형성했으며, 게릴라 가드닝이 일회성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 활동으로 자리 잡는 시발점이 됐다. 뿌린 씨앗이 싹트고 꽃이 피기까지 많은 시간과 관심이 필요하다. 화단을 정리한 후에도 이곳에 쓰레기를 버리는 상황은 여전하지만 그 수는 많이 줄었다. 꽃이 피면 게릴라 가드닝 참여자뿐만 아니라 무심코 지나던 사람의 마음에도 꽃이 피리라 기대해 본다.

공원 조성 이후에도 모니터링 및 관리가 도시정원사에 의해 지속된다.


함께 만들어가는 가드닝은 우리에게 소통의 장을 마련해준다. 참여자의 보람과 즐거움도 간과할 수는 없겠지만, 혼자가 아닌 많은 사람과 보고 즐기고 어울리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
외국은 자원봉사자들이 가꾸는 도시녹지와 정원이 많다. 우리나라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관심과 흥미가 늘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물론 꽃에 관심이 없고 정원의 소중함을 지나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활동으로 우리 사는 도시에 아름다운 꽃과 향기 가득한 정원이 조성되고, 각박한 사람에게도 꽃향기가 더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가드닝의 새로운 패러다임, 커뮤니티 가드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