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그리운 바보, 노무현을 만나다

벚꽃이 만개한 4월 중순, 김해 봉하마을의 노무현 대통령 생가를 찾았다.
낮은 담벼락 너머로 보이는 아담한 초가집 한 채가 바보 노무현 대통령의 소박한 미소와 그대로 닮았다.
그리운 사람, 그리운 대통령 노무현. 그의 삶이 시작된 곳을 들여다본다.

글과 사진 | 박치민
자료제공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www.knowhow.or.kr


"생가 기억 그림입니다.
형님과 누님이 작성한 것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꼭 정확한 것 같지
않습니다만 비슷합니다.
과거 그대로 사실적인 복원도
중요하겠습니다만, 지금 보아서
아름답고 균형 있게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머지는 적당하게
창조적인 상상력으로 해결해
주시기 바랍니다.
화장실은 아래채 안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두벌 수고 끼쳐서 죄송합니다."


김해 봉하마을의 가장 맨 끝에 있는 초가집. 노무현 대통령의 삶은 이 집에서 시작됐다. 노 대통령은 1946년 9월 1일 이곳 초가집에서 농부인 아버지 노판석 씨와 어머니 이순례 씨 사이에서 3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마을 끝에 있는 과수원집이라 당시 동네에선 노 대통령을 경상도 사투리로 ‘끄티집 막내아들’ 혹은 ‘과수원집 막내’로 불렀다고 한다.

검박한 초가집 형태의 생가
지금의 생가는 대통령 퇴임 후 김해시에서 철저한 고증과 자문을 통해 원래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다. 생가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노 대통령은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생가 모습에 대해 자문하는 등 어떻게 되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때 그는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되, 생가를 방문한 사람들의 쉼터가 되기를 바랐다. 단지 보여주기 위한 집이 아닌 사람들의 향기가 묻어나는 공간이 되길 원한 것이다.
2008년 말 생가 복원 설계가 마무리되고, 2009년 2월 착공, 7개월만인 그해 9월에 완공했다.
후면에서 바라본 사랑채. 전면 3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된 단출한 초가집으로 이곳에서 노 대통령의 조부모님을 포함해 총 9명의 식구가 살았다.
노 대통령의 생가는 2009년 9월에 복원이 완공됐다. 노 대통령은 복원된 생가를 끝내 보지 못하고 서거했다. 줄곧 봉하마을에 거주한 어르신들은 복원된 생가를 보며 “너무 똑같이 지었다”라며 본래 생가 모습과 닮았음을 증언한다.

복원된 생가는 건축면적 37.26㎡(11.29평)인 본채와 건축면적 14.58㎡(4.42평) 규모의 아래채로 구성됐다. 두 채 모두 초가 형태의 집으로 가족의 주 생활공간인 본채는 방 2칸과 마루, 부엌이 있고, 4평 남짓한 아래채에는 헛간과 옛날식 화장실이 조성돼 있다. 이 작은 집에서 노 대통령의 조부모님을 포함해 부모님과 3남2녀의 형제자매들이 옹기종기 모여 살았다.
김선옥 김해시 문화관광해설사는 “생가의 본채는 전면 3칸에 측면 2칸으로 구성된 단출한 형태의 초가집”이라며 “대통령은 이 본채의 방에서 천자문을 외우기도 하고, 마당에서 놀며 멀리 뱀산을 바라보기도 했다”고 설명한다.
노 대통령은 이곳 생가에서 8살 때까지 살았다. 이후 형님의 학비 문제로 생가를 팔고 인근에 작은 집으로 이사했다. 이후로도 2번 더 이사를 하며 봉하마을에서만 생가 포함 4군데 집에 살았다. 1973년 권양숙 여사와 결혼 후 마지막 집에 살 때 뱀산 중턱에 흙으로 된 ‘마옥당(磨玉堂)’을 짓고 고시공부를 했으며, 1975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부산으로 이사했다.
“태어나고 초등학교 2학년 때까지 여기(생가) 살다가 형님 대학교 간다고 아버지가 집을 팔아 작은 집으로 이사 가고, 그 다음은 더 작은 집으로 이사 가고. 그렇게 주민등록초본 칸을 다 메우고도 모자라 한 장 더 붙일 만큼 이사를 많이 다니다가 청와대 갔더니, 집이 엄청 크대요. 하하 참.”
복원 전의 생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생가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상량문 2개가 발견됐는데, 그중 5m 크기의 상량문에 ‘소화 14년 기묘 음 5월 15일 오시 입주상량’이란 붓글씨가 새겨져있었다. 이를 통해 생가가 처음 건립된 것은 노 대통령이 태어나기 이전인 1938년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상량문은 3m 크기의 나무판으로 ‘단기 4305년 임자 정월 21일 병신 오시 상량’이란 글이 적혀 있어, 1972년 당시 생가를 슬레이트 형태로 재건축할 때 올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생가 내부에는 반닫이와 앉은뱅이책상(서안), 물레, 쌀독 등 당시 생활상에 가장 가까운 소품들을 함께 비치했다.
사랑채 안방. 노 대통령은 이곳 안방, 서안이 위치한 자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부엌 내부. 방 밑으로 2개의 아궁이가 놓여있으며 도자기식기류와 철체도시락, 쌀항아리, 짐을 머리에 일 때 머리에 받치는 똬리 등이 함께 복원돼있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
대통령 퇴직 후 고향으로 돌아온 노 대통령. 그에게 고향인 봉하마을과 생가는 어떠한 의미였을까. 아마 어릴 적 막내로서 사랑받았던 행복한 추억과 동시에 가난으로 인한 설움, 그리고 이를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의 장소로써 기억되지 않았을까.
노 대통령은 해방 후 이듬해인 1946년에 태어나 전란 통에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 유년 시절을 보낸 세대에게 가난은 피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았다. 사회는 혼란과 공포로 가득했고, 먹을 것은 늘 부족했다. 봉하마을도 예외는 아니었다. 비가 많이 오면 범람한 낙동강 물이 농작물을 쓸어가 마을 사람들은 산으로 계곡으로 먹을 것을 찾아다니기 바빴다. 가난은 공기처럼 만연했고 빈촌 살림살이는 다 고만고만했다. 그래서일까. 막내로 사랑을 독차지했던 소년 노무현에게 가난은 오히려 대수로운 게 아니었다. 자서전에서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봉화산과 자은골에서 동무들과 어울려 칡을 캐고, 진달래 먹고, 물장구를 쳤던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읍내의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가난은 다른 관점으로 다가왔다. 당시 읍내의 학교에선 시골과 읍내 아이들이 현저하게 구별됐다. 옷차림과 학용품부터가 달랐고, 일부 선생님들은 읍내 아이들을 편애했다. 시골 아이였던 소년 노무현은 이때 경험한 빈부 차이로 인해 가슴에 많은 상처가 남게 된다. 그리고 이는 곧 열등감과 동시에 반항적 태도로 이어졌다. 자서전에서 그는 초등학교 시절 급우의 새 필통을 자신의 헌 필통과 바꿨다가 들켜 망신당한 일과 읍내 부잣집 급우의 책가방을 면도칼로 찢어버린 일들을 고백한다. 이러한 경험들은 그에게 가난에 대해 많은 생각을 안겨주었고, 가난은 곧 극복해야 할 대상이자 삶의 의지로 작용했다.
1965년 부산상고 3학년 여름방학 때 친구들과 해운대에 놀러가서 찍은 사진. 앞줄 왼쪽이 노 대통령. 고등학교 졸업 후 노 대통령은 어망 제조업체에 잠시 근무하다 그만두고 건설현장에서 노동하며 사법시험을 준비했다.
노 대통령은 자전 에세이집 <여보, 나 좀 도와줘>에서 ‘가난의 상처는 나의 잠재의식 속에 어떻게 해서라도 나만은 가난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열망과 함께 모두가 가난하지 않은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동시에 심어줬던 것 같다’고 회고한다.
성적이 우수했는데도 가난 때문에 인문계 고등학교도, 대학도 포기해야 했던 노 대통령.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홀로 공부해 인권변호사가 된 그는 대통령이 되어서도 늘 가난한 사람들에게 시선이 머물렀다. 서민을 위해 먼저 생각하고 행동한 바보 대통령 노무현. 초라하지만 따뜻한 그의 생가를 바라보니 그가 더욱 그립기만 하다.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제가 생각하는 사회는
사람들 모두가 먹는 것과
입는 것 걱정 하지 않으면서
하루하루 신명나게
사는 것입니다."


문의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1688-0523 /
www.knowhow.or.kr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명사의 집을 찾아서 03_노무현 태통령 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