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와 목적에 따른 데크의 구분
알쏭달쏭 데크 사촌 바로알기
‘데크Deck’는 집을 둘러싼 외부 공간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하는 말 가운데 하나다. 데크는 주로 마당과 입구, 베란다와 창호 사이에 놓여 중성적 공간을 만드는 평평한 구조물을 일컫는다. 하지만 데크는 안과 밖이라는 맥락이 없는 구조물을 지칭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숲 속으로 난 길이나 전망이 좋은 산마루에, 그리고 자연 생태를 관찰하기 위해 난간과 함께 설치한 구조물 등에도 데크라는 명칭이 붙는다. 그렇다면 데크란 일정한 형태를 띠는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능적 의미가 덧붙여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또, 데크는 테라스와 발코니, 베란다 또는 포치나 파티오 등처럼 실외 활동을 위한 공간을 뭉뚱그려 지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데크에 혼재돼 있는 복잡한 의미의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보자.
알쏭달쏭 데크 사촌 바로알기
‘데크Deck’는 집을 둘러싼 외부 공간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하는 말 가운데 하나다. 데크는 주로 마당과 입구, 베란다와 창호 사이에 놓여 중성적 공간을 만드는 평평한 구조물을 일컫는다. 하지만 데크는 안과 밖이라는 맥락이 없는 구조물을 지칭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숲 속으로 난 길이나 전망이 좋은 산마루에, 그리고 자연 생태를 관찰하기 위해 난간과 함께 설치한 구조물 등에도 데크라는 명칭이 붙는다. 그렇다면 데크란 일정한 형태를 띠는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능적 의미가 덧붙여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또, 데크는 테라스와 발코니, 베란다 또는 포치나 파티오 등처럼 실외 활동을 위한 공간을 뭉뚱그려 지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데크에 혼재돼 있는 복잡한 의미의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보자.
글 강창대 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DB
데크
어원사전(Etymology Dictionary)을 살펴보면, 15세기 중반에 ‘데크’는 ‘덮인 부분’을 의미했다. 이는 중세 네덜란드(Dutch)의 선박용어 가운데 지붕이나 덮개를 의미하는 ‘dec’과 ‘decke’에서 비롯됐고, 이들 단어는 또, 게르만 조어祖語 ‘thakam’과 인도유럽조어(PIE) ‘(s)teg-’로 소급된다. ‘덮다’라는 의미의 동사형 ‘decken’은 캔버스canvas(주로 돛이나 텐트에 사용된 거칠고 질긴 천)로 배를 덮거나 망토를 두르는 행위를 나타냈지만, 점차 ‘덮개’를 지칭하는 말로 바뀌었다. 그리고 지붕이나 바닥 역할을 하는 단단한 표면을 일컫게 됐고, 배의 ‘갑판甲板’을 이르는 말이 됐다. 갑판은 글자 그대로 단단한 판을 의미하며 특히, 외부 환경에 노출된 배의 상층부를 지칭한다.
세월이 지나면서 ‘데크’의 의미는 더욱 확장됐다. 이제 ‘데크’라는 말이 원래 지녔던 ‘덮다’ 혹은 ‘덮개’라는 의미는 희미해졌다. 대신 바깥에 노출된 평평한 면이라는 형태적 특성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어갔다. 영어권에서 ‘데크’는 다리와 둑의 바닥면이나 평지붕, 버스의 바닥, 기차의 지붕이나 객실, 심지어 구름의 층을 지칭할 때도 사용된다. 또, ‘데크’는 한 벌의 카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현은 16세기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갑판과의 형태적 유사성 때문이라는 추정이 유력하다. 하지만 갑판 위에서 흔하게 벌어졌던 놀이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카드놀이 속어로 ‘데크’는 ‘끗발’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물론, 여전히 ‘데크’는 갑판이라는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택에서 데크는 집의 외곽에 둘러져 있고 지붕이 없는 평평한 바닥을 말한다. 데크는 지면보다 높게 목재로 만들어지는 게 전형적이다.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울타리 또는 난간이 쳐져 있는 경우도 있고, 때때로 캐노피canopy와 퍼걸러pergola 등으로 씌우기도 한다.
알쏭달쏭 테라스와 발코니, 베란다 등
테라스와 발코니, 베란다, 파티오 등과 같은 구조의 구분이 불분명해 혼용하는 것은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다. 해외 인테리어 매체도 이런 문제를 꼬집으며 이들 개념을 설명하는 기사가 종종 있다.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영어권에서도 이들을 뭉뚱그려 ‘데크’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들 구조의 차이와 의미를 가려내기 위해 영어권에서 인테리어 건축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와 용어사전 등01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국내의 법령과 논문 등에서 제공된 정의나 용어가 사용된 맥락을 살펴 그 의미를 정리했다.
테라스
전원주택을 설명하며 테라스terrace만큼 자주 언급되는 말도 없을 것이다. 테라스라는 말에서 주택을 둘러싼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대개 ‘데크’로 뭉뚱그려지는 공간이 그런 것처럼, 테라스도 안과 밖을 잇는 완충적인 옥외공간이다.
먼저 형태적 특징을 보면, 테라스는 주로 경사면에 형성된 계단식 터나 주변 지형보다 높게 만들어져 개방된 장소를 의미한다. 대개 목재나 벽돌, 잔디 등으로 포장돼 있고, 건물과 연결된 형태를 띤다. 그리고 정원 등을 조성해 휴식과 여가를 위해 활용한다.
우리나라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테라스의 의미는 ‘테라스하우스terrace house’의 정의에서 유추할 수 있다. 「건축법 시행령」은 테라스하우스를 “경사진 대지에 계단식으로 건축하는 공동주택”이라고 정의한다. 테라스하우스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지만, 각 세대가 직접 지면에 닿아 출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층 세대가 아래층 세대의 지붕을 정원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지붕에 조성된 정원이 테라스인 셈이다.
테라스는 영어권에서 럭셔리한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홈에딧닷컴(www.homeedit.com)의 설명이 그렇다. 우선, 테라스는 단을 높인 바닥(raised flat)이지만 종종 휴식과 회복(rejuvenating)을 위해 건물의 꼭대기에 조성된다. 그리고 이곳은 자쿠지(jacuzzi)나 수영장이 설치되는가 하면, 도심 속 오아시스로 꾸며지기도 한다. 건물 상층부에 화려하게 꾸며진 공간인 만큼 접근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테라스는 데크 형태로 포장된 야외 공간으로 휴식과 여가 등을 위해 활용된다.
발코니
발코니balcony는 흔히 노대露臺로 불리는 공간이다. 글자 그대로 건물 벽면의 바깥쪽으로 나와 있는 바닥 구조물(projecting platform)이며 안과 밖의 완충적인 기능을 하는 옥외공간이다. 흔히 외팔보라고 일컫는 캔틸레버 역시 발코니라 할 수 있다. 가장 유명한 발코니를 꼽자면, 성 베드로 대성당의 석조 발코니일 것이다. 이곳은 종종 교황이 로마시와 전 세계(Urbi et Orbi)를 향해 축복을 기원해 세계의 이목이 쏠린다.
발코니는 커다란 창문을 의미하는 라틴어 ‘Balcone’에서 온 말이다. 발코니는 주로 극장이나 강당 등의 주층(main floor) 위에 돌출시킨 관람석이나 회랑, 또는 극장의 영구적인 무대로 꾸며진 높은 단을 일컫기도 했다. 중세나 르네상스에 발코니는 석재로 된 코벨corbel이나 커다란 나무받침대가 지지하는 형태였다.
오늘날 발코니를 정의하는 엄격한 규범은 없다. 발코니의 일반적인 기능은 다양한 활동을 위해 공간을 외부로 확장한다는 것이다. 발코니는 테라스에 비해 규모가 작고 활용도가 제한적이지만, 오붓하고 짜임새 있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발코니는 사적인 공간이 부족한 아파트에서 제 역할을 한다. 아파트 베란다로 불리는 공간 중에는 엄밀히 말해 발코니인 경우가 많다. 이곳에 화분을 놓아 작은 정원으로 꾸미는 경우가 일반적인 쓰임새이다.
한편, 발코니는 주택의 면적에 산입되기도 한다. 「건축법 시행령」에 따르면 발코니의 면적(외벽의 중심선으로부터 발코니의 끝부분까지의 면적을 말한다)에서 발코니가 접한 가장 긴 외벽에 접한 길이에 1.5미터를 곱한 값 을 뺀 면적을 바닥 면적에 포함한다(제119조 제1항 2호 나목).
발코니는 휴식과 여가를 위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데크와 다르지 않지만 지면보다 높고 규모가 작으며 주로 방과 연결돼 있다.
베란다
베란다veranda는 내밈대 혹은 내민층대라는 순화된 용어가 있다. 이는 한옥의 툇마루, 쪽마루처럼 튀어나오게 하여 벽이 없이 지붕을 씌운 부분을 말한다. 더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베란다는 바닥 면에 조성된 발코니라고 할 수 있다.
베란다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어 ‘baranda’에서 연원했다는 설이 있지만 힌디어 ‘varanda’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 더 유력하다. 인도의 주택에서 베란다는 집주인이 손님을 맞이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된다.
베란다는 집의 바깥 부분을 따라 조성된 지붕이 있는 단이다. 베란다의 높이는 지면과 같고, 종종 건물의 앞과 옆을 가로질러 확장한다. 개방된 공간이지만 부분적으로 닫혀있거나 난간이 설치되기도 한다.
베란다는 포치나 주랑현관과 연결되기도 하는 등 집 외벽을 따라 두른 데크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주로 층과 층의 면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공간을 지칭한다.
포치 & 파티오
포치와 파티오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공간이면서 대체로 테라스나, 베란다 등과 통합된 공간을 구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능과 형태에서 여타의 실외 공간과는 구분되는 구조이다.
포치porch는 건물의 현관 바로 앞에 있는 외부 구조물이고, 건물의 출입구 외부로 나온 쉘터shelter 부분이다. 따라서 지붕을 씌워 비와 햇빛을 막으면서도 벽이 없는 형태를 띤다. 종종 부분적으로 난간을 치는 형태도 있고, 규모에 따라 베란다와 혼용되기도 하고 주랑현관(portico)으로 불리기도 한다. 포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일체형(integral)과 맞춤형(applied)으로 구분된다.
파티오patio는 지면에 위치한 주거공간의 바로 바깥에 벽돌이나 타일, 목재, 콘크리트, 자갈(cobble) 등으로 포장된 공간이다. 굳이 우리말로 바꾸자면 ‘안뜰’로 풀이될 수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야외 식사나 휴식을 위해 의자와 탁자가 비치돼 있다는 점이다. 대개 하늘을 향해 개방돼 있고 부분적으로 울타리를 쳐 장식하기도 한다. 파티오는 스페인식 주택의 안마당을 지칭하는 것이었지만, 지금은 좀 더 광범위하게 주택에 딸린 야외 휴식 공간을 아우르는 의미로 사용된다.
포치는 현관과 이어지는 쉘터의 일종이다(아래 사진). 파티오는 탁자 세트를 놓아 식사를 즐기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한 공간이다(우측 위와 아래 사진). 포치와 파티오는 베란다나 테라스 등과 함께 집 밖의 풍경을 이룬다.
--------------------------
01)영어권 매체는 ‘www.impressiveinteriordesign.com’과 ‘www.homedit.com’, ‘www.finehomebuilding.com’을 참고했으며, 사전은『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Nikolas Davies, Erkki Jokiniemi, Elsevier, 2008)와『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Cyril M. Harris, McGraw-Hill, 2006)을 참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