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설계가 주는 감동이 있고 시공 디테일이 주는 또 다른 감동이 있다. 건축주 여경준 씨의 전역일에 맞춰 채세움과 집주인이 힘을 모아 8개월간 한 땀 한 땀 지은 원주 실용한옥은 반축이라는 명민한 설계가 주는 편리함에 더해 사람의 손맛이 만들어내는 감동이 더 큰 집이다.
잘 건조한 나무로 프레임을 짠 후 왕겨숯과 흙을 채운 숯 단열로 벽체와 지붕재로 사용해 친환경 원칙을 고수한 사람 중심의 집. 원주 고산리 한옥에서 정직한 집짓기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글과 사진 이종수
취재협조 채세움
HOUSE NOTE
DATA
위치 강원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
대지면적 714.05㎡(216평)
건축면적 89.45㎡(27.06 평)
연면적
102.91㎡(31.13평)
1층 89.45㎡(27.06 평)
다락 13.45㎡(4.07평)
건폐율 12.62%
용적률 13.65%
건축구조 중목구조
설계기간 2014년 11월 ~ 2015년 3월
공사기간 2015년 4월 ~ 2015년 6월
공사비용 1억 6,000만 원
설계 및 시공 채세움 033-733-0353 http://chaeseum.com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모니어기와
외벽 - 황토미장 후 회벽마감
내부마감
벽 - 황토미장과 회벽
천장 - 사각 서까래와 루바 노출형
바닥 - 소리잠 장판
단열재
지붕 - 숯 단열 지붕판
벽 - 숯 단열 벽체
창호 융기시스템창호
현관문 코렐
주방기구 한샘
한옥 이론으로 정평이 나 있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김봉렬 총장은 저서 <한옥에 살어리랏다> 서문에 이렇게 쓰고 있다.
“주택은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이다. 그렇다면 한옥은 한국인의 삶을 담은 집이다. 삶의 모습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한옥은 불변의 고정된 모형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적응하는 살아 있는 생명체다.”
고려시대에는 고려적인 한옥이, 조선시대에는 조선적인 한옥이 있은 것처럼 21세기에는 이 시대에 맞는 한옥이 존재한다는 것. 새로운 재료와 기술이 출현하고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지라도 한옥이 품어야 할 가치를 담고 있다면 결코 한옥에 위배되지 않는 것이 그가 말하는 한옥 정의의 핵심이다.
시각적 화려함 대신 정서적 풍족함을 주는 집, 계절의 변화를 체감하며 환경 친화적인 원칙 속에서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집이 바로 한옥이 품어야 할 가치일 터. 시공업체에서 원주 고산리에 지은 집을 자신 있게 ‘한옥’이라 부르는 이유이다.
기본을 지킨 집
집주인과 시공사의 인연은 몇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경준 씨는 전역 후 아내 이임순 씨와 평생 살 집을 지을 요량으로 열심히 자료를 모으고 건축박람회를 쫓아다녔다. 그러다 건축박람회에서 숯 단열 벽체를 처음 본 여경준 씨 부부는 벽체 하나를 만들기 위해 재료는 물론 모든 공정에서 엄격한 기준을 고집하는 채세움의 작업 현장을 직접 보고 실용한옥에 관심을 갖게 됐다. 자연소재인 숯과 흙, 나무로 지은 한옥에 머물며 ‘보이는 않는 곳은 튼튼하게, 보이는 곳을 아름답게’ 짓겠다는 한옥에 대한 시공사의 철학을 접한 그는 언젠가 집을 짓는다면 꼭 맡기리라 결심했다.
그리고 마침내 8개월 남짓 기다린 끝에 완성한 원주 고산리 한옥. 설계부터 골조, 숯 단열 벽체, 숯 단열 지붕판, 방수 시트까지는 시공사에서 시공하고, 이후에는 모두 집주인이 직접 현장소장이 되어 관리 감독하는 ‘반축’으로 진행했다. 전기와 미장, 기와, 방통 등 이후 공정은 시공사에서 소개한 전문가들이 집주인의 관리 감독 하에 이뤄지기 때문에 건축주 여경준 씨 부부는 함께 집을 짓는 기쁨을 누리면서 공사비도 절감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내 집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 분들은 자신이 직접 짓고 싶어 하기도 하고, 단열도 좋아야 하고, 친환경적으로 건강에 좋은 집을 짓고 싶어 합니다. 숯 단열 벽체와 지붕판은 그런 분들께 딱 맞는 집입니다. 다른 집과 다르게 기둥과 보를 끼워서 맞추는 방식이라 지붕의 모양과 집의 외관이 다양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전통 한옥이 100년이 넘게 가듯이 실용 한옥도 100년 넘게 갈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멋있어요.”
전통을 이어가려면 어느 정도 시대상을 반영해야 한다고 믿는 시공사는 전통 건축에서 디자인적으로 좋은 요소는 콘셉트로 적용하고, 효용성을 떨어뜨리는 부분은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원주 고산리에 실용 한옥을 완성했다.
집으로 들어서면 우선 나무와 황토 냄새에 취한다. 한 달 전 완공한 집이라고는 믿기 힘들 만큼 자연의 냄새가 가득 배어 있다. 공군에서 근무하다 전역한 집주인은 노후를 위해 이 집을 지었는데, 새 집 같지 않고 너무 편안해 오히려 이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즐거워졌단다. 좋은 재료로 지은 집이라 그런지 자고 나면 머리가 맑아진다는 것.
그러고 보니 이 집은 숯과 흙, 대나무, 편백나무, 올드 더글러스 등 친환경 자재가 아닌 다른 소재를 찾아보기 힘들다. 건축 내장재 골조는 올드 더글러스를 사용했고, 외벽 마감재는 숯 단열 벽체 위에 황토와 황토몰탈 양회를 사용했다. 이처럼 골조부터 마감까지 친환경 소재라는 한 가지 물성을 고집했다.
단열과 에너지 효율성까지 고려해 완성도에 신경 쓴 만큼 콘크리트나 유리 소재처럼 둔탁하지 않고 정교하게 마감할 수 있었다. 또 교외에 위치한 주택이라면 응당 걱정하게 되는 웃풍이라든지 단열, 난방 역시 꽤 만족스럽다. 보일러로 호환되는 벽난로에 숯 단열 흙벽 단열재, 성능 좋은 KCC이중창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집, 그 이상의 즐거움
고산리 한옥은 집주인 부부가 노후를 위해 평생 살기 위해 지은 집이다. 부부의 생활 패턴에 따라 각자 편안하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주방 위에 자리한 다락 서재는 그러한 용도다. 작은 한옥에서 거실이 가족의 안온한 공간이라면, 다락은 남편만의 독립된 공간이자 서재로 활용한 공간이다. 다락 한편에 가족들의 사진과 책장이 있고, 거실로 내려다보면 넓은 창을 통해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펼쳐진다. 아파트에서는 절대 누릴 수 없었던 행복이라고.
또한 매일매일 생활하는 집 어딘가에 자신만을 위한 특별한 장소를 만드는 것은 집이라는 공간이 주는 즐거움 중에서도 꽤나 큰 의미를 차지한다. 기름 먹인 은은한 황토색 종이 장판을 바른 뜨끈뜨끈한 구들방은 주인집 부부의 건강을 위해 만든 공간이다. 올겨울이면 구들방에 앉아 아궁이에 타닥타닥 장작이 타들어 가는 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집이 바로 안식처라는 안도감과 몸속 깊은 곳까지 퍼지는 편안함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8개월 동안 식구처럼 동고동락하며 한 땀 한 땀 지은 집. 잘 만들어진 구조재와 마감재로 사용하고 친환경 원칙을 고수하며 ‘사람 중심’이라는 집의 기본 품질을 갖춘 집. 그냥 지나치기 쉬운 집의 촉감과 향기까지 생각한 집. 무릇 집은 누군가의 삶을 담는 그릇이다. 이 집을 그릇에 비유한다면 그릇의 만듦새는 무척 탄탄했으며 정교하고 아늑했다.
[IN SHORT] 반축공사 과정
설계부터 골조, 숯 단열 벽체, 숯 단열 지붕판, 방수 시트까지는 시공사에서 시공하고, 이후에는 모두 집주인이 직접 현장소장이 되어 관리 감독하는 ‘반축’으로 진행했다. 전기와 미장, 기와, 방통 등 이후 공정은 채세움에서 소개한 전문가들이 집주인의 관리 감독 하에 이뤄지기 때문에 함께 집을 짓는 기쁨을 누리면서 공사비도 절감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나무로 프레임을 짠 후 왕겨숯을 가득 채우고 부직포로 막은 다음 흙을 채워 넣어 마감할 수 있게 각재와 대나무를 가로 세로로 엮어 만든 벽체이다. 만들어진 벽체에 흙으로 마감하면 숯 단열 흙벽이 완성된다. 단열성과 내구성, 방음성이 뛰어나며 지진에도 강해서 전통 건축물이나 한옥의 벽체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또한, 시공이 쉽고 두께도 다양해 저렴한 비용으로 건강하고 따뜻한 황토집을 지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덕분에 건축주가 직접 현장을 관리 감독하며 함께 집을 짓는 ‘반축半築’이 가능하다. 이번 원주 고산리 실용한옥도 반축으로 완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