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는 단어는 부르기만 해도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는, 영원한 내 편이기 때문이리라. 엄마의 마음을 담은 집이 원주 치악산 자락에 지난해 말 조용히 자리 잡았다. 1층 카페, 2층 가정집으로 이뤄진 복층집에는 가족의 건강과 꿈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글 김수진 사진 백홍기 취재협조 채세움
HOUSE NOTE
DATA
위치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흥양리
대지면적 812.00㎡(246.06평)
건축면적 120.41㎡(36.48평)
연면적 197.01㎡(59.70평)
1층 - 120.40㎡(36.48평)
2층 - 76.60㎡(23.21평)
건폐율 14.83%
용적률 24.26%
건축구조 황토 중량목구조
용도 계획관리지역, 자연경관지구
설계기간 2015년 8월 ~ 2015 9월
공사기간 2015년 10월 ~ 2015 12월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2층 수입 토기와
외벽 - 생석회
내부마감 바닥 - 포쉐린 수입 타일
천장 - 목재 노출
거실내벽 - 황토미장
주방내벽 - 2층 수입 도기타일
욕실내벽 - 2층 수입 도기타일
창호 - 1층 24㎜ 복층 로이유리,150㎜ 두께 알루미늄 단열바
2층 24㎜ 복층유리 플라스틱 창호
단열재 지붕 - 숯 단열 벽체
외벽 - 숯 단열 벽체
내벽 - 숯 단열 벽체
바닥 - 매트기초 / 20㎜ 반사매트 위 기포콘크리트 타설(100㎜)
주방기구 주문제작
위생기구 계림
설계 가산종합건축사사무소 010-5362-4057
시공 채세움 033-733-0353 www.cheaseum.com
“추운데 찾아오느라 고생 많았죠? 그래도 오늘 볕이 좋아서 다행이네요.”
강원도 원주 치악산 황골입석대 인근에 세워진 채세움 한옥에 도착하자 석혜경(54) 씨가 밖으로 나와 반갑게 기자를 맞았다. 마치 오랫동안 못 만났던 친구를 만난 듯 웃는 모습이 무척 살갑다. 카페 ‘궁’ 안주인의 모습에서 사람에 대한 애정이 넘쳐났다. 포근한 엄마 그 자체다.
치악산의 기운을 받다
20년 전 남편 김춘오(56) 씨를 따라 부산에서 시댁이 있는 원주로 올라온 석혜경 씨는 십자수 가게를 운영했었다. 제법 사람들에게 알려져 평판이 좋았단다. 그러던 중 우연히 도자기 핸드 페인팅 공예를 알게 됐고, 5년 전부터는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에 매진했다. 쌓이던 작품들이 빛을 못 봐 아깝다는 말을 들을 때 쯤 남편과 논의 끝에 치악산 자락으로 이사를 결정했다.
“가족 건강에 좋은 집에서 살고 싶었어요. 장소를 고민하다 치악산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이 곳을 선택했죠.”
사실 석혜경 씨의 가족들은 모두 조금씩 아프다. 몸이 불편한 남편에게 기운을 북돋아줄 수 있는 친자연적인 환경과 집을 마련해주고 싶었다. 또 산업 디자이너인 딸과 원화 작가인 아들도 몸이 많이 약해져있어 엄마 마음은 늘 불안했다. 심지어 서울서 일하던 딸이 매일같이 철야근무를 하다 쓰러지자 더 이상 내버려둬선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 건강을 책임질 수 있는 집부터 지어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어요. 고민하던 중 남편 지인이 지은 황토집을 보고선 바로 결정했어요. 우리 가족에게 안성맞춤이었죠. 또 제가 만지는 도자기 또한 흙으로 만드니까 당연히 흙집을 해야 한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가족들의 집은 복층이다. 1층은 카페로 활용하고 2층을 가정집으로 쓰고 있다. 카페를 열기로 결정하면서 주차까지 고려한 넉넉한 부지가 필요했다. 예상 밖으로 부지비용이 많이 들었다. 하지만 작품 활동과 가족의 건강, 두 마리 토끼를 놓치고 싶지 않아 집터를 마련했다. 대신 딸에게 바리스타 수업을 받게 해 가족 경영이 가능토록 했다.
잘될 집은 시작부터 좋다더니, 집을 지을 때부터 유명세를 떨쳤다. 좋은 자재로 정성들여 집을 짓는다고 인근에 소문이 파다했단다. 건축학과 학생도 관심 있게 보고 갔을 정도였다.
흙과 나무가 감싸주는 치유의 공간
채세움 한옥 건축 방식은 나무와 대나무로 지지틀을 만들고 내부에 왕겨숯 단열재를 채워 안전성과 단열, 방음, 내구성을 갖췄다. 한옥 벽체 방식 중 하나인 ‘외’엮기를 진화시킨 것. 공장서 제작해 현장에서는 설치하고 미장 마감만 하면 돼 시공이 간편하다. 여기에 벽과 바닥, 창호뿐만 아니라 지붕도 숯 단열 지붕판으로 만들어 ‘한옥은 춥다’는 편견까지 깼다. 지붕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공간을 만들어 여름철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해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좋은 자재로 지으니까 공사 걱정은 없었어요. 저는 큰 창문과 작업 및 전시 공간을 만들어달라는 주문만 했어요. 지금요? 완전 만족하죠.”
석헤경 씨의 말대로 커다란 창을 낸 1층에서는 빛의 향연이 펼쳐진다. 입구에 들어서면 다채롭게 빛나는 도자기들이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그 옆으로는 벽면 가득 석혜경 씨가 만든 작품들이 놓여있다. 커다란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에 색은 더욱 풍요롭게 공간을 채운다. 그리고 그 곳에서 모녀가 각자 작업을 한다. 딸이 쓴 캘리그라피 작품이 엄마의 도자기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겨울이 오면 봄이 멀지 않으리’ 글귀와 은은한 커피향이 모났던 마음을 조용히 달래준다.
1층이 빛과 색의 공간이라면, 2층은 치유가 이뤄지는 장소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서부터 본격적으로 황토집의 매력이 확 다가온다. 나무 계단과 발갛게 발린 황토가 내는 생명의 기운이 가득 느껴진다. 눈이 먼저 흙을 보고나면, 은은하게 퍼지는 흙과 나무의 냄새가 느껴진다. 마지막으로 벽에 손바닥을 가만히 대면 콘크리트에선 느낄 수 없는 포근함이 다가온다.
“집이 숨 쉬는 것 같아요. 이전에도 집을 지어서 살아봤는데 사람에게 공격적이지 않은 집은 황토집밖에 없는 것 같더라고요. 마치 예전부터 살았던 공간에 들어온 듯 편안했어요.”
석혜경 씨는 황토집 덕분인지 흔히 겪는다는 새집증후군 증상도 없었단다. 눈이 예민해 조금만 공기가 나빠도 눈이 아팠는데 이 집에선 그런 일이 없었다. 건강이라는 목표에 딱 맞는 집이다.
따뜻한 집에서 내일을 그리다
단열효과도 느낄 수 있었다. 말로만 들었는데 직접 겪으니 무척 놀라웠다고. 지난겨울 한파가 몰아쳤을 때 하루 동안 보일러를 끄고 집을 비웠던 적이 있었는데 돌아와 확인해보니 집 안 온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단다. 크게 낸 창과 온도조절을 스스로 하는 황토집이라 가능했던 일이다. 하루 종일 해가 잘 들 수 있도록 집을 앉힌 점도 마음에 들었다. 난방비 부담도 많이 덜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다. 황토벽이 상할까 못을 박기 어렵다는 것이다. 석혜경 씨는 “황토집을 고민한다면 처음 설계부터 수납공간을 넉넉히 마련하길 바란다”며 아내들이 남편한테 정확히 잘 설명해야 자기와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다며 소탈하게 웃었다.
가족들은 앞으로 다양하게 건물을 꾸미겠다는 계획이다. 멈춰있기보다는 변화하는 공간이 삶을 적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벽에 그림도 그리고 1층엔 가족을 위한 프라이빗 공간도 새롭게 마련할거예요. 손님들도 가족도 모두 행복하고 건강한 집으로 만들고 싶어요. 또 카페에서 도자기와 인형공예 강습을 열고 있는데 연주회나 전시회도 개최해볼까 해요. 아! 여름이면 집 옆 밭에서 키우는 도라지가 보라색 꽃으로 장관을 이루는데 그 때 찾아올 손님들 반응도 무척 기대돼요. 마지막으로 해질녘 카페 불빛이 산자락을 밝힐 때 정말 예쁘거든요. 혹여 오가게 되면 들려서 맑고 건강한 기운을 얻고 가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