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수공식 통나무주택은 그 자체가 삼림욕장으로 일상에서 쌓인 스트레스와 피로를 싹 날려버린다. 또한, 아름다운 나뭇결을 지닌 통나무 그 자체가 구조재요, 인테리어 자재다. 장수 주택은 근래 보기 드문 수공식 원형 통나무를 사용했으며, 포스트 앤 빔에다 노치Notch 그리고 경량목구조 공법을 혼용했다. 목조주택의 공법별 장점을 취합했기에 내구성은 물론 쾌적성, 미관성, 건강성 면에서 손색이 없어 보인다.

 윤홍로 기자  
사진 김경한 기자

 HOUSE NOTE
 DATA
위치 전남 장성군 북하면 용두리
지역/지구 도시지역, 상업지구
건축구조 통나무 포스트 & 빔 구조
대지면적 231.40㎡(70.00평)
건축면적 91.31㎡(27.67평)
연면적 
142.58㎡(43.21평)
1층 87.84㎡(26.62평)
2층 54.74㎡(16.59평)
설계기간 2016년 5월
공사기간 2016년 6월 ~ 10월
공사비용 2억 8천만 원(3.3㎡당 650만 원)
설계 및 시공 ㈜나무나라 1855-1993 www.나무나라.com

전원주택보다 별장이란 용어가 통용되던 1980년대 초반엔 수공식 풀 노치Full Notch 공법의 통나무주택이 주류를 이뤘다. 그 당시 통나무주택은 농경사회에서 산업화사회로 옮겨오면서 산업으로 부를 축적한 사람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다.

전원주택이 보편화된 오늘날에도 기계식과 달리 원형 수공식 통나무주택은 고급형에 속한다. 요즘엔 풀 노치보다 포스트 앤 빔에다 북미식 경량목구조 벽체를 혼용한 통나무주택이 주로 지어진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 용두리 43.21평 복층 통나무주택이 그러하다. 굳이 차이점을 찾는다면 포스트 앤 빔에 일부분 노치를 적용해 플랫폼을 형성한 뒤, 그 위에 다시 포스트 앤 빔 구조를 접목한 부분이다. 

장성 통나무주택은 서울에서 약품 도매업체를 운영하는 건축주가 낡고 허름한 고향집을 헐고 세컨드 하우스로 지은 것이다. 좌우 비례로 균형감을 갖춘 입면에 박공지붕의 모양, 창호의 크기와 형태, 층의 마감재를 달리 적용해 변화미가 느껴진다.

동서양의 건축구조를 접목한 수공식 통나무주택.

또한, 동측과 남측은 이웃 필지에 접하고, 북측과 서측에서 마을길을 사이에 두고 구거溝渠가 지나는 70평 부정형 대지의 한계를 극복한 주택 배치가 눈에 띈다. 북측의 도로와 구거에서 일정 거리를 띄어 외부 간섭을 피하면서 법정 주차 면적을 확보하고, 동측으로 가까이 붙여 서향으로 앉힘으로써 비교적 넓은 앞마당까지 확보한 형태다.

1층 평면도
계단실에서 바라본 거실. 오픈 실링 구조로 마감재가 목재라 마치 삼림욕장에 들어온 듯하다.
홀. 현관, 1층 각 실, 2층으로 동선이 효율적으로 갈리는 분기점이다.

통나무주택, 건강성 주거의 진수
장성 주택의 외관은 동양과 서양 건축의 만남이라고 할까. 지름이 30㎝가 넘는 더글러스 퍼(미송) 원기둥 사이의 황토벽돌, 사각기둥 사이의 적삼목 베벨 사이딩 그리고 박공지붕 위에 올린 스페니쉬 기와가 그러하다. 육중한 골조와 그 위에 살짝 올려놓은 박공지붕이 대조를 이루는 가운데 묘하게 어우러지는 형태다.

1층 벽체는 30㎝ 정도 두께인데 안에서부터 석고보드, 글라스 울, 구조용 합판, 방수·투습지, 중공층, 황토벽돌 순으로 시공했다. 벽체 시공 시 이물질 간 수축 팽창으로 틈이 발생해 단열 효과가 떨어지지 않도록 황토벽돌 크기(150×150×300㎜)에 맞춰 원목 기둥에 홈을 팠다. 이처럼 포스트 앤 빔 공법에 경량목구조의 전단벽체를 혼용하면 지진과 바람 등 수평하중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단열 효과를 높이며 바탕 벽체를 활용해 다양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다.

거실과 소통하기 편한 대면형 주방/식당.
1층 우측 뒤에 배치한 찜질방. 기능에 충실해 원목과 황토벽돌 등 건강성 자재로 마감했다.
1층 우측 전면 방. 육중한 원목의 질감이 살아 있다.

현관은 바닥을 화강석 버너구이로, 벽과 천장을 레드파인 루버로 그리고 거실에 접한 벽을 부분적으로 스크린을 겸한 한옥의 세살창으로 디자인해 현대미와 고전미가 조화를 이룬다. 현관에 들어서 중문을 열면 작은 홀이 나오며, 이곳에서 좌측의 거실과 주방/식당, 우측 2개의 방 그리고 2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실로 동선이 갈린다. 1층 화장실을 현관과 계단실 가까이 배치해 각 실 어디에서나 접근하기 편하다.

작은 평형일수록 간단하고 깔끔한 공간 구성이 유리하다. 세컨드 하우스 겸 가족과 직원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한 장성 주택이 그러하다. 건축 목적에 맞게 1층은 공적 요소를, 2층은 사적 요소를 반영했다. 1층은 홀을 기준으로 좌측엔 거실과 주방/식당을, 우측엔 작은 방과 찜질방을 배치한 구조다. 좌측의 경우 전면의 천장을 오픈한 거실과 후면의 주방/식당을 대면형으로 배치해 수직·수평적으로 공간감을 확장한 형태다. 주방/식당 옆엔 뒤꼍의 찜질방에 군불만 때는 함실아궁이로 나가는 작은 문을 냈다.

전통미가 물씬한 소품들.
숲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으로 디자인한 계단실.

2층은 가족실과 방, 욕실로 공간을 단출하게 구성한 구조다. 주방/식당 위에 배치한 가족실은 거실과 소통하는 오픈 형태로, 거실 전면 고창을 통해 밖을 내다볼 수 있다. 사실상 마스터 룸 역할을 하는 우측 방은 전면 일부를 박공지붕을 활용해 경사형으로 처리한 점이 특이하다. 방 한 개만한 욕실은 침엽수 중 단위 면적당 피톤치드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편백 루버로 마감했음인지 분위기가 보송보송하다. 이 욕실은 특이하게 문이 두 개인데 하나는 마스터룸에서, 다른 하나는 복도에서 통한다.

2층 평면도
가족실에서 내려다본 거실.
2층 가족실. 앉은자리에서 편안하게 거실 전면 고창으로 밖을 내다볼 수 있다.

기둥과 벽, 장선 등 눈길이 닿은 곳마다 아름다운 나무의 무늬 결로 넘쳐난다. 특히 보와 도리 위에 노치 공법으로 앉힌 장선은 육중하기까지 하다. 통나무주택의 매력은 나무의 이점을 차지하고, 그 자체가 구조재이자 인테리어 자재 역할을 해내는 데 있다. 가족실에서 내려다본 거실은 나뭇조각으로 수를 놓은 아트월과 벽난로 원목 탁자 등으로 짜임새가 오밀조밀하다.

가족실엔 각종 약재를 싸리 채반에 널어놓아 약재와 나무 향기가 한데 어우러져 전원 속 통나무주택임을 실감케 한다. 건축주가 세컨드 하우스로 왜 포스트 앤 빔 공법의 통나무주택을 지었는지, 1층에 왜 찜질방을 드렸는지 짐작할 만하다. 피톤치드를 품은 통나무 향기가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찜질방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건강성 주거인 통나무주택은 건축주에겐 에너지 충전소 그 자체가 아닐까. 

2층 마스터 룸. 박공지붕 구조를 활용해 부분적으로 다락방처럼 디자인한 천장이 이채롭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목향木香 가득 품은 에너지 충전소 장성 통나무주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