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검은 현무암과 커다란 편마암이 묵직하게 자리한 틈으로 작은 이끼들이 빼꼼히 자라고 있다.  풋풋한 야생화와 아담한 폭포가 흐르는 정원이 향토적이고 푸근하다.  돌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아 만든 이곳은 수 세기 동안 닳고 깨어져 완성된 독특한 형상을 뽐내는 돌로 가득하다.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취재협조  원예예술촌  055-867-4702 
                 www.housengarden.net  

•motive  돌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다
•item  현무암, 편마암, 폭포, 연못, 석부작, 온실
•location  경남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원예예술촌 

평범한 주부 박혜숙 씨는 혼자만의 공간, 자신만의 정원을 갖는 게 꿈이었는데 자녀가 장성하고 나서야 그 꿈을 이루게 됐다. 어릴 적부터 그녀의 마음속에 차곡차곡 쌓아온 꽃과 풀에 대한 애정은 자연스레 원예로 이어졌고 그 관심은 돌에 정착한다. 현무암을 좋아하는 그녀는 직접 돌을 놓아가며 정원을 완성했다. 거의 1년간 정원 만드는 데 온 힘을 쏟아 나중엔 병이 났을 정도였다.
    
“돌 구하러 다니랴 정원 만들랴 고생을 너무 많이 했는데 아픈 줄도 모른 채 열중했어요. 몸은 힘들지만 마음만은 뿌듯하던걸요.”
    
하나부터 열까지 혼자 힘으로 만든 정원이다. 언덕 정상 부근에 터를 잡아 경사를 이용한 작은 폭포를 만들고 곳곳에 돌을 놓아 정원을 꾸몄다. 현무암과 편마암이 주를 이루는 그녀의 정원에는 식물보다 돌이 중심을 이룬다.
    
정원에 들어서는 입구에도, 건물로 들어가는 계단 주변에도 돌이 먼저 반겨준다.

화사한 목조주택과 정원. 쪽빛 하늘에서 남쪽 지방 특유의 분위기가 물씬 묻어난다. / 붉은빛의 단풍과 디딤돌이 조화로운 모습. 단풍나무 밑엔 우체통을 소품으로 놨다.
인위적으로 깎지 않았는데 제각기 독특한 모양을 가진 돌. 마치 새가 앉아 있는 듯한 모습이다.

, 전국에서 공수하다
현무암은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다른 지역으로 반출이 불가능하다.
제주 국제자유도시 특별법 시행 조례에 따라 제주도 내에 있는 화산분출물, 퇴적암, 현무암 등의 자연석이 관리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제주도 밖으로 돌을 가지고 나가려면 시장, 군수의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돌 구하기가 워낙 어려웠어요. 그런데 우연히 서울 정릉에서 현무암으로 치장된 주택을 발견한 거예요. 다행인지 그 주택이 아파트로 재개발된다고 하기에 냉큼 얻어 왔어요.”
    
정원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고 있는 편마암은 충청도에서 구해온 돌이다. 서울과 충청도에서부터 머나먼 남해까지, 커다란 돌덩이를 옮기기는 몹시 어려웠을 것이다. 산길 굽이굽이 5톤 트럭의 행렬이 오지에 가까웠던 이곳에 진기한 풍경을 만들기도 했다.
    
그렇게 공수한 돌들은 고유의 모양을 살려 제각각 위치를 정하고 그 주위에 화초를 식재했다. 소나무도 심고 윤향나무, 금낭화, 돌단풍 등을 조화롭게 배치했다. 현무암을 쌓아 연출한 폭포 아래 작은 연못에는 수생식물을 심었다. 경사로 만들어진 골짜기엔 소담스러운 풀꽃을 심어 하나의 작은 산을 형성한다.  

정원의 진입로. 입구에서부터 석부작을 만날 수 있다.
독특한 모 양의 현무암 사이에 어우러진 연못.
윤향나무, 금낭화, 돌단풍 등의 수목과 소나무를 식재했다. / 집으로 올라가는 돌계단에 풀꽃이 가득 폈다.

고고한 석부작의 멋
석부작은 현무암에 이끼나 양치식물을 식재해 만드는 분재다. 현무암을 깨끗이 씻어 그 돌 틈 사이사이에 영양을 흡수할 거름을 깔고 원하는 종류의 식물을 심으면 된다. 현무암은 크고 작은 구멍이 나 있어 수분 흡수력이 좋아 식물이 잘 자라고 관리도 어렵지 않다. 식물이 썩지 않게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통풍을 잘 시켜주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한번 식물을 식재하면 크게 손댈 일이 없지만 돌 틈이 좁아 거름 주는 것에만 신경을 잘 쓰면 된다. 거름으로는 식물이 오랜 시간 퇴적해 만들어진 토탄이 들어간 생명토를 사용한다.
정원뿐 아니라 집 안에도 석부작을 두었다. 관상용으로 좋으며 수분을 머금고 있어 실내 조습에도 효과적이다.
    
집 뒤쪽 작은 온실에도 돌을 이용해 만든 조경물을 진열해 두었다. 온실에는 문어 잡던 망, 깨진 돌, 안 쓰는 항아리… 돈을 주고 사려 하면 구하기 쉽지 않을 성싶은 물건들이 한 편을 장식해 제법 운치를 더한다. 그녀는 평소 주변에 눈에 띄는 것을 가져다 정원 적당한 곳에 배치한다.
    
“작은 돌 하나도 단단하고 고고한 기운이 전해져 오는 것 같아요. 모습도, 크기도 다르지만 다 각자의 매력이 있어요. 나는 다시 태어난다면 돌이나 식물로 태어나고 싶어요. 그렇게 돌이 좋고 자연이 좋아요.”

원 진입로는 꽃과 나무로 꾸몄다. 둥글게 빚어 놓은 듯한 늙은 호박은 그냥 두기 만 해도 장식이 된다. / 집 앞에도 석부작을 놓았다
독특한 모양의 현무암 사이에 핀 철쭉 / 조경물에 큰돈을 들이지 않고 주변에서 모아 만든다. 재료 수집부터 완성까지 손길 안 닿은 곳이 없어 더욱 애착이 깊다.
집 뒤에 온실을 만들어 조경물을 진열했다. 모두 박혜숙 씨가 직접 만든 것들이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남해 원예예술촌 주택정원】 고고한 석부작의 세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