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죽전택지 개발지구 내 두 필지에 '살구나무 집'이 들어섰다. 경사지에 앉고 아래위로 나란히 위치하기에 여기는 살구나무 아랫집과 살구나무 윗집으로 불린다. 아랫집과 윗집에 사는 사람은  '아파트와 바꾼 집'이라는 책을 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박철수 교수와 명지대학교 주거건축 전공 박인석 교수다. 이들이 힘을 합쳐 지은 '살구나무집'으로 들어가 보자.

글/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건축정보
위치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죽전택지 개발지구 내
건축형태  복층 철근콘크리트주택
대지면적  337.6㎡(102.1평)
건축면적  263.3㎡(79.7평)
지붕재  징크
외벽재  고벽돌
내벽재  페인트
바닥재  온돌마루
난방형태  도시가스
설계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02-562-7576
          http://soltos.kr/
시공  ㈜에스화이브

박철수, 박인석 교수는 아파트 전문가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택= 아파트'라는 등식이 공식화처럼 돼 있어 주거를 연구하는 이들이지만 세간은 그들에게 아파트 전문가라는 '딱지'를 붙였다.

그러나 그들은 단호히 이를 거부한다. 박철수 교수는 "표준적이고 균질적이고 자폐적이고 냉소적인 '단지형 사회'에서 서로 다름의 차이를 존중하고 배려하고 소통하는 '열린 공간'으로 사회 환경이 바뀌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박인석 교수는 "주택 수요가 아파트에 편중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변화시키려면 경제성, 편리성, 쾌적성에서 아파트 단지와 경쟁할 만한 주거 유형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이들은 아파트를 대체할 '열린 공간'으로, 아파트 단지와 경쟁에서 앞설 수 있는 '주거 유형'으로 '살구나무 집' 을 구상하고 실행에 옮긴 것이다.

문패는 캘리그래프를 공부한 박철수 교수의 장녀가 직접 디자인했다. / 정원에 만든 담. 우리나라 전통 느낌의 낮은 담을 쌓고 그 위에 소박한 토기를 올려 운치 살렸다.

단지, 마당이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대개의 건축사들은'집'에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집을 짓는다는 것이 마치 성스러운 작업인 것인 양 온갖 미사여구를 들이대는데 물론 그럴 수도 있게 다. '하늘과 땅과 자연과 대화하는 집'일 수도 있게고 '청빈과 공명이 살아 숨 쉬는 집'일 수도 있게다. 그러나 그것이 뭐 그리 대수랴. 정작 그들이 그렇게 공을 들여 내놓은 결과물에 사는 사람이 만족하지 못하고 그들이 만들어 낸 미사여구를 전혀 느낄 수 없다면 집은 그저 천덕꾸러기에 불과하다. '살구나무 집'은 우리나라 주거 전문가와 단독주택 설계 부문에 명성 높은 건축사가 만나 완성한 주택이다. 그렇다면 이 집도 건축에 해박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이해하기 어려운'의미'들이 함축돼 있을까.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우리가 집을 짓겠다고 마음먹은 이유는 사람들이 흔히 꼽는 것과 똑같이 '마당이 있는 집에 살고 싶어서'일 뿐이었어요. 풀어 설명하자면 마당에서 혹은 마당을 내다보며 차 한 잔 마시는 여유와 마당에서 잡초 뽑느라 때론 꽃나무를 심고 가꾸느라 땀 흘리는 시간을 갖고 싶어서였습니다."
 
콘크리트 더미에서 벗어나 마당에서 흙일하는 시간을 갖고 싶은 마음, 손수 키운 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지켜보며 커피 한 잔 하고 싶은 마음, 좀 더 여유가 있다면 나만의 작업실과 가족을 위한 공간이 있었으면 하는 마 음. 전원주택을 짓고자 하는 예비 건축주들이 심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살구나무 집'은 거부감이 없는 친근함이 가장 큰 매력이다.

2층으로 올라가는 일직선 계단
2층엔 다락이 있는 같은 구조의 방을 두 개 앉혔다

1층에 있는 안방 침실의 모습. / 박철수 교수의 서재. 안방과 서재 사이엔 드레스룸이 있고 이 공간은 복도로 연결된다.
거실과 주방은 오픈된 구조다. 두 교수와 건축가, 지인이 모여 대화를 나누고 있다.
자녀가 생활하는 2층. 거실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방이 있다. 거실은 파우더룸으로 꾸며 자매가 편하게 사용한다.
1층 거실 안쪽에 자리한 주방. / 주방과 현관 사이에 복도를 만 1 들었고 미닫이문을 설치해 다용도실로 이용하고 있다.

적합한 재료를 찾고 좋은 집을 만드는 것은 건축사의 몫
주거 전문가답게 두 교수는 이 집을 통해 단독주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바로 '보통 수준의 공사비로 건실하면서 품격을 갖춘 집'이다. 이들이 말하는 보통 수준의 공사비는 평당 460만~480만 원이다.
 
건축사가 참여해 지은 집이 평당 650만~750만 원인 점을 감안하면 60~7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그리고 품격을 갖춘 집이란 실용적이면 서 재료가 멋으로 드러나는 집, 동네 풍경에 보탬이 되는 집이다. 과장되지 않으면서 동네와 골목에 대한 배려를 갖춘 집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살구나무 집'도 여기에 중점을 두고 모든 건축 과정이 진행됐다.
 
정해진 예산에 적합한 재료를 찾고 이웃과 어울리는 집을 만드는 것은 건축주인 건축학과 교수가 아닌 전문가인 건축사의 몫으로 돌렸다. 물론 과정에 욕심이 생겨 예산이 초과할 뻔했으나 두 교수는 초심을 잃지 않으려 했고 결국 끝까지 이를 지켰다.
 
"좋은 건축가와 함께 보통 사람이 납득할 만한 비용으로 실용적이고 품격 있는 집을 짓는 사례를 만들어 내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고 우리에게 어울리는 일이라 믿었습니다."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죽전택지 개발지구 단독주택 용지 내 아랫집이 박철수 교수 집이고 윗집이 박인석 교 수 집이다. 동네 풍광을 헤치지 않으려 기존 경사지를 그대로 살려 집이 들어설 자리를 잡고 동서방향으로 길고 서쪽으로 녹지와 접해있는 대지 조건을 고려해 서쪽으로 향을 잡았다.

그리고 그들이 '마당'이 갖고 싶어 단독주택을 짓고자 했기에 아랫집 윗집 모두 그들만의 정원을 마련했다. 마당과 인접한 곳에 거실이 앉을 자리를 잡고 내부에서 큰 창을 내 안에서도 마당이 훤히 보이도록 했다. 또 거실과 같은 높이로 -자형 덱을 깔아 이를 휴게 공간으로 활용한다. 두 건축주는 새로 지은 집이지만 마치 오래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느껴지는 집을 원했다. '어 집이 들어섰네'하며 쳐다보게 되는 집이 아닌 무심코 지나가게 되는 집을 바랐다. 그 들은 그것이 이곳 원주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여겼는지도 모르겠다.

집을 완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두 교수는'아파트와 바꾼 집'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책에서 그 들은 이렇게 말한다. "평당 460만~480만 원이라는 금액은 건축주가 별도로 구입하는 가구나 커튼은 제외하고 붙박이장이나 책장 등 인테리어 공사 전체와 기본적인 조경 공사까지를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 이 정도 공사비로 지을 수 있는 집을 설계하는 건축사를 만나기는 쉽지 않다. 우리 사회에 아파트 이외에는 기본형이라 할 만한 건축가 설계가 없다는 얘기다.

측면에서 바라본 아랫집의 모습. / 밖에선 잘 보이지 않는 아늑한 정원.
안마당을 구분해주는 낮은 담장이다. / 경사진 부지의 특징을 잘 살렸다. 대문을 열면 차고 겸 지하실이다.

현관 앞 진입로.
맞은편에서 내려다본 살구나무집의 전경.

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용인 전원주택】 아파트와 바꾼 살구나무 아랫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