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에너지 고효율화에 장식 효과까지
‘차양’의 사전적 의미는 ‘햇볕을 가리기 위해 개구부의 상부 벽이나 지붕 끝에 내밀어 만든 지붕’이다(현재 캐노피 또는 어닝과 흡사). 현장에서는 일사량을 조절하는 모든 방식·제품을 통칭한다. 차양이 현대화되고 외국의 선진 차양 기술이 국내에 도입되면서, 차양의 의미 확장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달에는 블라인드 연재의 첫 번째로 차양의 필요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김동석
자료협조  준쉐이드  02-323-8181  www.junshade.co.kr

‘차양’은 현재 보다 복잡한 기능성과 디자인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아우르고 있다. 차양은 근대화 이전부터 중요성이 부각됐으며, 현재는 블라인드 및 커튼과 같이 창문의 내·외부에 설치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차양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한 시기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즈음으로 추정된다.《조선왕조실록》에는 차양이란 단어가 수차례 등장한다. 이것으로 보아 당시 차양이 건축에서 주요 부분 중 하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윤복의 풍속도를 보면 일반 백성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창호에 걸어 설치하는 ‘발’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차양이 블라인드, 커튼과 가장 흡사한 방식임을 고려하면, 발 역시 전통 차양의 한 형태로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도. 솔가지로 덧댄 보첨형 차양 모습 / 혜원 신윤복의 풍속도. 초가지붕의 보첨형과 발의 개념이 담긴 차양 모습

블라인드의 보편화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초반에 들어서 블라인드가 실내에서 자주 보이기 시작했다. 다양하게 디자인된 블라인드가 소개됐기 때문이다. 더불어 커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퍼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로 급변했던 국내 주거시장에 해외 블라인드 업체들이 진입하는 계기가 됐고, 국내 블라인드 업체도 속속 생겨났다.
 
실내 블라인드는 1980년대 말, 1990년 초부터 널리 사용됐다. 다양한 디자인이 등장했고, 커튼 대용으로 사용한다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했다. 90년대 후반에는 블라인드, 어닝 등 현대식 차양 시스템을 도입한 경쟁업체들이 늘어났다.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대규모 신도시가 형성되어 블라인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업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저마다 다양한 소재와 기능의 블라인드를 만들었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차양의 르네상스시대’가 열렸다. 인터넷은 마케팅의 변화(쇼핑몰)를 가져왔고 유통망을 증가시켰다. 현재는 치열한 무한 경쟁시대를 지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차양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절약, 내장형 창호의 융·복합형 제품 연구를 시작으로 날씨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는 제품 등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차양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차양 제품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고객 수준도 높아져 인테리어 디자인의 하나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는 2017년에 신축 건축물의 건축기준을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높였고, 공공건축물은 2020년, 민간건축물은 2025년까지 제로에너지 주택 건설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로 인해 열관리를 돕는 차양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세기 이전에 지어진 보첨시설로 지금까지 남아있는 눈썹지붕의 종류로는 보통 세 가지 정도의 유형이 있다.

운현궁 보첨(맞배지붕에 덧대어 만든 형태) / 돈암서원(별도로 기둥을 세워 만든 형태)
해남 윤씨 녹우당(눈썹지붕을 지붕에 이은 형태)

블라인드의 필요성
앞에서 언급했듯이 차양의 개념이 넓어졌고, 필요성 또한 확장되고 있다. 그 중심에 소비자의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있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일상생활 속에 깊이 관여하며 차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주택을 건축하며 창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 경우 난방이나 빛 차단, 어린이 안전사고, 사생활 보호의 기능이 떨어진다. 블라인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며 집 안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인테리어 효과까지 준다.
 
또한, 한국건설연구원 그린빌딩연구실에 따르면 여름철에 블라인드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조절할 경우 온도가 평균적으로 3℃ 정도 떨어진다고 한다. 1℃ 떨어질 때마다 에너지 7%를 절약할 수 있는데, 햇볕이 강한 오후만이라도 블라인드나 커튼을 치면 선풍기 15대를 돌릴 수 있는 전기를 아낄 수 있다고 한다.
 
아울러 제4차 산업시대에 맞추어 제품·제조회사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을 이용해 통신사와 융·복합적인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차양 산업계는 그동안 영세하다는 편견을 뒤로하고 해마다 전문화되고 내실 있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면서, “앞으로 건축물의 고효율화를 실현하면서도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실내 블라인드는 1980년대 말, 1990년 초부터 널리 사용됐다. 다양한 디자인이 등장했고, 커튼 대용으로 사용한다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했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Blind Story】 차양(블라인드 및 커튼)의 필요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