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한옥이 위풍당당해 보이는 것은 그 안에 장인의 고고한 정신이 배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장흥리 한옥에서 바로 그 위풍당당함을 볼 수 있었다. 규모와 화려함에 시선을 빼앗기는 장흥리 한옥은 난방과 단열을 위한 현대 자재를 추가한 것 외에 건축 방법은 옛날 방식 그대로 따랐다. 구조 부재를 일일이 손으로 다듬고 암수 홈을 따내어 조립하는 전 과정에 장인의 땀과 혼이 뱄을 것이다. 이처럼 견고한 한옥을 장인들에게 짓도록 한 건축주의 식견에도 놀라울 따름이다.
 
.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취재협조  금송건축 032-937-9355
http://www.ksbuilder.co.kr/

10년 전 강화에 콘크리트 구조로 주말주택을 지은 박민호 씨는 일생에 마지막 짓는 집으로 한옥을 선택했다. 건축 유형 중 가장 자연과 조화로운 집일뿐 아니라 재료 또한 폐기시 자연으로 그대로 돌아가 웰빙을 실현하는 집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재료는 당연히 몸에도 유익하다.
 
그리고 박 씨는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전통 한옥의 품격과 조형적 아름다움을 제대로 살리고자 했다. 동시에 최근 화제가 되는 단열 면에서도 유리한 한옥을 구현하고자 했음은 물론이다. 그렇게 지어진 강화 길상면 장흥리 한옥은 전통과 현대를 잘 조화시킨 ㄱ자형 오량집으로 완성됐다. 고아하면서 화려한 외관이 가히 압도적이다. 공간마다 다양한 문살의 전통목문, 안채 규모에 맞춰 올린 창방 위 장여와 소로 그리고 부연을 달아 장식성을 가미한 지붕 구조, 검은 기와의 묵직함보다 가볍고 화려한 느낌의 청기와 등이 현란하게 빛나고 있다.
 
가운데 마당을 널찍하게 두고 건물을 뚝뚝 떨어트려 배치한 옛 방식처럼 화강석으로 쌓아 올린 담장 너머로 대문 가까이 -자형 사랑채 맞배지붕과 멀리 안쪽으로 위풍당당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안채 팔작지붕이 보인다. 부지의 경사를 이용해 대문에서 오르는 계단을 만들어 마당으로 진입하고 사랑채 지하를 주차장으로 활용했다. 240.3㎡(72.8평) 한옥건축에 소요된 기간은 총 7개월로, 골조 부재 치목에 1개월, 조립에 3일, 지붕 가구 부재치목 및 조립과 기와 마감까지 2개월, 내외장 공사 2개월, 창호 짜기 및 설치에 3개월 걸렸다.

이처럼 한옥은 골조를 세우는 것보다 지붕 공사에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지붕에 한옥 고유의 선을 표현하는 요소들이 있으며 어떤 요소를 더하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건물 전체의 외관을 결정한다. 목수의 솜씨가 여기서 발휘된다. 장흥리 한옥은 한옥의 참맛을 살리기 위해 각 부분 한옥 전문가에게 시공을 맡겼는데 목창호는 명장 가풍국 소목장이 짰고 3.3평가량 구들방에 놓은 구들 설비는 구들 장인인 구들 문화원 오홍식 원장이 놓았다.

우측 진입로에서 본 안채(본채).
맞배지붕의 사랑채(별채).
ㄱ자형 한옥. 우측 누마루에 창문을 달았다.
누마루 계자난간과 멀리 솟을대문이 보인다.
분합문을 달고 쪽마루를 설치했다. 한옥 처마는 채광 조절 및 계절에 따라 더운 공기와 서늘한 공기를 만들어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준다. / 안방 외벽. 두 개 층의 머름과 황토벽돌, 명장의 솜씨로 완성된 목창호, 소로 등 장식 요소가 화려함을 뽐낸다.

권문세가를 상징하는 솟을대문이 위엄 있다. 대문을 잘 세워야 복이 들어온다고 했다. / 한옥의 정취를 풍기는 조경 식물과 장독대 그리고 물확.

양모 단열재, 이중창으로 단열 보완
열 자(303㎝)에 한자 세치(39㎝)의 우람한 원형기둥을 세워 기둥-보 구조로 올린 후 벽체는 황토벽돌 이중 쌓기 방식으로 시공했다. 벽돌 사이에 천연양모 단열재를 충전해 단열을 높였으며 건강성을 누리고자 내부에도 벽돌을 그대로 노출시켰다. 자연재료라도 제조 과정을 거친 자재는 그 성분과 성능을 확인한 후에야 시공을 허락할 정도로 건축주는 건축 과정에 세심하게 관여했다. 황토벽돌은 공장에 가서 제조 과정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화학시험 검사소에 성분 검사를 의뢰했을 정도다. 황토벽돌은 검사 결과 황토성분이 98.2%로 나타나 안심하고 사용했다. 굽지 않은 생황토인이 벽돌은 한 방향으로 눌러서 압축하는 방식이 아닌 윤전기로 양방향에서 압축해 건조한 것이라 더욱 단단하다.
 
"콘크리트집이야 20, 30년이면 헐고 다시 짓기도 하지만 한옥은 쉽게 짓고 쉽게 허무는 집이 아니잖아요. 내 대뿐 아니라 후세까지, 몇 백 년도 갈 수 있는데 인체에 해를 끼치는 안 좋은 성분이 들어간 재료를 어떻게 쓰겠어요. 그래서 철저하게 조사하고 검토한 다음 적용했어요."

단열을 높이기 위해 벽체뿐 아니라 지붕 속에도 단열재를 시공했다. 이 또한 인체 무해하며 단열성능이 탁월한 100% 뉴질랜드 양모로 만든 단열재다. 양모 단열재는 시중에 나와있는 웬만한 단열재에 비해 성능이 뛰어난 등 다양한 장점으로 가격이 높은 탓에 고급 주택에 주로 적용하는 추세다. 박 씨는 양모 단열재가 100% 천연 제품이라는 점에서 마음에 들었고 샘플을 얻어 간단한 실험을 해 본 결과 성능에도 만족했다.
 
지붕 속에는 개판이나 우물 반자 위에 양모 단열재 150㎜, 숯 200㎜, 흙 200㎜를 올렸다. 숯과 흙은 단열도 보완하지만 습기를 조절하고, 특히 흙은 사개맞춤으로 짜인 구조가 흙의 묵직함에 눌려 자리를 잡도록 돕는다. 토담집에 들어갔을 때처럼 편안한 느낌을 주는 역할도 한다.
 
과거 흙과 나무 틈이 벌어지면서 외풍이 있었던 점을 감안해 주심도리 위에 놓는 서까래를 일일이 양모 단열재로 감싼 후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를 막는 흙 당골 막이 작업을 했다. 당골막이를 해도 나중에 서까래와 흙 사이가 벌어지면서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데 단열재로 감싸 놓으면 나무틈이 벌어지더라도 안심할 수 있다.
 
한옥이라고 피해 갈 수 없는 부분인 열 손실이 많은 창호는 창호지를 바른 전통 목문을 설치하고 복층 유리 창호를 덧달아 한옥의 정체성을 살리면서 단열을 보완했다. 모든 공간에 이처럼 이 문을 적용했다.

치장 요소가 상당한 화려한 한옥
장흥리 한옥은 여섯 자(181.8㎝) 서까래가 내부에서는 거실 오량 천장의 자연미를 만들어내고 외부에서는 처마 선의 곡선을 잘 살리고 있다. 특히 작업의 까다로움을 이유로 개량 한옥에 잘 시공하지 않는 선자연이 천장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거실 전면에 배치한 누마루 양쪽 추녀 아래 시공한 선 자연은 각 20개씩 부챗살처럼 얇았다가 펼쳐지는 모양새가 일품이다.

원래 누마루는 외부로 개방된 공간이나 장흥리 한옥은 단열을 높이고자 기둥을 따라 창호를 설치했다. 필요에 따라 목창호를 제거해 외부 경치를 실내로 끌어들이도록 전면에 설치한 들어 열 개 문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누마루에는 선자연과 들어 열 개문처럼 상당한 치장적 요소가 들어갔는데 공간 면적을 더욱 여유롭게 하는 계자난간 역시 그렇다.
 
외관을 치장하는 요소 중 하나인 머름을 이층으로 시공한 것 역시 눈길을 끈다. 침대를 놓은 높이에 맞추고자 이층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머름은 창 아래 하인 방과 문지방 사이에 머름동자를 세우고 그 사이 머름청판을 끼운 것으로 작업량이 많기에 이 역시 요즘 한옥에서는 생략하는 부분이다.
 
머름의 기능은 현대에서는 그 중요성을 거의 잃었기 때문이다. 팔을 걸치기 편한 높이로 만드는 머름은 문을 열어둔 채 방바닥에 누우면 머름에 가려 외부에서 안을 들여다보지 못해 사생활 보호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그 원래의 기능보다 한옥의 정체성을 표현하거나 치장을 위한 목적이 대체적이다.
 
장흥리 한옥건축주 박민호 씨는 한옥을 짓기 위해 6개월간 전국의 한옥을 견학했다. 이미 지어진 한옥의 장단점을 참고하고 보완해서 원하는 한옥을 구상했다. 박 씨는 제대로 된 한옥을 접하기가 의외로 쉽지 않았다고 한다. 비용이 걸림돌이 돼 현실과 타협한 과정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런 반면 박 씨는 충분한 시간과 훌륭한 장인들과 좋은 자재를 투입해 장흥리 한옥을 완성한 점에 뿌듯함을 느낀다. 그리고 후대 자손들도 그것을 느낄 것이다.

누마루 추녀 쪽 선자연이 아름답다. / 모든 목창호는 명장 가풍국 소목장이 짰다. 안방 문.

들어열개 문을 젖혀 올린 모습.
오량천장 구조의 거실
사랑채 내부
주택 우측 진입로에도 대문을 하나 냈다.

금송건축 김철원 연구소장 - 한옥의 미 , 현수 곡선은 노련한 목수의 손에서 나오는 것
“한옥은 멋이 있는 집이다. 그 멋은 선에서 나오고 그 선을 우리는 현수 곡선이라 부른다. 현수 곡선의 구현은 한옥의 선에 감각이 있는 노련한 장인의 손과 예리한 눈을 통해서 가능하다. 요즘 한옥 보급을 위해 모듈 한옥을 권하는 분위기다. 한옥 구조 부재의 기계 가공은 치수의 한계가 있으며 현수 곡선으로부터 나오는 선을 재현하기 어렵다.

특히 평고대, 박공 등은 기계 가공으로는 어렵다. 한옥의 선을 대표하는 지붕 구조에서, 평고대 곡은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도목수에게 달려 있다. 평고대는 양 처마 끝을 연결해 가로로 놓는 오리목(가늘고 길게 켠 목재)으로 추녀와 연결해 만드는 기준선에 맞춰 서까래를 거는데 이 기준선은 건물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작업으로 도목수가 직접 결정한다. 곡을 잡는 방법은 새끼줄을 정한 높이로 늘어뜨렸을 때 나타나는 곡선을 이용하며 이를 현수 곡선이라 한다.

현수 곡선은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처마의 안허리곡, 앙곡 등에 적용한다. 목수의 눈썰미와 손맛으로 이뤄지는 작품에 가까운 것이다. 그리고 평고대 걸고 나서 안 허리곡와 앙곡에 맞춰서 선자연을 걸어야 하는데 이것 역시 기계 가공으로 구현이 어렵다. 그래서 단적으로, 한옥은 기계 가공하면 1,000원, 사람이 하면 2,500원이 든다는 말을 한다. 제대로 된 한옥을 지으려면 비용이 많이 드는 이유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강화 한옥】 전통을 고수하다. 장인의 고고한 정신이 깃든 오량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