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해 4월보다 가장 무거웠던 4월의 마지막 날 청정지역 구례를 찾았다. 거대한 지리산을 마주하니, 끝을 가늠하기 어려운 자연 앞에 절로 숙연해졌다. 태고부터 자리를 지켜온 산은 그 곳을 터 삼아 사는 이들에게 모든 걸 내주고도 조용하다. 자연의 헌신적이고 조건 없는 배려에 삶을 기대며 사는 산동면 위안리 마을 사람들. 이곳에 제2의 삶을 계획한 건축주 부부의 자연과 함께하는 행복한 생활을 들여다보았다.
글·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인터뷰와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알고 싶으시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건축정보
위치 전남 구례군 산동면 위안리
건축형태 경량 목조주택
지역지구 자연취락지구
대지면적 545.00㎡(164.86평)
건축면적 105.53㎡(31.92평)
연면적 148.37㎡(44.88평)
1층 98.18㎡(29.70평)
2층 50.19㎡(15.18평)
지붕재 스페니쉬 기와
외장재 인조석(매직스톤)
내장재 친환경 vp도장
바닥재 강마루
난방형태 전통 구들 난방(황토방)
식수공급 마을 공용 수도
창호재 이건창호
설계 및 시공 계림주택건설㈜ 1600-0488 www.kaelim.co.kr
동생 집에 놀러와 마을 돌담에 반해
손은 더욱 거칠어지고 몸은 바빠졌지만 마음은 더 없이 여유롭다. 아침이면 지리산의 맑은 공기를 들이마시며 마을 돌담을 거닌다. 끼니때가 다가오면 이웃에서 준 온갖 산나물로 찬을 만들어 허기를 달랜다. 조금 한가해지면 마당 한편에 마련한 텃밭을 가꾼다. 그래도 시간이 남으면 조경을 손질하고 뒷마당을 꾸민다. 30여 년의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지리산 산자락에 터를 잡은 건축주 부부의 생활기다.
“동생이 먼저 동내 초입에 자리를 잡아 살고 있었어요. 당시 놀러왔다가 마을 돌담에 반했죠. 산을 좋아하던 동생은 전국의 산을 다니며 노후 보낼 곳을 눈여겨보다 정착한 곳이 이 마을입니다.”
경쟁이 난무하고 치열한 삶에 치이다 보면 마음이 황폐해진다. 그럴 때면 저마다 마음의 안식처를 찾아 나선다. 특히 은퇴를 앞둔 사람들은 그간 고된 경쟁생활에서 벗어나 남은 생을 보다 넉넉하고 풍요롭게 보내기 위해 전원생활을 선택하기도 한다. 베이비붐 세대 은퇴자가 늘면서 ‘은퇴자 마을’이 대두되며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전후세대인 이들은 한국 경제성장의 주축이었다. 가장 열정적이고 에너지가 넘치는 세대이다.
하지만 일에 들였던 노력만큼 자신들을 위한 시간은 적었다. 삶의 여유를 느낄 새도 없이 살아왔다. 어느덧 은퇴를 맞이하게 된 베이비붐 세대는 그간의 삶에서 떠나야 한다. 그렇지만 그들은 제2의 삶을 찾아 사그라진 에너지를 다시금 불태우려고 한다. 건축주 부부도 그렇다.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을 되뇌며 이들 부부는 하루하루를 또 다른 행복으로 일군다.
“아내와 둘이 노후를 보낼 생각에 2년 전 땅을 구입했어요. 예전부터 아담하고 예쁜 쪽문과 돌계단이 있는 집을 상상하며 살았죠. 이제야 꿈에 그리던 집을 지었어요. 기왕에 짓는 거 대대로 물려주며 살 수 있도록 신경을 많이 썼어요. 그동안 모은 돈 다 썼죠. 기대했던 만큼 만족하고 새로운 인생을 즐기며 삽니다.”
목조주택이 보통 50년에서 100년은 간다고 한다. 사후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달라지지만 애초에 집을 어떻게 짓는지도 중요하다. 건축주는 편리하면서도 튼튼한 집을 짓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토목공사와 좋은 자재 사용에 신경써
돌담과 어우러져 마을을 노랗게 물들이는 산수유 꽃은 이 마을 자랑거리다. 꽃 피는 계절이면 마을 풍경을 담아가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마을의 운치를 더하는 돌담엔 지난 세월을 짐작케 할 만큼 이끼가 두텁게 끼여 있다.
건축주의 집터는 경사 때문에 평평하게 다지려고 상당히 많은 양의 흙을 쌓았다. 집을 둘러싼 돌담은 집터를 고르며 나온 돌을 이용했다. 돌담을 쌓는 건 고도의 기술과 고된 노동으로 하루 일당만 30만 원이 드는 공사다. 성토와 돌담을 쌓는 토목공사에만 적잖은 비용이 들었다.
집 안에 들어서면 가장 눈에 띄는 게 천장을 떠받치는 보다. 홍송 통나무를 사용해 튼튼하고 안정감이 든다. 천장 외에도 집 안 곳곳에 홍송을 사용해 자연의 향을 가득 담았다. 산속은 평지보다 기온이 낮아 단열에도 신경을 썼다. 벽체 두께를 약 30㎝ 가량 두껍게 해 단열재를 채우고, 창호로 세는 열기도 최대한 차단되도록 설계했다.
집 구조는 1층을 공용 공간, 2층을 휴식 공간으로 분류했다. 집을 찾은 가족이나 손님을 위한 공간은 다락에 마련했다. 1층엔 찜질하는 황토 구들방을 따로 두어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했다. 안주인을 위한 주방은 거실과 분리해 넓은 공간으로 만들었다. 또한, 주방을 이용하는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식당을 겸하고, 다용도실과 실외로 편하게 오가는 동선으로 완성했다.
이 집의 가장 큰 장점은 집 안에서도 자연과 늘 함께하는 느낌이 들게 한 거다. 거실과 2층 침실 창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일품이고 다락은 전망대와 같은 조망을 자랑한다. 외부 손님들이 찾아오면 가장 인기 좋은 곳이 다락이다. 다락의 넓은 창으로 감상할 수 있는 풍경도 풍경이거니와 천장에 낸 천창으로 보는 밤하늘의 별도 아름답기 그지없다. 천창은 채광에도 도움이 되지만, 여닫게 만들어 지리산의 맑은 공기가 순환되도록 했다.
이 집의 포인트는 자연을 집 안에서도 충분히 감상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집 안과 밖을 오가며 자연과 늘 함께하니 이보다 친환경적인 곳은 없을 거라는 생각마저 든다. 복(福)이라는 게 충분히 만족한 삶에서 행복을 얻는 것이라고 하니, 지리산의 많은 복을 차지하고 있다는 ‘만복대(萬福臺)’ 산 밑에 위치한 이 집이야 말로 복에 복을 얻은 행복한 집이라 하겠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