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강릉의 한적한 농촌마을에 위치한 ‘다예서가’는 30, 40대 젊은 부부와 두 아이를 위한 단독주택이다. 대지의 주변 환경은 산으로 둘러싸여 풍경이 훌륭하고, 이제 막 개발돼 주택들이 한 채 두 채 들어서는 중이었다. 다예서가多藝書家는 주변 풍경을 집 안으로 끌어들이고, 자연스럽게 주변 환경에 어울리며, 무엇보다 단독주택만이 가질 수 있는 건축의 가능성을 담아내고자 노력한 프로젝트다.

김창균, 최병용(㈜유타건축사사무소)
사진 김용순 작가

※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인터뷰와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알고 싶으시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HOUSE NOTE
●DATA
위치 강원도 강릉시 대전동
지역/지구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860.00㎡(260.15평)
건축면적 106.01㎡(32.06평)
건폐율 12.33%
연면적 176.54㎡(53.40평)
  1층 91.80㎡(27.77평)
  2층 70.53㎡(21.33평)
  창고 14.21㎡(4.30평)
용적률 20.53%
설계기간 2017년 2월~7월
공사기간 2017년 7월~2018년 2월
토목공사 석축
토목공사비 2,000만 원
건축비용 2억 7,000만 원(3.3㎡당 500만 원)

설계 ㈜유타건축사사무소 
        02-556-6903 www.utaa.co.kr
설계 담당 김창균, 최병용, 김정규, 정재이
시공 건축주 직영

동쪽에서 바라본 주택

많은 사람이 아파트에서 생활하고, 그 편리함에 만족스러워한다. 하지만 아파트는 현대사회의 다양성을 담기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공간이라는 틀은 고정된 채, 단지 인테리어의 힘을 빌려 마감재와 가구의 선택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거기에 만족할 뿐이다.

독주택도 마당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나 공간은 아파트와 유사한 형태를 지닌 경우가 많다. 아파트의 평면 구조가 합리적이고 편리하다는 관성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특히, 단독주택은 사용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 그에 맞는 공간과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현관 모습

5개 레벨을 둔 다층多層 입체 공간
강릉 다예서가는 주요 레벨인 1층과 2층에 다락까지 더해 3개 층을 기본으로 하며, 1층에선 거실과 평상마루 영역에 레벨을 두고 2층에선 안방과 아이 방에 레벨 두어 총 5개의 레벨로 이뤄졌다. 이는 각 영역이 가지는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부여하고, 공간 안에서 입체적인 경험을 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여기에 더해 계단 및 거실 상부의 오픈 공간은 1층과 2층을 시각적으로 연계해 각 공간에서 사용자 간 만남을 유도하고, 자신의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북측 벽면에 1, 2층에 걸쳐 설치한 대형 책꽂이는 공간을 하나로 묶어주는, 즉 내부 공간 전체에 통일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주방/식당과 거실은 공간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계획했고 거실 상부는 천장고를 높여 더욱 넓어 보이게 했다.
거실과 계단실. 1층 평상 마루는 기본적으로 2층으로 연계되는 동선을 담당한다.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T0.7 컬러강판
  벽 - 청고벽돌, 스타코
  데크 - T30 방킬라이
내부마감
  천장 - 천장지
  벽 - 벽지
  바닥 - T10 강마루
단열재
  지붕 - R38 글라스울
  벽 - R23 글라스울
계단실
  디딤판 - T18 자작나무합판 위 투명 래커
  난간 - 백색 평철
창호 ㈜페도라시스템 시스템 창호
현관 코렐도어
조명 LED
주방기구 제작
위생기구 대림비앤코㈜ CC-720, DL-B7014
난방기구 경동나비엔 7312V17Y0232072

1층 욕실은 건식 공간과 습식 공간을 분리했을 뿐만 아니라 용도별로도 명확하게 구분했다.
2층에서 본 계단실. 계단 및 거실 상부의 오픈 공간은 1층과 2층을 시각적으로 연계해 각 공간에서 사용자 간의 만남을 유도하며, 자신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독주택만의 매력, 데크 & 테라스
아파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발코니는 원래 안팎을 연결하는 전이공간으로 현관을 통해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쉽게 외부와 접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 공간이다. 하지만, 아파트의 발코니는 폭이 법규상 1.5m 이내로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테이블을 놓고 차를 마시는 등의 행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파트의 발코니는 대부분 창고 대용으로 사용한다.

단독주택은 법적 면적을 초과하더라도 이러한 전이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다예서가엔 외부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을 유도하는 전이 공간인 데크 & 테라스가 있다. 주방에서 연결되는 데크는 야외 식당으로, 2층 안방에서 연결되는 테라스는 널찍한 만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주거 환경에 다양성과 쾌적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1, 2층에 걸쳐 설치한 대형 책꽂이는 공간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겸한다. 더불어 내부 공간 전체에 통일감까지 부여한다.
아이 방-1과 아이 방-2는 2층 침대처럼 공간을 나눴다.
아이 방-2에서는 계단, 아이방-1에서는 2층 침대 위 개구부를 통해 다락-2로 올라갈 수 있다. 아이들에게는 술래잡기가 안성맞춤인 놀이터이기도 하다.

일상에 재미를 주는 요소들
다예서가의 1층 평상마루는 기본적으로 2층으로 연계되는 동선 역할을 한다. 또한, 거실과 연계돼 공간을 확장하면서 레벨 경계 부분은 수납공간 기능도 한다.

2층의 마스터 존과 아이들 방은 사이에 설치한 브리지를 통해 연결된다. 하루에도 몇 번씩 브리지를 건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거실에서도 이 움직임이 보이며, 사용자 간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유도한다.

다락-2는 아이 방-2에서 계단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아이 방-1에선 2층 침대에서 천장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 동선으로 인해 아이들이 다락을 통해 서로의 방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락-1과 다락-2는 그물망을 통해 이어져 있어 아이들에게 시지각적인 상상력을 자극하기 좋은 공간이다.

자연 경관과의 조화
건축물의 외관은 직사각형 매스를 기본으로, 여기에 전이 공간인 발코니와 데크 등을 덧붙인 형태다. 산으로 둘러싸인 주변의 한적한 이미지에 잘 어울리도록 최대한 단순한 형태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외장재와 색채 선정도 같은 맥락에서 고려했다. 주요 외장재로 사용한 청고벽돌은 거친 느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고 일정한 색감을 유지하도록 한쪽 면을 커팅했다. 벽돌의 질감과 돌이 연상되는 전체적인 색채는 주변 경관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룬다.

주방 앞으로 데크를 설치하고 포치형 테라스를 만들었다. 1층에서는 주방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이자, 2층에서는 언제든 밖으로 나와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멀티미디어룸 앞에도 데크를 설치하고 주변에 담장을 쌓아 개구부를 뚫었다. 폴딩 도어를 열어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다목적 공간이다.
주택의 정면. 하늘로 시선을 향하게 하는 외쪽지붕이 인상적이다.
추가
[목조, 통나무주택] 대형 책꽂이와 브리지가 돋보이는 강릉 다예서가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대형 책꽂이와 브리지가 돋보이는 '다예서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