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주택&인테리어 검색결과
-
-
건축주 취향 고스란히 반영한 특색 있는 거실
- 인테리어하기 전에 원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콘셉트를 고민해 보는 게 먼저다. 이후 각 공간에 어떤 마감재를 사용할지 정한다. 마감재는 디테일하게 계획할수록 자신이 원하던 공간 인테리어에 가까워질 수 있다. ‘공간 인테리어’ 지면은 적용하기 어려운 소재나 따라 하기 어려운 사례가 아닌, 흔히 사용하는 보편적인 마감재로 연출한 사례들만 모았다. 공간별 마감재와 인테리어 소재, 연출 방법을 하나하나 따라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만족스러운 공간을 완성하길 바란다.글 인테리어 디자이너 황국화 1670-6840 www.housingfactory.co.kr사진 하우징팩토리 웨인스코팅으로 포인트 준 클래식한 거실 화이트와 골드 색상 손잡이, 조명으로 포인트를 주고 우물천장에 간접등과 실링팬을 설치했다.천장: 실크벽지 LG하우시스(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 LG하우시스(베스띠 82388-1)바닥: 강마루(구정마루 프라하 강마루 티크) 가구 문과 내부 문짝에 몰딩으로 처리해 클래식한 느낌을 연출했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153 브라운월넛) 내추럴한 분위기의 원목 인테리어 나무는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는 포인트 요소다. 포인트를 주고 싶은데, 유행을 타지 않고 질리지도 않기를 바란다면 나무만 한 게 없다. 내부 문, 노출보, 선반, 창대목, 조명 및 가구를 원목 혹은 나무 느낌의 마감재를 사용하면 따뜻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밝은 수종의 목재는 아늑한 분위기를, 진한 수종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좋다. 진한 수종의 평상, 우드 블라인드, 스툴과 밝은 수종의 선반, 마루재 그리고 우드슬랩 테이블을 적절하게 배치해 조화롭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503 내추럴 옐로우 오크) 원목 완자도어와 원목으로 만든 툇마루, 우드슬랩 조명으로 멋스러운 한실 분위기를 냈다.천장: 실크벽지(무지 35010-1)벽: 실크벽지(테라피 7018-51)바닥: 타일 거실 오픈 구간 벽체 한 면을 각재로 마감하고, 이와 어울리는 색상의 조명으로 과하지 않게 포인트를 줬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밝은 수종의 원목 가구로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지붕 모양을 살린 천장에 노출보를 만들어 목조주택 느낌을 냈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04 터치베이지2) 거실을 카페처럼, 홈 카페 인테리어 거실을 카페처럼 꾸며 손님을 맞이하는 다이닝룸으로 활용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벽돌 타일을 이용해 빈티지한 느낌을 내거나, 타일이나 도장을 이용해 포인트를 주는 방법도 있다. 식물과 화분을 이용한 플랜테리어로 공기를 정화해 쾌적한 카페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도 있다. 적고벽돌 타일과 조명으로 빈티지한 느낌을 더했다. 외장용 벽돌 타일을 사용할 때 발수제를 바르면 가루가 날리는 걸 예방할 수 있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501 내추럴오크) 적고벽돌과 비슷한 느낌의 타일로 벽체를 마감하고 포인트 창과 난간 등으로 인더스트리얼한 느낌을 냈다.천장: 실크벽지(베스띠 82408-2)벽: 타일바닥: 온돌마루(구정마루 프라하 브러쉬골드 티크스카치) 벽체 일부 하단은 비앙코 무늬 타일, 상단은 청록색 페인트 마감으로 포인트를 줬다.천장: 실크벽지(플레인 346-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 타일 + 삼화 페인트(0154E)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거실과 주방 사이에 공간을 분리하는 행잉플랜트를 설치해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냈다.천장: 실크벽지(베스띠 82436-1)벽: 실크벽지(베스띠 82436-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H100 브라운월넛) 온 가족이 오붓한 시간을 보내는 책이 있는 거실 거실에서 TV를 없애 서재처럼 독서 공간을 만들어 아이들이 쉽게 책을 접할 수 있게 하고, 가족 간의 소통 공간으로 만들어 온 가족이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했다. 나무 느낌이 좋다면, 현장에서 집성목으로 제작하거나, 공간에 맞게 가구를 제작하면 된다. 창이 있는 공간에는 창가에 앉아 책을 읽을 수 있게 윈도 시트를 만드는 것도 좋다. 현장에서 벤치형 계단 책장과 미끄럼틀을 집성목으로 제작해 서재와 아이들 놀이 공간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었다.천장: 실크벽지(플레인 303-1)벽: 실크벽지(플레인 303-1)바닥: 강화마루(동화자연마루 클릭S 오크1) 창 크기에 맞게 수납장을 제작해 윈도 시트를 만들고, 책장을 적절하게 배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무지 35015-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온돌문화에 익숙한 가족에겐 평상이 있는 거실 좌식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거실의 일부 단을 높여 평상처럼 만들었다. 단 차에 의해 공간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도록 하고, 한 공간 안에서 자연스럽게 공간을 분리할 수 있게 했다. 평상 상단을 마루보다 진한 색상의 원목 마루로 시공하면, 더욱 툇마루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주방과 거실 사이의 데드스페이스가 될 수 있는 부분에는 단을 높여 좌식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천장: 실크벽지벽: 실크벽지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06 터치빈티지) 건축주가 거실에서 아이들이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원해 일부 공간의 단을 높여 평상처럼 만들고 하단에는 가구 장을 제작해 수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벽: 실크벽지(베스띠 82388-1)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088 내추럴오크)평상: 온돌마루(구정마루 브러쉬골드 티크러스틱) ㈜하우징팩토리 인테리어 디자이너 황국화 공간 디자인은 공간에 필요한 분위기를 파악해 과하거나 모자라지 않게 기능과 미적 요소를 배치해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느끼고 효율적인 활동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주거 공간 인테리어는 불편해선 안 된다. 그래서 단독(전원)주택 인테리어는 건축주와 가족 구성원의 취향을 반영하되, 혼란스럽지 않으면서 통일감을 주고 실용성과 합리적인 공간 디자인을 제안하고, 거주자가 편안한 집이라고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1670-6840 www.housingfactory.co.kr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주택&인테리어
- 인테리어
-
건축주 취향 고스란히 반영한 특색 있는 거실
-
-
[공간 인테리어] 건축주 취향 고스란히 반영한 특색 있는 거실
- 건축주 취향 고스란히 반영한 특색 있는 거실 인테리어하기 전에 원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콘셉트를 고민해 보는 게 먼저다. 이후 각 공간에 어떤 마감재를 사용할지 정한다. 마감재는 디테일하게 계획할수록 자신이 원하던 공간 인테리어에 가까워질 수 있다. ‘공간 인테리어’ 지면은 적용하기 어려운 소재나 따라 하기 어려운 사례가 아닌, 흔히 사용하는 보편적인 마감재로 연출한 사례들만 모았다. 공간별 마감재와 인테리어 소재, 연출 방법을 하나하나 따라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만족스러운 공간을 완성하길 바란다. 글 인테리어 디자이너 황국화 | 사진 하우징팩토리 웨인스코팅으로 포인트 준 클래식한 거실 복도 벽이나 아트월 벽면에 웨인스코팅 몰딩으로 시공하면 클래식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공간이 마땅치 않을 경우 침실 문이나 가구 문에 웨인스코팅을 적용해도 클래식한 느낌을 낼 수 있다. 시공 전 콘센트나 스위치, 조명의 위치를 고려해 인테리어하면 좋다. 화이트와 골드 색상 손잡이, 조명으로 포인트를 주고 우물천장에 간접등과 실링팬을 설치했다. 천장: 실크벽지 LG하우시스(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 LG하우시스(베스띠 82388-1) 바닥: 강마루(구정마루 프라하 강마루 티크) 가구 문과 내부 문짝에 몰딩으로 처리해 클래식한 느낌을 연출했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153 브라운월넛) 내추럴한 분위기의 원목 인테리어 나무는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는 포인트 요소다. 포인트를 주고 싶은데, 유행을 타지 않고 질리지도 않기를 바란다면 나무만 한 게 없다. 내부 문, 노출보, 선반, 창대목, 조명 및 가구를 원목 혹은 나무 느낌의 마감재를 사용하면 따뜻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밝은 수종의 목재는 아늑한 분위기를, 진한 수종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좋다. 진한 수종의 평상, 우드 블라인드, 스툴과 밝은 수종의 선반, 마루재 그리고 우드슬랩 테이블을 적절하게 배치해 조화롭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503 내추럴 옐로우 오크) 원목 완자도어와 원목으로 만든 툇마루, 우드슬랩 조명으로 멋스러운 한실 분위기를 냈다. 천장: 실크벽지(무지 35010-1) 벽: 실크벽지(테라피 7018-51) 바닥: 타일 거실 오픈 구간 벽체 한 면을 각재로 마감하고, 이와 어울리는 색상의 조명으로 과하지 않게 포인트를 줬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밝은 수종의 원목 가구로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지붕 모양을 살린 천장에 노출보를 만들어 목조주택 느낌을 냈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04 터치베이지2) 거실을 카페처럼, 홈 카페 인테리어 거실을 카페처럼 꾸며 손님을 맞이하는 다이닝룸으로 활용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벽돌 타일을 이용해 빈티지한 느낌을 내거나, 타일이나 도장을 이용해 포인트를 주는 방법도 있다. 식물과 화분을 이용한 플랜테리어로 공기를 정화해 쾌적한 카페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도 있다. 적고벽돌 타일과 조명으로 빈티지한 느낌을 더했다. 외장용 벽돌 타일을 사용할 때 발수제를 바르면 가루가 날리는 걸 예방할 수 있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501 내추럴오크) 적고벽돌과 비슷한 느낌의 타일로 벽체를 마감하고 포인트 창과 난간 등으로 인더스트리얼한 느낌을 냈다. 천장: 실크벽지(베스띠 82408-2) 벽: 타일 바닥: 온돌마루(구정마루 프라하 브러쉬골드 티크스카치) 벽체 일부 하단은 비앙코 무늬 타일, 상단은 청록색 페인트 마감으로 포인트를 줬다. 천장: 실크벽지(플레인 346-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 타일 + 삼화 페인트(0154E)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거실과 주방 사이에 공간을 분리하는 행잉플랜트를 설치해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냈다. 천장: 실크벽지(베스띠 82436-1) 벽: 실크벽지(베스띠 82436-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H100 브라운월넛) 온 가족이 오붓한 시간을 보내는 책이 있는 거실 거실에서 TV를 없애 서재처럼 독서 공간을 만들어 아이들이 쉽게 책을 접할 수 있게 하고, 가족 간의 소통 공간으로 만들어 온 가족이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했다. 나무 느낌이 좋다면, 현장에서 집성목으로 제작하거나, 공간에 맞게 가구를 제작하면 된다. 창이 있는 공간에는 창가에 앉아 책을 읽을 수 있게 윈도 시트를 만드는 것도 좋다. 현장에서 벤치형 계단 책장과 미끄럼틀을 집성목으로 제작해 서재와 아이들 놀이 공간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천장: 실크벽지(플레인 303-1) 벽: 실크벽지(플레인 303-1) 바닥: 강화마루(동화자연마루 클릭S 오크1) 창 크기에 맞게 수납장을 제작해 윈도 시트를 만들고, 책장을 적절하게 배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무지 35015-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10 러스틱오크) 온돌문화에 익숙한 가족에겐 평상이 있는 거실 좌식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거실의 일부 단을 높여 평상처럼 만들었다. 단 차에 의해 공간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도록 하고, 한 공간 안에서 자연스럽게 공간을 분리할 수 있게 했다. 평상 상단을 마루보다 진한 색상의 원목 마루로 시공하면, 더욱 툇마루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주방과 거실 사이의 데드스페이스가 될 수 있는 부분에는 단을 높여 좌식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천장: 실크벽지 벽: 실크벽지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606 터치빈티지) 건축주가 거실에서 아이들이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원해 일부 공간의 단을 높여 평상처럼 만들고 하단에는 가구 장을 제작해 수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천장: 실크벽지(테라피 8190-1) 벽: 실크벽지(베스띠 82388-1) 바닥: 강마루(동화자연마루 K088 내추럴오크) 평상: 온돌마루(구정마루 브러쉬골드 티크러스틱) 1670-6840 www.housingfactory.co.kr
-
- 주택&인테리어
- 인테리어
-
[공간 인테리어] 건축주 취향 고스란히 반영한 특색 있는 거실
-
-
제주 전원주택, 꼭 필요한 것만 담은 'Simple is Good' 봄하우스
- 나윤호 건축주는 ‘집을 짓는 과정은 가족의 추억을 쌓아나갈 공간을 하나하나 그려나가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가족이 생활하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공간을 구성하고, 주변을 거닐며 바라볼 주택의 조형미를 고민하면서 입면을 디자인했다. 그렇게 심플하고 모던하면서 시원한 느낌을 담은 주택, 제주의 풍광과 햇볕을 가득 담아낸 주택을 완성했다.글 사진 백홍기 기자 | 취재협조 理:都市建築(이도시건축)HOUSE NOTE▶DATA위치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지역/지구 자연녹지지역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대지면적 400.00㎡(121.00평)건축면적 79.27㎡(23.97평)건폐율 19.82%연면적 84.18㎡(25.46평) 1층 52.79㎡(15.96평) 2층 31.39㎡(9.49평)용적률 21.05%설계기간 2016년 4월~2017년 1월(수정기간 포함)공사기간 2016년 8월~2018년 3월설계 이도시건축 02-877-2022www.eua.co.kr시공 봄하우스(건축주 직영) 010-2191-1596 www.bomhaus.co.kr 해안도로를 달리다 보면 성산일출봉이 눈에 들어올 때쯤 비자림으로 연결된 진입로가 나타난다. 그곳에서 2~3분, 해안에서 직선으로 약 800m 떨어진 드넓은 밭 가운데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길게 조성한 ‘一’자형 봄하우스단지가 나온다. 현재 준공했거나 앞둔 주택이 4채 있으며, 그 가운데 건축주의 주택은 맨 안쪽에 자리한다. 북쪽 나대지에 향후 5채가 더 들어설 예정이다.단지 주변의 밭은 무분별한 개발행위를 막기 위해 지적도상 도로에 접하지 않은 맹지盲地엔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기에 향후 건물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덕분에 단지 내 주택은 모두 한라산을 등지고 북동쪽 바다를 바라보는 배산임해背山臨海형 배치이고, 앞뒤로 조망이 시원스럽게 펼쳐지며, 남서쪽으로 햇살이 잘 드는 프라이빗한 공간을 자랑한다.주택은 세화해변과 비자림에서 가까우며, 제주신공항과 시내를 연결하는 도로에 인접해 있다. 약 5분 거리에 초등학교와 세화포구, 그리고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제주의 시골 풍취와 도시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지역 색을 고려해 어두운 마천석으로 외벽을 마감하고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화려함은 절제하고 최대한 간결하게 입면을 계획했다. 제주의 향토색을 반영한 외형, 세련된 실내 구성나윤호 씨는 건축주이자 봄하우스단지를 개발한 대표다. 다른 시공사와 다르게 그는 자신이 살 집만 지었다. 경기 고양시 삼송지구에 상가주택을 지어 살던 그는 지인에게 소개받은 이곳에 반해 정착의 꿈을 키우며 두 번째 주택을 계획했다. 대지는 약 1,100평으로 혼자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라 상가주택을 지으면서 운용한 블로그를 통해 이웃하며 함께 살 사람들을 모았다. 여러 사람이 관심을 보이자, 그는 회사를 떠나 봄하우스라는 이름을 내걸고 본격적으로 단지 개발에 나섰다.설계는 삼송지구 상가주택을 설계한 이로재 도시건축 이기태 소장에게 맡겼다. 구조는 제주의 거친 날씨를 고려해 철근콘크리트조로 정했다. 주택은 심플하고 모던한 것을 좋아하는 자신의 성향을 반영해 박스형 입면에 블랙 톤의 마천석으로 마감하고, 실내는 블랙과 화이트 톤으로 디자인해 안팎의 명도 대비가 확연하다. 외지인이면서 전문 시공사가 아니기에 제주도에서 주택을 짓는 과정이 어렵지는 않았을까? “외장재를 어떻게 할지 고민이 많았지만, 제주의 향토색을 고려해 검은색 마천석으로 결정했죠. 시공하면서 어려웠던 건 당연히 제주하면 현무암이 흔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마당을 두른 담에 사용할 현무암조차 확보하기 어려웠어요. 건축 붐이 일다 보니 현무암이 귀해진 거죠. 성토할 흙도 마찬가지로 구하기 어려웠고요.”계획할 때 주거공간에 필요한 편의성과 채광, 조망에 집중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신경을 쓴 건 제주의 풍경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 조망이다. 현관은 흰 바탕에 심플한 프레임의 유리문을 적용해 신박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낸다. ▶MATERIAL외부마감 지붕 - 인조 잔디, 월풀 욕조 벽 - 마천석 건식시공 데크 - 마천석, 타일내부마감 천장 - LG하우시스 실크벽지, 개나리벽지 벽 - LG하우시스 실크벽지, LG하우시스 필름지, 두원필름지 바닥 - LG하우시스 강마루단열재 지붕 - 비드법 2종 1호(네오폴) 외단열 - 비드법 2종 1호(네오폴) 내단열 - 비드법 2종 1호(네오폴)계단실 디딤판 - 나왕 난간 - 나왕창호 필로브현관 엘도어주요조명 매립식 LED주방가구 주문제작위생기구 아메리칸 스탠다드난방기구 콘덴싱보일러(린나이) 조망과 독립성을 위해 2층에 배치한 거실은 시원한 조망을 위한 창호계획으로 풍경을 담은 대형 액자를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제공한다. 2층 방문은 폴딩도어를 설치해 필요에 따라 독립 또는 개방해서 거실의 확장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과감한 공간 분리, 시원한 조망 계획이 주택의 포인트는 거실과 창호다. 보통 거실은 온 가족이 모이는 공용 공간뿐만 아니라 손님을 맞이하는 접객공간으로 사용하기에 접근성이 좋은 1층에 배치한다. 하지만, 이 주택은 2층에 거실을 내고 창을 크게 냈다. 가까이는 전원, 멀게는 바다 풍경을 시원스럽게 조망하도록 계획한 것이다. 거실과 우측의 방은 폴딩도어로 공간을 구분했다. 게스트룸 또는 거실 확장 등 필요에 따라 두 공간을 개폐하도록 가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INTERIOR POINT! 온돌문화에 적합한 LG하우시스 친환경 강마루 세련된 블랙 컬러 바닥재는 LG하우시스 지인(Z:IN)의 강마루 리얼(Real)이다. 이 제품은 최근 지아마루 리얼(Real)로 리뉴얼됐는데, 기존 강마루의 단점을 보완해 단일 수종 합판층으로 내구성을 강화하고, 우수한 열 전달력을 바탕으로 난방 효율을 높인 점이 눈길을 끈다. 국내 최초 식물 유래 성분을 적용한 강마루로, 납이나 카드뮴, 수은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 친환경 제품이다. 이 집의 마감재로 사용된 블랙 컬러와 더불어 헤링본, 마블 등 인기 있는 디자인 패턴을 선보였으며, 와이드 디자인으로도 출시되어 취향에 맞춘 시공이 가능하다. LG하우시스 지아마루 리얼(Real) 스프트 월넛(좌), 비얀코 마블 와이드(중), 프레쉬 오크 헤링본 (우) 2층 간이주방 겸 세탁실. 채광을 중요하게 생각해 윗부분에 가로 고정창을 추가로 냈다. 현관 오른쪽에 있는 주방/식당은 11자형으로 배치한 아일랜드 식탁과 빌트인 수납으로 공간에 군더더기가 없다. 또한, 시원스러운 뷰를 감상하며 요리할 수 있도록 북동쪽 바다를 향해 넓은 창을 냈다. 위생공간은 효율성을 고려해 현관과 안방 사이에 심플하고 고급스럽게 디자인한 공용 화장실 1개만 뒀다. 주방/식당은 아일랜드 테이블에 개수대와 조리공간을 마련하고 오른쪽 벽면에 수납과 냉장고를 매립형으로 처리해 간결하다. 넓은 창호 계획으로 조리와 식사 때 밖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구조다. 현관 오른쪽에 있는 주방/식당은 11자형으로 배치한 아일랜드 식탁과 빌트인 수납으로 공간에 군더더기가 없다. 또한, 시원스러운 뷰를 감상하며 요리할 수 있도록 북동쪽 바다를 향해 넓은 창을 냈다. 위생공간은 효율성을 고려해 현관과 안방 사이에 심플하고 고급스럽게 디자인한 공용 화장실 1개만 뒀다. 주방/식당에서 바라본 안방 안방은 사람이 통행하는 도로 쪽에 폭이 좁은 가로창을 내 외부 시선을 차단하면서 조망을 확보했다. 오른쪽으로 살짝 보이는 창문은 뒷마당과 연결된다. 챌판 없이 철재와 목재 조합으로 심플하게 제작한 계단을 오르면서 넓은 창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2층에 다다르면 반대편 계단실 벽에도 한 폭의 풍경화를 담은 액자 느낌의 시원스러운 창을 냈다. 조망을 확보하기 위해 계단도 열린 공간으로 하고 넓은 창을 냈다. 화장실은 공간 효율성을 고려해 각 층에 1개씩 배치했다. 1층은 욕조를 포함한 습식으로, 2층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건식으로 계획했다. 공간 곳곳에 유효적절하게 계획한 창호로 제주의 사계절을 담아내 눈이 호사스러운 주택을 완성했다. 마음이 통하는 사람들과 함께 살기 위해 시작한 건축주의 단지 계획이 이젠 서서히 끝을 향한다. 제주 고유의 향토색을 담은 봄하우스단지에 가족과 이웃이 정을 나누고 추억을 쌓으며 행복이 가득한 삶을 누리기를 기대해 본다. 2층 옥상. 우측의 작은 창은 계단실을 비추는 채광과 조망을 위해 낸 것이다. 거실 상부에 있는 옥상엔 스파시설을 설치해 노천탕을 즐길 수 있게 했다. 주택 외관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제주 전원주택, 꼭 필요한 것만 담은 'Simple is Good' 봄하우스
-
-
[INTERIOR] 여름에도 뽀송뽀송한 마루 지킬 건 지켜야 쾌적하다
- 습도가 높아지는 계절이 왔다. 특히 올해는 오존층 파괴에 따른 온난화현상과 엘니뇨현상 등으로 무더위와 집중호우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높은 습도로 우리 집 공간 중 피해를 입는 것 하나가 습기에 약한 나무로 이뤄진 마루바닥. 마루바닥을 위한 적정 습도는 35~65%이나 여름철에는 실내 습도가 80% 내외까지 상승하므로 관심을 갖고 살필 일이다. 이미 오랜 기간 사용으로 마루가 부풀고 들뜨고 변색되었다면 이번 기회에 마루재를 새로 깔아 쾌적한 여름을 나자. 최근 출시되는 마루제품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인증을 받은 데다 시공방법이 수월하고 디자인과 품질이 눈에 띄게 강화되었다. 글 박지혜 기자 자료협조 동화자연마루(080-346-6091 www.greendongwha.co.kr) 이건리빙(02-2007-2222 www.eagon.com) 한솔홈데코(080-777-2299 www.hansolhomedeco.co.kr) 한화L&C(02-729-2852 www.hlcc.co.kr) 혜종건업주식회사(02-548-2419 www.bembe.co.kr)다른 계절보다 하절기에 마루 하자 발생률이 높다. 이건리빙 기술연구소에 따르면, 습기에 장기간 노출됐을 때 그리고 시공 후 소비자의 마루재에 대한 지식이 미흡하거나 관리를 소홀히 했을 경우 하자 발생이 잦았다. 장마기간이 낀 여름철 새로 집을 지을 때 주의할 점은, 빡빡한 공사일정으로 수분이 증발할 여유를 두지 않고 수분을 머금은 채 공사가 완료되면 바닥 모르타르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마루 제품으로 스며들어 영향을 주기도 하니 명심하자. 또 주방처럼 물이 많이 튀고 물걸레질을 자주 해 장시간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 장마철 고온 과습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될 경우, 장마철 환기 부재로 상대습도 증가로 인한 결로 발생, 신규 주택 미입주 시점이나 여름 휴가철 등의 장기 부재 시 변색 등의 하자 발생 확률이 높다. 마루 성능을 위해서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해 온겱윳?센서를 설치할 것도 추천한다. 마루재의 적절한 환경 조건은 온도 13~24℃, 습도 35~65%, 목재 함수율 8~13%이다. 지속적으로 말끔한 마루를 사용하기 위해 하절기 4시간마다 10~15분 주기로 환기하고 습도가 지나치게 높은 장마철에는 난방을 가동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메모해두자. 관리 및 조치방법·애완동물의 대·소변이 장시간 방치될 경우 마루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즉시 제거·스팀청소기는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 시 마루가 습기에 오랫동안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적정온도와 습도 유지해 주기. 실내 온도 습도의 급격한 변화는 목질마루 고유의 특성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장마철과 같은 우기가 끝나면 창문을 열어 환기시켜 집 안 전체의 습도 조절·습기가 많은 주방이나 화장실 입구는 매트를 사용하여 마루에 물기가 없도록 해주고 정기적으로 걷어 환기시키기·먼지는 가능한 진공청소기로 제거하고 물기가 적은 걸레로 닦기. 마루에 수분이 있을 경우 즉시 마른 걸레로 닦아내기·마루 표면 변색의 원인이 되는 코팅제, 광택제, 니스, 락스 등의 세제 사용은 가급적 금하며, 오물은 중성세제(주방세제, 세탁용 세재 등)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마른 걸레로 마무리날이 갈수록 좋아지는 요즘 마루, 겉과 속이 모두 알차네~최근 마루 판매 업체들이 부쩍 열을 올리고 있는 부분은 친환경적 제품과 시공의 간편함 그리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춘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다. 한솔참마루 관계자는 강화마루의 경우 원목 위에 올리는 장식층을 보다 자연스런 나뭇결 느낌이 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고 마루 생산업체 전반적으로 세련된 느낌을 살리도록 폭을 좁힌 제품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의 공간이 우리집에 재현되다이건마루는 유럽의 강화마루인 라미에를 선보였다. 오랜 기간 균일한 마루 제품을 생산하여 품질과 물성 안정을 인정받는 크로노 그룹 계열사 제품이다. 내마모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클릭 안정성이 우수한 유니클릭 시스템 적용. 참나무(Oak)와 호두나무(Walnut) 등 12가지 수종. 친환경 우수 등급인 E0, E1 등급 제품. 또 라미에와 함께 선보이는 카라는 이탈리아산 고급 원목마루로 유럽과 아프리카 등의 다양한 수종을 보유하고 균일한 질감과 부드러운 색상이 특징적이다. 핀란드산 자작나무(Birch) 합판을 적용한 친환경 마루. 이외에 이건리빙은 천연 원목마루 대비 표면 강도가 200% 향상된 마띠에와 국내 최초로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고 핀란드 M1 등급, 일본 F★★★★ 인증 등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제나를 공급하고 있다,좁은 마루 폭으로 세련된 공간 연출 동화자연마루의 2008년형 신제품 강화마루 플로렌은 일반적인 마루 폭이 190㎜인 것에 비해 156㎜로 마루 폭을 줄임으로써 원목의 자연스러움이 한층 살아난다. 표면 질감은 내추럴한 느낌을 살려 유럽풍의 고급스럽고 세련된 공간 분위기 연출에 효과적이다.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참나무(Oak)와 호두나무(Walnut), 벚나무(Cherry), 단풍나무(Maple) 등 4가지 수종을 중심으로 총 15개 패턴이 있다. 기존 강화마루의 평균 가격대를 유지하면서 디자인과 패턴 면에서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제품으로 소비자 가격은 시공비 포함 3.3㎡(평)당 9만 원. E1 등급의 친환경 자재. 살균 항균 기능이 있는 마루한솔참마루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클릭형의 강화마루가 각광 받는 가운데 자체 클릭 시스템인 '한솔버튼락'을 개발, 지난해 특허권을 획득했고 한솔버튼락 적용 제품의 경우 기존 클릭 제품 대비 겨울철 난방으로 인한 틈 벌어짐이 현저하게 줄었다고 한다(올 봄 소비자센터 조사결과). 최근 모든 제품에 광촉매와 은나노를 첨가한 제품을 선보였다. 광촉매는 세균, 악취, 포름알데히드 등 인체 유해 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지니고 은나노는 살균력과 항균성, 음이온 방출 기능이 있다. Super-E0 등급의 온돌마루 뉴젠, 마루 폭이 좁아진 레브, 천연 미네랄을 첨가하고 음이온 바이오와 은나노 기술 접목으로 항균·방충·악취제거 기능이 뛰어난 원목마루 프리움 등을 선보이고 있다. 스웨덴의 락 기술 제휴로 더욱 강해진 마루한화L&C는 새로운 강화마루 마루安(안)을 선보인다. 업계에서는 시공이 편한 마루, 소비자에게는 생활이 편한 마루라는 콘셉트로 다가서고 있는 마루안은 스웨덴 Vallinge Innovation AB社의 락(탑클릭) 기술 특허를 채용, 시공 속도가 기존 클릭형에 비해 약 30% 빨라졌고 Side Edge 방수코팅이 장점이다. 100% 소나무로 만들어 온돌문화에 적합한 고품질의 HDF(High Density Fiberboard, 강화마루 중심층의 목재 패널)를 사용하고 폭 방향 인장강도가 기존 클릭(강화마루) 제품의 약 2배가 높게 조사됐다. 30가지 패턴의 디자인. E1 등급.
-
- 주택&인테리어
- 인테리어
-
[INTERIOR] 여름에도 뽀송뽀송한 마루 지킬 건 지켜야 쾌적하다
-
-
미국식으로 지은 산뜻한 2층 목구조 주택
- 잘 지은 전원주택 ② 미국식으로 지은 산뜻한 2층 목구조 주택 함연봉씨 댁은 정통 미국식 목조주택을 표방하는 42평 규모의 2층 주택으로 새하얀 시멘트 사이딩과 검붉은 아스팔트 싱글이 조화를 이룬 외관에서는 깔끔하면서도 단아한 분위기가 풍긴다. 거기에 일반적이지 않은 ‘부채꼴’ 모양의 외관도 눈에 띄는 부분인데, 장방형의 건물을 살짝 구부려 놓은 듯한 모양새에서는 색다른 조형적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하지만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모든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철저하리만큼 미국식 목조주택의 건축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 집에서 미국식 목조주택의 건축양식을 찾아보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벽체의 구조에 있어서는 외벽에는 2×6 각재를, 내벽에는 2×4 각재를 사용했으며, 골조를 세우는 방식에 있어서도 플랫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함연봉씨 댁이 자리한 경남 양산시 원동면 대리 일대는 일명 ‘배내골’로 불리는 지역이다. 배내골은 영남알프스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남쪽 알프스와 서쪽 알프스 사이, 20리에 걸쳐 뻗어있는 협곡으로 산 좋고 물 좋기로 유명해 피서철 사람들의 왕래가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영남알프스를 이루는 해발 1천m급 8개 산 중, 가지산(迦智山·해발 1240m)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신불산(神佛山 ·해발 1208.9m)이 지척에 자리하고 있어 그 경관의 수려함은 무엇과도 비할 바가 아니다. 또한 앞으로는 낙동강 지류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어 전원생활을 원하는 이들이 부지선정 1순위로 꼽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전형적인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거기에 자그마한 단지로 형성되어 있으면서도 상수원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조용하고 여유로움을 추구하는 전원생활자들에게는 더없이 이상적인 입지여건을 자랑한다. 내화·내진·내구성 뛰어난 미국식 목조주택 함연봉씨 댁은 정통 미국식 목조주택을 표방하는 42평 규모의 2층 주택으로 새하얀 시멘트 사이딩과 검붉은 아스팔트 싱글이 조화를 이룬 외관에서는 깔끔하면서도 단아한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거기에 일반적이지 않은 ‘부채꼴’ 모양의 외관도 눈에 띄는 부분인데, 장방형의 건물을 살짝 구부려 놓은 듯한 모양새에서는 색다른 조형적 아름다움이 묻어난다. 하지만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모든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철저하리만큼 미국식 목조주택의 건축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공을 담당했던 삼익로그&목조주택(주)의 홍종선 사장은 “2백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식 목조주택은 오랜 기간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며 “보다 한국적인 목조주택의 보급을 위해서라도 정통 미국식 목조주택의 시공방식을 제대로 도입해 우리의 주거문화에 맞춰나가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집에서 미국식 목조주택의 건축양식을 찾아보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벽체의 구조에 있어서는 외벽에는 2×6 각재를, 내벽에는 2×4 각재를 사용했으며, 골조를 세우는 방식에 있어서도 플랫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플랫폼(Platform Framing)방식이란 미국식 목조주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벽체구성방식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진 각재사이에 다시 블로킹(Blocking)이라고 불리는 짧은 각재를 끼워넣어 벽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각재사이에 사용되어지는 블로킹은 특히 내화성(耐火性)과 내진성(耐震性)을 고려해 시공되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각각의 층을 이루는 공간이 별도의 큐브로 이뤄진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 중 하나인데, 미국에서는 이같은 방식을 채택해 지은 목조주택의 경우 내구성과 내화성은 물론 내진성까지 인정받아 4층까지도 건축이 가능하다. 틀이 짜여진 벽체에는 OSB합판과 인슐레이션 그리고 석고보드를 처리하고 외벽과 내벽에는 시멘트 사이딩과 핸디코트로 마감이 이뤄졌는데, 특히 내벽마감에 사용된 핸디코트의 경우는 미국식 목조주택에서 흔히 사용되는 내벽마감용 자재로 일반 벽지나 루바에 비해 내화성이 뛰어나다는 이유로 미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내벽마감 방식이다. 주택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시 안전에 관련된 부분이라고 설명하는 홍종선 사장은 “특히 목조주택의 경우 국내에서는 아직 화재에 대해 많은 부분 잘못 이해되고 있다”며 “제대로 된 자재를 사용해 제대로만 짓는다면 어느 구조재의 주택보다도 화재에서 안전한 것이 목조주택”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단적인 예로 미국에서는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해 2층까지 불이 옮겨 붙는데 걸리는 시간을 1시간으로 정해두고 그 규정을 지키지 못하면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며 “그만큼 미국식 목조주택들은 화재에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맥반석 보드 시스템’으로 시공된 온돌마루 목조주택의 장점 중 하나로 꼽는 것이 바로 건식(乾式)공법으로 집이 지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폐자내나 환경문제에 대해 어느 때보다 높은 관심을 보이는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한 바가 적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습식공법에 비해 건식공법이 자연친화적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그런 이유에서 목조주택 역시 적잖은 덕(?)을 보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건식공법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목조주택의 경우도 국내시공에 있어서는 불가피하게 습식(濕式)공법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는데, 다름 아닌 온돌마루에 대한 시공부분이다. 입식문화를 대표하는 목조주택을 온돌문화에 익숙한 국내소비자의 입맛에 맞추려다 보니 불가피한 부분이지만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그런 이유에서 이 집의 또 다른 특징을 꼽는다면 바로 온돌마루의 시공을 들 수 있다. 겉으로 봐서는 여느 주택의 원목온돌마루와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그 구조상에는 적잖은 노하우가 숨어 있는데, 다름아닌 건식(乾式)공법으로 시공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시멘트로 양생하는 온돌마루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하중. 이에 대해 홍종선 사장은 “많은 하중이 구조재가 가해지면 최악의 상황에는 집을 망칠 수도 있다”며 “현재로서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하고 “함연봉씨 댁의 온돌마루는 ‘맥반석 보드 시스템’을 사용해 시공이 이뤄진 탓에 100% 건식(乾式)공법을 적용하면서도 하중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맥반석 보드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시멘트 양생방식에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무게가 가볍다는 것이다. 또한 시공이 간단할 뿐 아니라 파이프의 파열로 인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보수가 간단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맥반석 보드가 지니는 자체탄성으로 바닥의 탄력이 유지돼 보행에 상당한 편안함을 제공하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으로 꼽힌다. 田 ■ 글 사진 정철훈 ■ 건축정보 ·위치 : 경남 양산시 원동면 대리 ·건축형태 : 2층 2×4, 2×6 목구조 주택 ·건축면적 : 42평 (1층 30평, 2층 12평) ·실내구조 : 1층-거실, 주방 겸 식당, 황토방, 화장실 2층-가족실, 방, 화장실 ·공사기간 : 2002년 2월~5월 ·외벽마감 : 시멘트 사이딩 ·내벽마감 : 거실(핸디코트/황토벽돌), 천장(루바), 황토방(한지벽지) ·창호재 : 시스템창호(수입) ·단열재 : 인슐레이션 ·지붕마감 : 2중 그림자 아스팔트 싱글 ·바닥마감 : 강화온돌마루(월넛) ·난방형태 : 심야전기보일러 ·식수공급 : 지하수 ·건축비용 : 평당 3백50만원 ■ 설계 및 시공 : 삼익로그&목조주택(주) 055-362-0260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미국식으로 지은 산뜻한 2층 목구조 주택
-
-
절제된 아름다움 돋보이는 일본의 철구조 주택
- 세계의 주택 Japan 절제된 아름다움 돋보이는 일본의 철구조 주택 일본의 주택시장은 국내 주택시장의 내일을 보는 거울이다. 일본시장을 잘 분석해보면 우리 주택의 향후 대책을 세우는 데 적지않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일본과 함께 국내에서도 최근 단독주택의 건축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안정성을 높인 스틸하우스 등 건축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으면서 국내 단독주택 시장이 다양해진 셈이다. 최근 일본의 철골축조-패널 병합구조는 지진뿐만 아니라 태풍이 심한 기후에 충분히 대비한 신개념 주택양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지진과 태풍이 많은 일본 주택의 두드러진 특징은 내진성(耐震性)에 있다. 구조재뿐만 아니라 설비재의 경우에도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해 안전, 강도 등이 철저하게 검증된 자재를 쓴다. 예를 들어 일본에 가서 어떤 집을 방문하려면 먼저 강진에 대비해 특수 설계된 방화문을 열고 들어가야 한다. 이 문에는 초내진 금형설비가 장착되어 있다. 현관이나 욕실에는 안전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본의 건축기본법에서는 체계적인 성능시험을 통해 특정 건축재료를 법률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아예 법률로 사용 가능한 건축재료를 명시해 자연재해로부터의 피해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에서 최근 철골구조의 주택건축이 유행하고 있다. 전통적인 일본의 주택구조는 기둥-보(post & beam) 구조방식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집들이 일본에서 흔한 삼나무(스기)를 이용해 기둥을 세우고 보를 걸치는 등 전통적인 축조방식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업체에서 개량된 기둥-보 구조방식과 조립식 방식을 개발해 과학적인 집들을 짓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대표적인 단독주택 건설전문업체인 다이와 하우스의 경우 전통적인 구조방식의 주택공법을 응용해 철골축조-패널 병합방식의 주택을 짓고 있다. 이 방식은 철골구조(기둥)에 두 개의 내력 패널 프레임을 끼워 넣어 전체 구조를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그런 다음 세 개의 철골이 하나로 묶인 구조(triple united system)로 주택의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 특히 이 철골축조-패널 병합구조는 지진뿐만 아니라 태풍이 심한 일본의 기후에 충분히 대비한 점이 돋보인다. 지진과 풍압력을 전달, 분산시키기 위해 기둥, 들보, 트러스, 뼈대 등을 고품질의 볼트로 단단하게 결합한다. 또한 지붕기초 패널과 동제 몸체의 접합에는 강제 지붕패널 접합의 show window를 사용한다. 태풍에 의한 지붕의 피해를 대비해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토대에서 주택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동제 가로대를 사용하며, 가로대로부터의 힘을 연결해 마루속의 base에 전하는 연결 기둥에는 동제속을 이용해 내구성을 강화시켰다. 기초와 기둥을 연결하는 토대에는 용융 아연도금을 400g/m 이상 처리한 동제 토대를 쓴다. 외벽 마감재로는 DC system wool, DE system wool, DS system wool 등 세 종류를 채택해 쓴다. 이 외벽재는 모두 석면을 함유하지 않은 세라믹계다. 이처럼 안전성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의 주택들은 대부분 에너지 절약 설비 시스템이 설치된다. 특히 지난해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동경 아리아케의 일본국제종합전시장(Big Site)에서 열린 ‘Japan Home Show 2000’에서는 최첨단의 에너지 절약 제품인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원적외선 난방설비, 열선저항식 측정기, 다기능 단열재 등이 선보였다. 이처럼 주택의 건축에서도 에너지 절약 시스템에 철저한 것은 70년대 세계를 강타한 바 있는 오일쇼크 이후라고 한다. 이처럼 철저한 내진, 에너지 효율 설계와 구조에 따라 지어지는 일본의 주택시장 규모는 세계 최대이다. 98년 한 해 동안 일본의 신축주택 가구수는 1백19만8천2백95가구(일본 건설성 자료)였다. 참고적으로 같은 해 미국의 주택건축 가구수는 1백61만 가구에 불과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인구는 1억2천5백만 명이고 미국은 2억7천4백만 명이다. 인구로는 미국의 50%에도 못 미치는 일본이 주택 건축 규모에서는 미국을 앞지른 것이다. 이와 같은 일본에서는 매월 약 4만5천여 가구의 단독주택이 지어진다. 이에 비해 매월 다층 주택 가구수는 약 4만8천여 정도이다.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건축비율이 비슷하단 얘기다. 이중에서 2×4 목구조로 지어지는 가구수가 매월 6천6백여 가구에 불과한 반면 철골조-패널 병합구조를 포함한 조립주택은 약 1만6천여채가 건축되고 있다. 일본의 주택시장은 국내 주택시장의 내일을 보는 거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단독주택의 건축비율이 일본처럼 높아지는 가운데 안정성을 높인 스틸하우스 등 건축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일본 주택 문화의 전통 ‘다다미’ 일본주택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하나의 문화는 다다미다. 우리나라 주거에서 온돌문화가 중요하듯 이웃 일본의 주거문화는 다다미 문화인 셈이다. 최근 일본은 새로운 기능의 다다미 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한때 우리나라 온돌을 이용한 온돌 다다미가 일본내에서 크게 인기를 있은 적도 있다. 하지만 일본내 다다미 수요는 젊은층에서 조금씨 줄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지금도 전체적으로 볼 때 70%이상이 주거에서 다다미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다다미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근래들어 일본문화 개방과 더불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주로 일식집 및 종교집회장 일반주거용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접는 것, 거듭해지는 것, 깔개 등의 어원을 가진 다다미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구사(인초), 돗고(짚매트), 해리(태두리/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종류와 디자인도 매우 다양하다. 다다미는 응접실,침실,서재 등의 용도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다미는 피질인 등심초 자리 특유의 성질로 방의 공기를 정화해 주며, 다다미 한 장에 쓰인 등심초 자리는 5백cc정도의 수분을 흡수하고, 실내가 건조하면 이를 방출시켜 실내를 적정 습도로 유지시켜 준다. 이 등심초 자리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한 이산화질소를 흡착하는 성질이 뛰어나고 흡착한 이산화질소의 50%~80%는 등심초 자리 내에서 무해한 일산화 질소가 되어 공기 중에 환원하고 있다. 또한 등심초의 향에는 진정 효과가 있어 실내에서 삼림욕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고 있다. 다시말해 등심초 자리가 실내 환경을 정화해 주고 있는 셈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등심초 자리 표면에 무수한 기공이 스펀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를 흡입, 배출하기 때문이다. 다다미는 일반적인 바닥 마감재에서는 볼 수 없는 색다른 향과, 감촉, 적절한 탄력성, 동양적인 미의 매력이 있는 바닥재다. 특히 피질인 등심초 자리 자체에 적당한 보온, 보냉성과 기분을 전환시켜 주는 독특한 ‘향’이 자랑이다.田 글 진선영/자료제공 일본대사관 상무과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절제된 아름다움 돋보이는 일본의 철구조 주택
집짓기 정보 검색결과
-
-
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
- 실내 온도를 높이는 난방의 기원은 인류의 불 사용과 주거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우리 민족은 불을 발견하고 불씨를 보존해 취사와 난방을 하면서 고유하고 독특한 주거 문화유산인 온돌[구들]을 발명했다. 예전 장작, 검불, 말똥 등을 때는 전통 아궁이 온돌이나, 요즘 연탄과 등유, 가스 등을 연료로 한 보일러 온수 순환 온돌이나 모두 바닥난방이란 점에서 변함이 없다. 우리의 바닥난방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살펴보자. 글 사진 윤홍로 기자전통 온돌은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덮어 흙을 발라서 방바닥을 만들고 불을 때서 난방하는 것으로, 열전달 메커니즘인 전도, 복사, 대류의 원리를 모두 적절히 활용한 과학적인 난방 방식이다.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불기운이 고래를 통과하면서[대류] 방바닥에 전달되고[전도], 방바닥의 열기[축열]는 방 전체[복사] 및 거주자의 신체에 전달되며[전도], 방 안에서 따듯한 온기가 하부에 머물 수 있게 저온 방열을 통해 공기의 흐름[대류] 속도를 제어한다.우리 민족과 온돌은 떼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온돌의 발명으로 주거가 땅 위로 올라오면서 정착생활이 이뤄졌고, 그로 인해 가족제도가 성립되고 부족, 민족국가를 형성했다.“우리 한민족은 구들방의 아랫목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공부하거나 자거나 식사하거나 병들거나 간에 구들에 밀착된 생활을 한다. 또 수명이 다하여 죽을 때에도 구들에서 죽고, 죽은 뒤에까지 구들에 와서 제사상을 받는다. 구들에서 죽지 아니한 경우를 가장 흉하게 여겨 시신을 구들 위에 들여오지 아니할 만큼, 구들을 아끼고 신성시한다. 그래서 구들에 밀착하여 생활하다 보니 좌식생활 방식이 되고, 이 생활에 적합한 옷으로 품이 넉넉한 한복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_ 리신호 교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한민족의 난방문화> 중에서 전통 온돌문화와 서구 보일러의 합리적인 결합1940년대 후반부터 토탄, 유연탄, 무연탄가루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1950년대 이전까지 장작이나 숯을 때는 전통 온돌 바닥 난방이 주류를 이뤘다. 전통 온돌은 아궁이의 용도에 따라 난방과 취사를 겸한 ‘부뚜막식’과 난방 전용 ‘함실식’이 있다. 한편, 일제강점기 때 상류층을 중심으로 한 문화주택에서 전통주택의 재래식 온돌과 개량 온돌, 라디에이터, 스토브, 페치카 등을 혼용했지만, 상당수가 일상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온돌로 회귀하기도 했다.1952년 정부(당시 상공부)에서 산이 황폐해지고 연료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자, 가정용 연료로 장작이나 숯에 비해 발열량이 많고 운반과 사용이 편한 구멍탄(19공탄) 사용과 아궁이 개량을 장려했다. 이때부터 부뚜막식 아궁이는 ‘두꺼비집 부뚜막식 연탄 온돌(화덕 고정형)’로, 함실식 아궁이는 ‘레일식 연탄 온돌(화덕 이동형)’로 바뀌기 시작했다.하지만 ‘밤새 무사하셨어요.’ 라는 말이 인사가 됐듯이, 연탄을 사용하면서 연탄가스 중독 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연탄가스 중독의 원인은 연탄 온돌이 전통 온돌의 아궁이 후렁이(땔감이 들여지고 연소 불길이 이는 부분) 부분만 바꿨기 때문이다. 전통 온돌은 역류 현상이 많아 구들장 밑의 고래 내부와 부엌에 미처 빠지지 못한 연탄가스가 남고, 그것이 바닥과 벽이 갈라지면 그 틈새로 들어올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당시 궁여지책으로 개발한 것이 굴뚝 끝에 매다는 가스 배출기였다.1960년대 연탄가스 중독을 막고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연탄 온돌을 개량한 연탄보일러 온수 바닥난방 방식이 등장했다. “보일러 상부 중앙에 연탄을 넣어 물을 40∼60℃ 온수로 만들고 각 방의 패널 코일과 라디에이터에 공급하여 난방을 했다. 냉각된 물은 다시 보일러로 환수, 재가열하여 순환시켰다. 이 보일러는 샤워용 온수도 공급했고, 보일러 덮개를 만들어 취사도 할 수 있었다.”_ 전남일·양세화·홍형옥,《한국 주거의 미시사》, 돌베개김준봉(국제온돌학회 회장, 북경공업대학 건축성시학원) 교수는 연탄보일러에 대해 우리의 전통 온돌문화와 서구 보일러의 합리적인 결합이라고 설명한다.“온수관이 바닥 고래의 기능을 대신하고 직접 가열 방식에서 온수를 이용한 간접 가열 방식으로 전통 온돌의 직접 가열 방식과 차이가 있었으나, 효율적인 바닥난방을 계승한 일종의 절충 방식이었다. 온수 순환식 바닥난방의 도입과 함께 비로소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가정용 보일러가 등장하기 시작하기 시작했으며, 온수를 순환시키는 파이프 또한 강관에서 동관, 그리고 각종 비닐계 온수 전용 파이프 등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이는 우리의 전통적 온돌문화와 서구에서 유입된 보일러가 합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_Daum 블로그, 김준봉 교수의 온돌이야기 구들과학이야기하지만 연탄보일러는 번개탄으로 통하는 착화탄이 등장할 정도로 불을 붙이기가 쉽지 않았고, 시간에 맞춰 연탄을 갈아줘야 했으며, 연탄재와 가루로 부엌이 지저분해졌다. 또한 1967년 이후 매년 겨울철을 앞두고 연탄 파동이 발생하다시피 했다. 정부에서 연탄 수급이 어려워지자 월동 연료 대책으로 연탄의 가수요 억제와 원활한 공급을 위해 연탄 구매 카드제를 실시할 정도였다. 예전엔 취사와 난방을 겸한 부뚜막 온돌이 주를 이뤘다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선 대부분 등유보일러를 선택한다. 1975년 이후 석유가 보일러의 연료로 도입되면서, 기름보일러 시장이 급신장하기 시작했다. 기름보일러는 연탄가스 사고의 완전한 예방과 연탄을 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으므로 1980년대 들어서 중산층의 난방 방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1978∼1981년 2차 석유파동으로 기름값이 크게 오르자, 연탄보일러가 다시 인기를 끌기도 했다. 당시 정부에서 에너지 다원화 정책의 일환으로 가스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취사 및 난방 연료로 가스가 빠르게 보급됐다. 우리나라에 처음 선보인 가스보일러는 1982년 ㈜공영토건(현 대성셀틱)에서 수입한 프랑스 샤포토에모리사 제품이다. 그 후 1984년부터 ㈜롯데기공이 처음 가스온수보일러를 자체 생산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 가스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천연가스 전국 공급 환상형 주요 배관망이 완공된 이후 가스보일러가 난방 방식으로 자리를 굳혀갔다. 무엇보다 공해가 거의 없고 고장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직접 가열식 전통 온돌이나 외부의 별도 보일러를 이용해 온수를 순환시키는 간접 가열식 현대 온돌이나 모두 바닥난방 방식이다. 그래서 요즘 아파트에서 사는 사람들도 온돌방에서 생활한다고 말한다. 바닥난방의 경우 그곳에 접한 신체 부위로부터 열전도에 따라 열이 직접 전달된다. 서 있을 때는 발바닥에서부터, 앉아 있으면 엉덩이나 다리 부위에서부터 따듯함을 느끼게 된다. 동양의학에 두한족열頭寒足熱, 즉 ‘머리는 시원하게 발은 따듯하게’라는 말이 있다. 사람은 발밑이 따듯하고 온몸이 쾌적한 온도가 되면 기분이 좋아져 슬슬 잠이 오고 건강해진다고 한다. 하지만 바닥 온도가 낮으면 다리의 혈관이 수축돼 혈액순환이 나빠지고 심한 경우 냉증이 발생한다. 또 발의 냉증은 손 온도에 전달돼 손의 혈액순환 및 피부 온도를 떨어트리기도 한다. 우리 고유의 바닥난방이 실내에서 신발을 신어야만 생활할 수 있는 서구식 대류 난방 방식과 따듯한 느낌이 전혀 다른 이유다. 건강하고 쾌적한 겨울나기 주택 만들기01Ⅰ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02Ⅰ따듯한 겨울나기의 중심, 보일러03Ⅰ몸도 마음도 따뜻하게 데우는 난로04Ⅰ결로 곰팡이에서 안전한 주택, 패시브하우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
-
-
['18년 11월호 특집 1] 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
- SPECIAL FEATURE 건강하고 쾌적한 겨울나기 주택 만들기 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 두한족열頭寒足熱 원리 반영한 건강성 주거 실내 온도를 높이는 난방의 기원은 인류의 불 사용과 주거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우리 민족은 불을 발견하고 불씨를 보존해 취사와 난방을 하면서 고유하고 독특한 주거 문화유산인 온돌[구들]을 발명했다. 예전 장작, 검불, 말똥 등을 때는 전통 아궁이 온돌이나, 요즘 연탄과 등유, 가스 등을 연료로 한 보일러 온수 순환 온돌이나 모두 바닥난방이란 점에서 변함이 없다. 우리의 바닥난방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살펴보자. 글 사진 윤홍로 기자 전통 온돌은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덮어 흙을 발라서 방바닥을 만들고 불을 때서 난방하는 것으로, 열전달 메커니즘인 전도, 복사, 대류의 원리를 모두 적절히 활용한 과학적인 난방 방식이다.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불기운이 고래를 통과하면서[대류] 방바닥에 전달되고[전도], 방바닥의 열기[축열]는 방 전체[복사] 및 거주자의 신체에 전달되며[전도], 방 안에서 따듯한 온기가 하부에 머물 수 있게 저온 방열을 통해 공기의 흐름[대류] 속도를 제어한다. 우리 민족과 온돌은 떼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온돌의 발명으로 주거가 땅 위로 올라오면서 정착생활이 이뤄졌고, 그로 인해 가족제도가 성립되고 부족, 민족국가를 형성했다. “우리 한민족은 구들방의 아랫목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공부하거나 자거나 식사하거나 병들거나 간에 구들에 밀착된 생활을 한다. 또 수명이 다하여 죽을 때에도 구들에서 죽고, 죽은 뒤에까지 구들에 와서 제사상을 받는다. 구들에서 죽지 아니한 경우를 가장 흉하게 여겨 시신을 구들 위에 들여오지 아니할 만큼, 구들을 아끼고 신성시한다. 그래서 구들에 밀착하여 생활하다 보니 좌식생활 방식이 되고, 이 생활에 적합한 옷으로 품이 넉넉한 한복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_ 리신호 교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한민족의 난방문화> 중에서 전통 온돌문화와 서구 보일러의 합리적인 결합 1940년대 후반부터 토탄, 유연탄, 무연탄가루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1950년대 이전까지 장작이나 숯을 때는 전통 온돌 바닥 난방이 주류를 이뤘다. 전통 온돌은 아궁이의 용도에 따라 난방과 취사를 겸한 ‘부뚜막식’과 난방 전용 ‘함실식’이 있다. 한편, 일제강점기 때 상류층을 중심으로 한 문화주택에서 전통주택의 재래식 온돌과 개량 온돌, 라디에이터, 스토브, 페치카 등을 혼용했지만, 상당수가 일상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온돌로 회귀하기도 했다. 1952년 정부(당시 상공부)에서 산이 황폐해지고 연료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자, 가정용 연료로 장작이나 숯에 비해 발열량이 많고 운반과 사용이 편한 구멍탄(19공탄) 사용과 아궁이 개량을 장려했다. 이때부터 부뚜막식 아궁이는 ‘두꺼비집 부뚜막식 연탄 온돌(화덕 고정형)’로, 함실식 아궁이는 ‘레일식 연탄 온돌(화덕 이동형)’로 바뀌기 시작했다. 하지만 ‘밤새 무사하셨어요.’ 라는 말이 인사가 됐듯이, 연탄을 사용하면서 연탄가스 중독 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연탄가스 중독의 원인은 연탄 온돌이 전통 온돌의 아궁이 후렁이(땔감이 들여지고 연소 불길이 이는 부분) 부분만 바꿨기 때문이다. 전통 온돌은 역류 현상이 많아 구들장 밑의 고래 내부와 부엌에 미처 빠지지 못한 연탄가스가 남고, 그것이 바닥과 벽이 갈라지면 그 틈새로 들어올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당시 궁여지책으로 개발한 것이 굴뚝 끝에 매다는 가스 배출기였다. 1960년대 연탄가스 중독을 막고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연탄 온돌을 개량한 연탄보일러 온수 바닥난방 방식이 등장했다. “보일러 상부 중앙에 연탄을 넣어 물을 40∼60℃ 온수로 만들고 각 방의 패널 코일과 라디에이터에 공급하여 난방을 했다. 냉각된 물은 다시 보일러로 환수, 재가열하여 순환시켰다. 이 보일러는 샤워용 온수도 공급했고, 보일러 덮개를 만들어 취사도 할 수 있었다.”_ 전남일·양세화·홍형옥,《한국 주거의 미시사》, 돌베개 김준봉(국제온돌학회 회장, 북경공업대학 건축성시학원) 교수는 연탄보일러에 대해 우리의 전통 온돌문화와 서구 보일러의 합리적인 결합이라고 설명한다. “온수관이 바닥 고래의 기능을 대신하고 직접 가열 방식에서 온수를 이용한 간접 가열 방식으로 전통 온돌의 직접 가열 방식과 차이가 있었으나, 효율적인 바닥난방을 계승한 일종의 절충 방식이었다. 온수 순환식 바닥난방의 도입과 함께 비로소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가정용 보일러가 등장하기 시작하기 시작했으며, 온수를 순환시키는 파이프 또한 강관에서 동관, 그리고 각종 비닐계 온수 전용 파이프 등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이는 우리의 전통적 온돌문화와 서구에서 유입된 보일러가 합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_Daum 블로그, 김준봉 교수의 온돌이야기 구들과학이야기 하지만 연탄보일러는 번개탄으로 통하는 착화탄이 등장할 정도로 불을 붙이기가 쉽지 않았고, 시간에 맞춰 연탄을 갈아줘야 했으며, 연탄재와 가루로 부엌이 지저분해졌다. 또한 1967년 이후 매년 겨울철을 앞두고 연탄 파동이 발생하다시피 했다. 정부에서 연탄 수급이 어려워지자 월동 연료 대책으로 연탄의 가수요 억제와 원활한 공급을 위해 연탄 구매 카드제를 실시할 정도였다. 예전엔 취사와 난방을 겸한 부뚜막 온돌이 주를 이뤘다(左).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선 대부분 등유보일러를 선택한다(右). 1975년 이후 석유가 보일러의 연료로 도입되면서, 기름보일러 시장이 급신장하기 시작했다. 기름보일러는 연탄가스 사고의 완전한 예방과 연탄을 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으므로 1980년대 들어서 중산층의 난방 방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1978∼1981년 2차 석유파동으로 기름값이 크게 오르자, 연탄보일러가 다시 인기를 끌기도 했다. 당시 정부에서 에너지 다원화 정책의 일환으로 가스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취사 및 난방 연료로 가스가 빠르게 보급됐다. 우리나라에 처음 선보인 가스보일러는 1982년 ㈜공영토건(현 대성셀틱)에서 수입한 프랑스 샤포토에모리사 제품이다. 그 후 1984년부터 ㈜롯데기공이 처음 가스온수보일러를 자체 생산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 가스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천연가스 전국 공급 환상형 주요 배관망이 완공된 이후 가스보일러가 난방 방식으로 자리를 굳혀갔다. 무엇보다 공해가 거의 없고 고장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직접 가열식 전통 온돌이나 외부의 별도 보일러를 이용해 온수를 순환시키는 간접 가열식 현대 온돌이나 모두 바닥난방 방식이다. 그래서 요즘 아파트에서 사는 사람들도 온돌방에서 생활한다고 말한다. 바닥난방의 경우 그곳에 접한 신체 부위로부터 열전도에 따라 열이 직접 전달된다. 서 있을 때는 발바닥에서부터, 앉아 있으면 엉덩이나 다리 부위에서부터 따듯함을 느끼게 된다. 동양의학에 두한족열頭寒足熱, 즉 ‘머리는 시원하게 발은 따듯하게’라는 말이 있다. 사람은 발밑이 따듯하고 온몸이 쾌적한 온도가 되면 기분이 좋아져 슬슬 잠이 오고 건강해진다고 한다. 하지만 바닥 온도가 낮으면 다리의 혈관이 수축돼 혈액순환이 나빠지고 심한 경우 냉증이 발생한다. 또 발의 냉증은 손 온도에 전달돼 손의 혈액순환 및 피부 온도를 떨어트리기도 한다. 우리 고유의 바닥난방이 실내에서 신발을 신어야만 생활할 수 있는 서구식 대류 난방 방식과 따듯한 느낌이 전혀 다른 이유다.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18년 11월호 특집 1] 전통 온돌을 계승한 온수 순환식 보일러 바닥난방
-
-
내 손으로 구들 놓기 ② 사찰 전당을 4개 아궁이로 데운 사실 놀라워
- 역사서로 배우는 구들 자그마치 천 명의 승려가 들어갈 만큼 큰 건물을 아궁이 네 개로 난방을 했다는 기록에서 전율을 느꼈다. 약 1500년 전에 만든 구들이, 100평이 넘는 큰 방을 네 군데 아궁이에서 불을 넣어 난방을 했다는 말이다. 중국에는 없는 고구려의 독특한 난방 형태에 대해 분명하게 말함으로써 구들의 오리진Origin을 확인시키는 중요한 대목이다. 글쓴이 오홍식 님은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구들 놓는 장인으로 반평생 구들 설치와 연구를 거듭하며 우리 주거문화의 백미白眉구들 문화 보존 및 전파에 힘쓰고 있습니다. 한 번 불을 때면 100일 따듯했다는 '칠불사 아자방亞字房'에 감동받아 구들 문화에 대한 사명감을 갖게 됐으며, 현재 구들문화원 원장이자 평창 황토 구들마을, 전국흙집 짓기 운동 본부 전담 구들 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글 오홍식 <(사)한구전통구들협회 구들문화원 원장> 010-3044-8396 http://blog.daum.net/guwdle 지금의 구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전해져 왔으며, 그 실상은 어땠는지 알아보는 것이 제대로 된 구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순서라고 생각한다. 문헌으로 남아 있는 구들 관련 자료는 서유구의《임원경제지》나 《금화 경 독기》, 《산림경제지》, 《거가필용》 등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열하일기》를 들 수 있다. 조선왕조 중조시대 《열하일기》의 저자인 연암 박지원은 구들에 관해서 중국식 '캉'이 우리나라 온돌보다 뛰어나다 했으며, 급기야 '서둘러 캉의 제도에 의거해 바꾸는 것이 옳다'고 언급했다.2000년 전에 이미, 한 번 불을 때서 100일 난방을 했다는 우리의 찬란한 구들 문화와 과학은 그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킬 제도적 장치가 없어지면서 고작 방 한쪽에 침상 대신으로 만드는 중국의 캉을 본받아야 한다는 참담한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전통문화의 황폐화가 나라의 패망으로 다다른 모습을 보는 듯하다. 해가 갈수록 구들 놓는 법을 배우겠다는 사람이 많다. 전구 각지에서 배우어 온다. 그런데 급한 마음에 속성으로 익히는 것도 좋겠지만 구들의 역사와 과학적 원리를 공부해 자기 것으로 만들면, 열효율을 더욱 높이는 방법도 터득할 수 있다. 역사에 나오는 구들 형태도 다종다양했으니 우리라고 한 가지만 고수하라는 법은 없다. 열하일기를 통해 보는 조선의 구들《열하일기》에 묘사된 우리 구들의 결점 여섯 가지를 보자.1. 구들돌을 올려놓는 고임돌의 진흙 재료가 약하고 부정형의 구들돌을 올려놓기 위해 받치는 작은 돌들 이 부실해 방고래가 꺼지기 쉽다.2. 구들장의 두께가 일정치 않아 고루 따뜻하지 않다.3. 고임돌이 높고 고래가 넓어서 불꽃이 서로 연결되지 못한다.4. 담과 벽이 성기고 엷어서 생긴 틈으로 바람이 뚫고 들어와 방 안에 연기가 차고 아궁이로 불길이 거꾸 로 나온다.5. 불목火頂 아래에 불목구멍이 연달아 있지 않기에 불이 멀리까지 넘어가지 못하고 땔나무 끄트머리에 서 맴돈다.6. 방을 말리는 데 땔나무 100단을 쓰고도 열흘 안으로 방에 들어가 살지 못한다. 게다가 굴뚝 만드는 법은 더 허술하다. 굴뚝에 틈이 생기면 한 오라기의 바람도 아궁이의 불을 꺼버릴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우리나라 온돌에서는 불이 부엌으로 되나오고 골고루 따뜻하지 못한 것을 염려 하는데 그 잘못은 굴뚝에 있다. 연암은 여기에 덧붙여 여섯 가지 해독을 말한다.1. 잘못된 온돌 때문에 땔감 낭비가 심하다. 땔감과 재물의 태반이 부엌 아궁이 속으로 사라져버린다.2. 땔감이 귀해 한 아름 되는 나무는 100리를 가도 찾지 못한다. 따라서 재목이나 관재로 쓸 나무가 적다.3. 땔감이 귀한 까닭에 산은 헐벗고 황폐해 한 번 큰물이 나면 모래와 진흙이 씻겨 내려가 도랑과 시내에 쌓이고, 논밭을 덮어버린다.4. 땔감이 귀한 까닭에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한 방에 거처하게 되며 남자가 내실에 머물게 되어 《예기禮 記 》의 경계를 어기게 되므로 예의에 어긋난다.5. 여러 날 불을 때지 않으면 온갖 벌레와 쥐가 벽에 구멍을 뚫고, 어느 날 갑자기 불을 때면 하인방까지 불이 달라붙어 집 전체를 잿더미로 만든다.6. 구들을 깔고 방바닥에 장판지를 바르는 데 돈이 많이 들기에 부유한 집이 아니면 쓰지 못한다. 그리고 굴뚝 가까운 부분은 불길이 닿지 못해 얼룩덜룩 썩는다. 사방 한 길 정도를 바꾸고자 장판지 한 장 걷 어울리면 구들장 위에 흙손질한 것이 들고일어나 구들장 전체를 다시 깔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고 3년 동안 바꾸지 않으면 재가 고래 속을 메워 구들장이 차갑다. 여러 해 만에 장판을 다시 하면 귀한 물 건을 마구 버리게 된다. 강화도 선원사지 유적 중 동쪽 건물 터의 구들 구조. 선원사는 1245년 몽골 항쟁에 대한 상징의 의미와 함께 지어진 고려시대 사찰로 지금의 해인사 팔만대장경이 맨 처음 만들어져 보관했던 곳으로 알려진다. 2001년 동국대 박물관에서 발굴했다. 연암의 지적을 현대 구들에 비춰보면연암의 시대와 다르지 않게 지금도 많은 곳에서 퇴락한 구들 설비로 비슷한 고통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연암의 지적을 기준으로 현대 구들 속을 들여다보자.1. 구들의 재료와 구조 문제는 현재 올바른 시공으로 고임돌이 무너지거나 구들장이 꺼지게 되는 일은 생 기지 않는다. 과거 일부 가난과 무지의 소산으로 보아야 옳다.2. 구들장 두께의 균일성과 난방의 균등성은 별개의 문제다. 구들돌의 두께가 일정치 않아도 고래의 구조 등으로 고르게 따뜻한 방을 만든다.3. 고임돌 높이 등으로 불꽃이 연결되지 못한다는 말은 잘못된 발상이다. 고임돌이 높고 고래가 넓으면 일반적으로 열효율을 높이기 쉬우며 구들의 수명도 오래가는 등 좋은 점이 많다. 고래의 구조로 해결 되는 문제다.4. 하방 쌓기의 문제인데, 고막이라고도 하는 부위의 시공이 부실해 열기의 유통이 안 되는 문제지만 지 금의 건축에서는 일부러 만들려고 해도 어려운 이야기다. 기초공사에서 간단히 해결된다.5. 부뚜막 아궁이에서 불목 배치가 적절치 못하면 불이 들지 않고 연기를 거꾸로 내뱉는 것은 당연한 일 이다. '바보가 만들어도 아랫목은 따스하다'는 식으로 비과학적이거나 합리적이지 못한 구조의 구들이 대부분이었다는 말이다. 부넘기 또는 불목 조절뿐 아니라 고래의 구조와 개자리 등의 적절한 설비는 이러한 문제를 간단히 해결한다.6. 5번 조항에 해당하는데, 전통 구들의 원칙에 따라 시공하면 문제 되지 않으며 방바닥 마감은 장판지 외에도 좋은 재료들이 얼마든지 개발돼 있다. 굴뚝의 중요성을 지적한 연암의 안목에는 탄복을 금할 수 없다. 더구나 중국의 캉 제도를 칭찬하면서 중국 캉의 구조 중에 굴뚝 개자리[烟門犬座]를 언급한 것은 대단한 식견이다.그런데 자금성은 캉에 불을 피워 난방을 했지만 굴뚝은 없다. 굴뚝을 타고 자객이 들어올 것을 막기 위해 굴뚝 없이 배연했다고 하니 중국에서 굴뚝은 궁궐에서 배척된 반면, 우리는 굴뚝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한 유일한 나라가 됐다.여섯 가지 해독에 대한 내용은 기초공사의 부실로 인한 문제와 뒤떨어진 구들 구조의 방고래로 인해 생기는 연료 낭비와 열효율을 지적하는데, 정통 구들방 시공법으로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들이다.땔감으로는 지천에 널린 게 나무고 풀이다. 산속의 나무들은 너무나 빡빡해서 육림育林사업으로 솎아 주는 일이 필요하다. 육림도 하고 화석 연료를 덜 쓰게 하는 땔감 모으기가 권장돼야 한다. 간벌을 한다고 베어 놓은 나무나 자연적으로 썩어 넘어진 것 들이 큰비가 오면 쓸려 내려가 개울을 메우고 다리에 걸려 물길을 막는 통에 해마다 물난리를 겪고 있다. 나라에서 땔감 모으기에 관심을 가진다면 이런 문제는 큰돈 안 들이고 해결된다. 도랑치고 가재 잡는 격이다.2000여 년 전 100일간 난방이 되는 아자방亞字方구들을 만들었고, 1500여 년 전 고구려의 관계사觀鷄寺에는 천여 명의 승려가 들어갈 수 있는 건물을 아궁이 네 개로 덥힐 수 있었던 구들이 어쩌다가 조선왕조 후반기에는 내다 버려야 할 만큼 한심한 지경에까지 이르렀는지. 구들의 역사적인 면면을 잠시 짚어보면서 다른 나라에서의 난방 역사를 일별一瞥하는 짬을 내어 보자. 경복궁 집경당 발굴도. 경복궁 구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거의 훼손돼 그 원형을 알 수 없으며 굴뚝만 문화재로 지정됐다. 구들의 역사와 다른 나라의 구들구들 관련 이름에 대해 기록에 나타난 것을 보면 항방, 갱, 돌 , 난돌, 온방, 온돌, 구돌, 흙구들 등의 표현이 있다. 이외에도 몽고캉, 북지항, 만주캉, 여진캉, 유해캉, 토촹, 창 등 다양한 명칭으로 쓰였다. 한편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묻을 캉', ' 말릴 캉'을 '구들캉'으로 토를 달아 놓았으며, 고려시대에 온돌방을 오실墺室이라고 기록했음을 볼 수 있다. 자칫하면 캉의 종류가 더 많고 더 오래된 것으로 오해할 소지까지 있어 더욱 우리의 구들(온돌)에 대한 위상 정립이 중요하다. 구들에 대해 그 역사적 기원을 찾기 시작한 것은 근래의 일로, 언제부터 '집'이라는 말이 있었는지 모르듯 구들이라는 용어도 마찬가지다. '구운 돌'에서 구들이 유래됐다는 설도 있지만, 글쎄다. 구들에 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AD 500~513년 북위北緯의 력도원麗道元이 쓴 중국의 옛 지리서인 《수경주水經注》제 14권 <포구수조鮑丘水條>의 주석에서 찾을 수 있는데, 중국 북경 동북부 고구려 접경에 위치한 관계사의 구들 형태와 기록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사찰 안 전당은 높고 넓어서 승려 천 명이 들어갈 수 있다. …바닥은 모두 석판으로 깔았고 지붕은 전부 흙으로 메웠으며 안에는 많은 통로가 있어 마치 경맥이 사방으로 뻗쳐 있는 것 같다. 바깥의 방 옆 네 면에 불을 지펴서 열기가 안으로 들어가 전당 전체를 따뜻하게 한다.' 자그마치 천 명의 승려가 들어갈 만큼 큰 건물을 아궁이 네 개로 난방을 했다는 기록에 전율을 느꼈다. 약 1500년 전에 만든 구들이다. 한 평 넓이에 아홉 사람을 수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100평이 넘는 큰 방을 네 군데 아궁이에서 불을 넣어 난방을 했다는 말이다. 중국에는 없는 고구려의 독특한 난방 형태에 대해 분명하게 말함으로써 구들의 오리진Origin을 확인시키는 중요한 대목이다. 온돌문화의 원조가 어디인지는 역사를 포함한 강역江域의 구분을 주장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외에 《수경주》보다 100여 년 지난 중국 당나라 시대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에도 구들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고려시대 최자崔滋(1181~1260)가 《보한집補閑集》 하권에 '급히 땔나무로 불을 피워 구들을 따듯하게 하고 … 작은 돌을 주워 아궁이를 막고 회를 이겨서 틈을 메우고'라고 기록했다. 아궁이 불문을 막아 방고래 속의 열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했다는 내용을 당연한 것으로 써 놓았다. 아궁이를 막아 자연적인 기류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한다는 과학적인 표현이다. 열역학을 생활에서 일상화했다는 말이겠다. 《삼국유사》제 1권에서 발해 구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기단 위 중앙 3개의 방 툇간에 구들이 있는데 북쪽 툇간의 것은 한 줄이고 나머지는 두 줄 고래다. 구들 바닥은 방바닥 면적의 1/3 정도로, 고래는 한 자 두께고 세 치 두께의 구들장을 놓았다. 또 서측 방과 툇간의 구들 고래도 마찬가지로 합쳐져 북쪽 방 밖의 굴뚝과 닿아 있다. 굴뚝은 사방 27자 크기다.' 단기 2452년(서기 119년) 신라 지마왕 때 만들어진 아자방 구들은 그 역사가 2000년이며 1931년 일본인 후지타 료사크의 《청구학총》 기고문 <유적으로 보는 구들이야기>(p.233)에 이렇게 기록됐다. ' 신석기시대 유물들과 함께 출토된 함경북도 웅기 송평동의 구들 유적 발굴 결과 그 구조가 오늘날과 같은 전면구들이다.' 집경당 구들의 ㄹ부. 전면구들의 역사가 2000년이 넘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지금까지 발견된 긴 고래구들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초기철기시대(BC 300년경)로 추정되는 수원시 서둔동 유적에서 볼 수 있는 터널식 구들로 알려졌다. 고구려의 문화를 그대로 이어 받았다는 발해의 유적 중 지금의 흑룡강성 영안현에 있는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궁성 침전터에서 발굴된 구들은 고구려 구들과 같이 방안에 아궁이를 두고 아궁이의 방향이 고래와 거의 직각을 이루며, 굴뚝까지 연결된 내굴길이 두 줄로 이뤄져 있다. 인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고려시대 창건한 선원사禪源寺는 원래 해인사에 있는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던 절로, 이 사찰 터에서 지금까지 알려졌던 서너 줄 고래와는 달리 열다섯 줄 고래의 형태가 발견됐다. 독특한 형태의 구들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 건물은 고임돌의 폭이 35~60㎝, 고임돌 간격은 25~35㎝, 깊이는 40㎝ 정도로 보고됐다《( 동국대박물관 발굴조사 보고서Ⅰ》 p.233, 2003년). 결복굴 교태전 아궁이 궁궐의 구들궁궐 중 ○○당堂과 ○○전殿 등으로 현재 남아 있는 궁전 건축물의 구들 중 연경당 본채의 부뚜막 아궁이를 제외하면 모두 난방만을 위한 함실아궁이고 구들 개자리가 없다. 숯을 연료로 사용했으며 구들장으로는 다듬은 화강암을 썼고, 고임돌은 장대석 등으로 쌓았다. 재료로 일반 석재 외에 전塼 등도 사용됐다. 궁궐의 구들 중에 숯불을 담는 탕이라는 용기를 함실 속에 넣어 난방을 한 탕방구들 양식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일제 강점기 동안 이곳에 일본인들이 살면서 그 원형을 훼손해 실제 남아 있는 구들은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에는 거의 없고 대부분 창덕궁에서나 볼 수 있다. 경복궁은 지상 건축물만 다시 만들고 구들은 거의 복원하지 않고 굴뚝만 문화재로 지정했다. 기초 바닥에서 이맛돌까지 높이가 100~150㎝, 고임돌은 화강암 다듬은 것이나 전塼 또는 강회벽돌로 만들었으며 함실 바닥은 강회다짐을 했고 3~5개의 굽은 고래가 대표적이다. 구들돌은 주로 다듬은 화강암을 썼고 간혹 운모석이 섞여 있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내 손으로 구들 놓기 ② 사찰 전당을 4개 아궁이로 데운 사실 놀라워
-
-
전원주택 설계, 19평형 시골집
- 디자인 콘셉트 & 설계 계획파란색 슬레이트 지붕과 페인트 마감.고향에 있는 집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다. 모두 한 지붕 아래 하나같이 같은 공간을 경험하며 자라왔다.시골에 내려가서 한적하게 지내고 싶은 한 사람이 있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여유롭게 자신을 돌아보고 싶은 건축주는 큰 집을 원하지 않았다. 화려한 형태는 지양하고 조용히 스며드는 집을 바랐다. HOUSE PLAN건축면적 63.65㎡(19.25평)연면적 63.65㎡(19.25평)최고높이 3.15m(가중평균 지표면 기준)공법 기초 - 철근콘크리트 지상 - 경량 목구조지붕재 컬러강판외벽재 벽돌 치장쌓기창호재 72㎜ 알루미늄 3중 유리 창호내벽재 벽지바닥재 강마루수전 등 욕실기기 아메리칸 스탠다드현관문 단열 강화도어가구 현장 제작설계 LOW CREATORs 010-4789-8208 / 070-4130-3162 www.lowcreators.com설계자 권재돈, 양인성 PLANNING침실 3개화장실 1개층수 지상 1층 공간 구성시골집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집이다.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어른들의 휴식이 스며든 집이다.지면에서부터 약 45㎝ 띄운 기단 위에 집이 들어선다. 기단은 집 전체를 두르고 있다. 작은 스툴 하나면 멋진 야외 테라스가 만들어진다. 좁은 집이지만, 전경이 넓은 창으로 인해 시원한 시야를 확보했다. 현관에 들어서면 전면에 손수 심은 사과나무가 보인다. 여유를 가지고 집에 드나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현관에서부터 나무와 하늘을 바라볼 수 있게 계획했다.현관은 좌우 공간을 구분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왼쪽에는 아직 어린 자녀들이 놀고 공부하고 생각에 잠길 수 있도록 연출한 방이 있다. 오른쪽에는 공간 구획 없이 거실과 주방, 식당이 오밀조밀하게 위치한다. 거실은 단순히 TV를 보는 곳이 아니다. 아이들과 그날 있었던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자, 부부가 함께 인생을 계획하는 소중한 장소다.모든 방문은 목재를 활용한 장지문이다. 시선은 가리되 빛을 투과하는 반투명 한지 접합유리에 의해 공간의 깊이감을 더했다. 침실은 침대를 사용하기보다 우리의 온돌문화를 고려해 이불을 펴고 생활하는 좌식생활을 택했다. 침실의 협소한 느낌을 상쇄하기 위해 모든 장을 바닥에서 띄웠다. 노을이 지는 한적한 오후모든 일정을 마친 가족들이 주방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며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시골집.작은 ‘시골집’에 행복이 조용하게 스며들기를 간절히 바란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주택설계
-
전원주택 설계, 19평형 시골집
-
-
[ARCHITECTURE DESIGN] 시골집
- 시골집 PLANNING 침실 3개 화장실 1개 층수 지상 1층 HOUSE PLAN 건축면적 63.65㎡(19.25평) 연면적 63.65㎡(19.25평) 최고높이 3.15m(가중평균 지표면 기준) 공법 기초 - 철근콘크리트 지상 - 경량 목구조 지붕재 컬러강판 외벽재 벽돌 치장쌓기 창호재 72㎜ 알루미늄 3중 유리 창호 내벽재 벽지 바닥재 강마루 수전 등 욕실기기 아메리칸 스탠다드 현관문 단열 강화도어 가구 현장 제작 설계 LOW CREATORs 설계자 권재돈, 양인성 디자인 콘셉트 & 설계 계획 파란색 슬레이트 지붕과 페인트 마감. 고향에 있는 집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다. 모두 한 지붕 아래 하나같이 같은 공간을 경험하며 자라왔다. 시골에 내려가서 한적하게 지내고 싶은 한 사람이 있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여유롭게 자신을 돌아보고 싶은 건축주는 큰 집을 원하지 않았다. 화려한 형태는 지양하고 조용히 스며드는 집을 바랐다. 평면도 공간 구성 시골집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집이다.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어른들의 휴식이 스며든 집이다. 지면에서부터 약 45㎝ 띄운 기단 위에 집이 들어선다. 기단은 집 전체를 두르고 있다. 작은 스툴 하나면 멋진 야외 테라스가 만들어진다. 좁은 집이지만, 전경이 넓은 창으로 인해 시원한 시야를 확보했다. 현관에 들어서면 전면에 손수 심은 사과나무가 보인다. 여유를 가지고 집에 드나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현관에서부터 나무와 하늘을 바라볼 수 있게 계획했다. 현관은 좌우 공간을 구분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왼쪽에는 아직 어린 자녀들이 놀고 공부하고 생각에 잠길 수 있도록 연출한 방이 있다. 오른쪽에는 공간 구획 없이 거실과 주방, 식당이 오밀조밀하게 위치한다. 거실은 단순히 TV를 보는 곳이 아니다. 아이들과 그날 있었던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자, 부부가 함께 인생을 계획하는 소중한 장소다. 모든 방문은 목재를 활용한 장지문이다. 시선은 가리되 빛을 투과하는 반투명 한지 접합유리에 의해 공간의 깊이감을 더했다. 침실은 침대를 사용하기보다 우리의 온돌문화를 고려해 이불을 펴고 생활하는 좌식생활을 택했다. 침실의 협소한 느낌을 상쇄하기 위해 모든 장을 바닥에서 띄웠다. 노을이 지는 한적한 오후 모든 일정을 마친 가족들이 주방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며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시골집. 작은 ‘시골집’에 행복이 조용하게 스며들기를 간절히 바란다. 010-4789-8208 / 070-4130-3162 www.lowcreators.com | lowcreators@gmail.com
-
- 집짓기 정보
- 주택설계
-
[ARCHITECTURE DESIGN] 시골집
-
-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
- 최근 한옥韓屋, 즉 우리 집의 뿌리 찾기에 한창이다. 조선이 근대국가로 발전하지 못한 채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해방 후엔 미국 중심의 서구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잃어버린 우리 집인 ‘한옥의 정체성 회복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그동안 한옥이 널리 보급되지 않는 이유는 춥고 불편하며 비싸다는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보존해야 할 문화재 전통 한옥과 달리 한옥 고유의 아름다움과 현대인의 생활양식을 접목한 고성능 저비용 보급형 한옥 개발이 필요하다.글 윤홍로 기자 한옥과 양옥은 이란성 쌍둥이“우리나라 고유의 형식으로 지은 집을 양식 건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조선집·한식집)”_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일제 강점기 이후 양식과 일본식 건축과 구별하여 전래된 전통적인 집을 한옥이라 부르기도 한다.”_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사전적 정의를 보면 한옥은 양옥洋屋이나 일본식 주택과 상대되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옥이란 용어가 언제 어떻게 등장했는지 알려면, 먼저 한옥과 상대되는 양옥과 일본식 주택이 이 땅에 지어지게 된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옥과 양옥은 한날한시에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이기 때문이다. 콜로니얼Colonial 양식_17~18세기에 영국, 에스파냐, 네덜란드 등이 정복한 식민지에서 유행한 건축 양식. 본국의 양식을 반영하면서 각지의 풍토에 맞는 독자적인 양식을 추구했다. 1873년 통상수교거부정책을 강력하게 표방해온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1875년 이 틈을 타서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해협에 불법 침입함으로써 조선과 일본 간 포격 사건이 발생(운요호 사건)한다. 1876년 일본은 이 사건을 트집 잡아 조선에 군대를 보내 조선 정부를 무력으로 압박해 부산항과 원산항, 제물포항을 개항해 통상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를 체결한다. 그 후 개항장에 외국인의 거류지가 정비되고 서양풍의 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한다. 바로 한옥과 상대되는 양옥이다. 당시 조선에 지어진 양옥은 서양 본토의 건축물과는 모양이나 형식이 달랐다. 바로 식민지 콜로니얼Colonial 양식이었기 때문이다.개항 초기에 제물포를 중심으로 양옥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후 서양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또한 조선과의 마찰을 고려해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개화 초기에 ‘서양풍’ 주택을 건립했는데, 이를 ‘양옥’이라 할 수 있다. 서양식주택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조적식 구조이다. 따라서 전통 가구식架構式 목구조와는 크게 달랐다. 양옥은 대부분 벽돌조 건물로 식민지 양식 주택의 일반적인 특징인 중복도 형식을 취했으며, 접객 공간, 홀, 계단의 위치 등에서 건물 주인이나 기술공의 출신국별로 독특한 형식을 보여주었다. 형태상으로 전면의 베란다, 회랑과 포치, 아르누보식 실내장식, 권위를 상징하는 화려한 장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양옥은 이후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까지 우리나라 주택의 기능·구조·재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데크, 베란다, 포치, 퍼걸러, 뾰족지붕과, 뻐꾸기창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양옥의 특징은 엄밀히 말해 18세기 식민지 양식이자, 조선에 지어진 양옥의 모습이다. 당시 이 땅에 많은 양옥이 지어지면서 이것과 우리 고유의 전통 가옥과 구별하기 위해 한옥이란 용어가 등장한다.한옥이라는 단어는 융희2년(1907)년에 작성된「가사家舍에 관한 소복문서照覆文書」에도 등장하는 꽤 오래된 이름이다.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 영관領館 교당敎堂 학당學堂 등의 용어와 함께 한옥韓屋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영관이나 학당이나 교당이라는 용어는 개항 이후 새롭게 등장한 건물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이 건물들은 외국인들에 의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그 이름에 건물의 주체와 용도와 성격이 함축되어 있다. 당시에는 ‘주가住家’나 ‘제택第宅’등과 같은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한옥이라는 단어는 정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용어들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한제국의 ‘한韓’과 집을 뜻하는 ‘옥屋’으로 이루어진, ‘대한사람의 살림집’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뜻에서 사용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그러면 당시 누가, 왜 양옥을 지은 것일까.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일본은 조선 왕실을 회유하기 위해 종친과 측근들에게 귀족 작위를 부여했다. 새로운 작위를 받은 사람들은 유럽이나 일본의 귀족과 마찬가지로 머리도 단발을 하고 옷도 양복을 입었다. 그렇게 겉모습은 서양식으로 꾸몄는데 온돌방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생활하려니 아무래도 어색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우선 사랑방만 양식으로 바꾸었다가 나중에는 아예 양옥을 지었는데 신분이 귀족이었으니 주택도 유럽의 귀족 주택을 모방하여 지었다. 3) 조선사회가 해체되고 일제 치하에 들어가면서 일반 사가에서도 왕족이 누렸던 호사를 누리게 된 사회상을 반영한 충남 예산의 개량 한옥 문화주택의 또 다른 이름 개량 한옥양옥이 확산되면서 한옥은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건축 양식으로 전락한다. 1921년 제중원 의사인 홍석후 씨가 동아일보에 쓴 글이다.조선 사람이 고칠 것은 조선의 가옥 제도이다. 제일로 폐지할 것은 조선의 행랑방이니 손님이 찾아오더라도 그 불결한 행랑방이 있는 것이 비상히 불쾌할 것이며, 행랑방을 지나서 들어서면 안마당에서 안부엌이 보이고, 또는 수채가 보이며 뒷간도 보인다. 이것도 위생에 좋지 못하고, 또 조선 부엌은 매양 안방에 달려있음으로써 안방 뒷문 밖이 부엌이 된다. 그래서 내버린 더러운 것이 그곳에서 썩어 악취를 발할뿐 아니라 겨울이면 그것이 얼어붙었다가 봄이 되면 풀리어 그 습기는 전부 방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조선 사람들은 이 습기로 인하여 류머티즘 같은 병에 걸리는 일이 많다. 4)일제 강점기에 건강한 삶에 대한 사회적 욕구 해결을 위해 등장한 위생을 매개로 문화주택이 한인 지식인과 일인 중심으로 보급된다. 문화주택은 화양절충和洋折衷 주택이었다. 즉, 일본식 화和와 서양식 양洋을 절충했다는 뜻으로, 1층은 거실과 서재, 식당으로 구성해 소파와 테이블, 식탁을 놓아 서양식으로 꾸미고 2층에는 침실을 두어 일본식 다다미방으로 꾸몄다. 그런데 메이지시대의 일본 역시 서양의 제국주의를 모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양식이라기보다 식민지 양식, 즉 콜로니얼 양식에 가까웠다. 5)당시 건강하고 편리한 삶은 한옥의 개량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인식한 한인 주택업자에 의해 개량 한옥이 대량으로 공급되면서, 도시 한옥이 일제 강점기에 문화주택의 한 유형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 서울에서는 주택개발업자들이 개발한 한옥을 일반적으로 ‘개량 한옥’이라 불렀다. 개량 한옥은 전통 한옥과 비슷하지만, 도시의 새로운 주거 생활에 맞도록 개량됐다. 개량 한옥에는 벽돌, 유리, 함석 같은 외국의 건축 자재들을 활용하고, 철근콘크리트 기초를 도입하거나 지붕 아래 현대식 단열재를 넣고 공조 설비를 매립하기도 했다. 당시 유행한 개량 한옥의 설계도 해설이다. 일제 강점기 개량 한옥인 문화주택 설계도 가족 수가 많은 중류 주택이다. 건평 26평 6홉, 가족은 부부 2명, 노인 1명, 아동 1명, 학생 2명, 식모 1명이다. 구조는 기초 콘크리트, 요대부腰帶部는 기와로 하고 주요부는 나무로 한 기와집이다. 서재 겸 응접실은 양풍으로 취급하여 벽과 천장은 양회로 칠한다. 그 외 각 방은 온돌, 내부는 순조선식 현관, 주방, 목욕실엔 콘크리트로 바른다. 중요한 각 방은 남향으로 하여 일광을 충분히 들어오게 하고 노인실은 아동실을 겸한다. 주방은 선반과 음식을 만드는 선반을 설치한다. 6)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인 한옥 문화주택은 해방 후 점점 더 대중화됐다. 1950년 한국전쟁이 끝난 뒤 많은 주택이 손실됐고, 1960년대부터 재건의 바람이 급격히 불었다.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농촌을 떠나 서울로 몰려드는 이촌향도의 물결이 치던 시기였다. 갑자기 인구가 불어나자 주택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문화주택을 지어 파는 집장사가 생겨났다. 이렇게 새로 지어진 문화주택은 대부분 고유의 한옥이 아니라 한옥과 양옥의 절충식 주택이다. 해방 후 서구 물결과 함께 달라진 생활양식은 실용적이면서 심플한 주택 구조를 요구했다. 그 때문에 일부에서 고유의 한옥을 극히 귀족적이며, 유교의 도덕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비과학적이고 비기능적이라고 보았다. 절충식 주택은 서양식에다 로컬 컬러라 하여 고유 한옥의 아름다움을 가미한 형태였다. 한 지붕 밑에 응접실과 거실, 화장실, 목욕탕 등을 함께 설계해 동선을 단축하고, 벽돌과 완자창, 흰돌 등을 사용하고 마루와 온돌을 놓았던 것이다. 토담만 쌓아 그 위에 지붕을 덮은 토담집 1970년대 전국적으로 불어 닥친 새마을운동의 각종 사업 가운데서 주거 문화 개선의 일환인 주택 개량 사업은, 우리 고유의 살림집인 한옥을 허물어 사라지게 하고, 대신 정체불명의 철근콘크리트 아파트로 뒤덮어 버렸다. 또 인구의 도시 집중과 주택난으로 아파트 신축 경향이 부쩍 늘어났다. 이러한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과 복부인의 투기에 힘입어 아파트 붐이 일면서 아파트 공화국이니 아파트 문화니 하는 말이 생겨났다. 당시 한옥이 콘크리트 숲에 밀려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한 건축가도 적잖았다.우리의 주생활은 수천 년 동안 이어 내려온 조상의 혈통과 맥박을 느낄 수 있는 민족의 슬기와 마음가짐의 표상이다. 비록 벽촌의 모옥삼간茅屋三間이라도 소박하고 자연과 합일되는 민간 건축의 아름다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근래에 서구 기계문명의 무비판적인 애용과 경제발전의 세찬 물결 때문에 한옥의 가치가 경시되고 있고 심지어 멀지 않아 자취마저 찾아보기 어렵게 될 것이라는 기우마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_윤장섭 건축가, 경향신문, 1978 한민족이 알뜰히 가꾸어온 주생활 양식엔 민족의 얼이 간직돼 있다. 더욱이 온돌문화란 세계에 유례없는 주생활 방식이어서 시간에 따라 공간의 성격을 달리하고 계절감에 민감한 삶의 즐거움을 안겨다 준다. 대청의 대들보와 서까래가 연출하는 공간 구성은 우리만이 간직한 격조 높은 예술의 극치이며 민화와 사군자 등을 문틀에 배접하여 완자창과 겹창으로 흘러내리는 곡면을 사뿐히 받힌 초가지붕의 운치는 그 위에 올린 박이나 고추의 색을 빼고도 전 세계에 으뜸가는 것이다. 따라서 이의 보존 내지는 복원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민족 숙원사업이라 하겠다. _김중업 건축가, 동아일보, 1981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얹고 귀를 맞추어 층층이 얹고, 그 틈을 흙으로 메운 귀틀집 일정 간격으로 자른 원목과 흙으로 쌓아 올린 목심집 한옥 당대 새 지평을 열다한옥은 1990년대 들어 삶의 질이 나아지면서 가족의 건강을 위한 자연과 어우러진 생태적인 주거 공간으로 황토집, 개량 한옥, 현대 한옥 등 다양한 이름으로 지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생태 건축이라 하여 구조체(뼈대) 없이 황토벽돌로만 지은 집, 또 귀틀집이나 목심집 등도 지어졌다. 이러한 구조의 집은 나무와 흙이 수축하면서 틈새가 발생해 단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로 인해 현대 한옥, 즉 황토집은 으레 그런 것이거니 하는 편견이 자리했다. 민간 중심으로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맞춰 지어진 현대 한옥 2000년대 들어서 한스타일韓Style 바람이 불면서 전통 한옥을 고집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하지만, 이 한옥은 전통 한옥이라기보다 한식韓式과 양식洋式을 접목한 개량 또는 절충 한옥에 가까웠다. 이들 한옥은 뼈대와 지붕을 짜는 방식은 전통에 근접하지만, 시대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의 삶을 담기엔 분명한 한계가 존재했다. 무거운 지붕으로 인해 부담스러워 보이는 외양, 기능성과 실용성이 떨어지는 공간구성, 나무기둥과 흙벽 사이의 틈, 전망 및 단열과 관계된 창호, 난방 방식, 주방과 화장실의 기능적인 마감 문제 등 현대인의 요구를 담아내기엔 부적합한 요소들이 많았다. 7) 2010년대 들어 한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이 한옥을 살림집으로 선호했다. 하지만, 한옥은 춥고 불편하다는 인식으로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국가한옥센터를 중심으로 한옥 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을 연구하고, 한옥 등 건축 자산을 보전·활용하거나 미래의 건축 자산을 조성하기 위한「한옥 등 건축 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국가한옥센터는 “신한옥을 한국의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과 외관을 기본으로 하되, 복합적인 구조 방식과 혁신적인 시공 방식, 성능 향상된 재료 등으로 구축된 건물”로 정의한다. 그리고 신한옥의 필수 조건으로 “현재 한옥이 널리 사용되지 않는 이유로 설비로 인한 생활의 불편, 유지 관리의 어려움, 신축에 필요한 높은 비용으로 조사됐다”면서 “현대의 새로운 한옥은 이를 반영해 한옥의 설계 및 시공을 현대화, 산업화, 대중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한다.최근 신도시와 뉴타운에도 한옥마을을 건립하는 등 신한옥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신한옥이 기존의 한옥이 가진 장점을 살리면서 현대 생활에 필요한 요구를 계속 수용해 간다면, 신한옥에 대한 높은 관심과 좋은 반응은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정부 주도로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과 외관을 기본으로 하되, 복합적인 구조 방식과 혁신적인 시공 방식, 성능 향상된 재료 등으로 구축된 신한옥 참고문헌: 1)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2) 임창복, 돌베개. 〈한옥의 정의와 개념 정립〉, 송인호.) 3) 5)《집에 들어온 인문학》, 서운영, 들녘. 4) 홍석후, 동아일보 1921. 6) 김윤기, 동아일보, 1930. 7) 《황토집 바로 짓기》, 이동일, 전우문화사 [살아 숨쉬는 건강 주택, 한옥]01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02 옛 전통 마을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은평한옥마을03 법규로 살펴본 한옥 건축 기준04 단아한 멋과 품위를 즐기다! 강릉오죽한옥마을05 북촌 근대한옥과 사랑에 빠진 데이비드 킬번06 한옥 대중화를 위해 앞서가는‘기라성한옥’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
-
-
['18년 9월호 특집1 살아 숨쉬는 건강 주택 한옥]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
-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 최근 한옥韓屋, 즉 우리 집의 뿌리 찾기에 한창이다. 조선이 근대국가로 발전하지 못한 채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해방 후엔 미국 중심의 서구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잃어버린 우리 집인 ‘한옥의 정체성 회복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그동안 한옥이 널리 보급되지 않는 이유는 춥고 불편하며 비싸다는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보존해야 할 문화재 전통 한옥과 달리 한옥 고유의 아름다움과 현대인의 생활양식을 접목한 고성능 저비용 보급형 한옥 개발이 필요하다. 글 윤홍로 기자 한옥과 양옥은 이란성 쌍둥이 “우리나라 고유의 형식으로 지은 집을 양식 건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조선집·한식집)”_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일제 강점기 이후 양식과 일본식 건축과 구별하여 전래된 전통적인 집을 한옥이라 부르기도 한다.”_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전적 정의를 보면 한옥은 양옥洋屋이나 일본식 주택과 상대되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옥이란 용어가 언제 어떻게 등장했는지 알려면, 먼저 한옥과 상대되는 양옥과 일본식 주택이 이 땅에 지어지게 된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옥과 양옥은 한날한시에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이기 때문이다. 1873년 통상수교거부정책을 강력하게 표방해온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1875년 이 틈을 타서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해협에 불법 침입함으로써 조선과 일본 간 포격 사건이 발생(운요호 사건)한다. 1876년 일본은 이 사건을 트집 잡아 조선에 군대를 보내 조선 정부를 무력으로 압박해 부산항과 원산항, 제물포항을 개항해 통상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를 체결한다. 그 후 개항장에 외국인의 거류지가 정비되고 서양풍의 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한다. 바로 한옥과 상대되는 양옥이다. 당시 조선에 지어진 양옥은 서양 본토의 건축물과는 모양이나 형식이 달랐다. 바로 식민지 콜로니얼Colonial 양식이었기 때문이다. 개항 초기에 제물포를 중심으로 양옥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후 서양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또한 조선과의 마찰을 고려해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개화 초기에 ‘서양풍’ 주택을 건립했는데, 이를 ‘양옥’이라 할 수 있다. 서양식주택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조적식 구조이다. 따라서 전통 가구식架構式 목구조와는 크게 달랐다. 양옥은 대부분 벽돌조 건물로 식민지 양식 주택의 일반적인 특징인 중복도 형식을 취했으며, 접객 공간, 홀, 계단의 위치 등에서 건물 주인이나 기술공의 출신국별로 독특한 형식을 보여주었다. 형태상으로 전면의 베란다, 회랑과 포치, 아르누보식 실내장식, 권위를 상징하는 화려한 장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양옥은 이후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까지 우리나라 주택의 기능·구조·재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 콜로니얼Colonial 양식_17~18세기에 영국, 에스파냐, 네덜란드 등이 정복한 식민지에서 유행한 건축 양식. 본국의 양식을 반영하면서 각지의 풍토에 맞는 독자적인 양식을 추구했다. 데크, 베란다, 포치, 퍼걸러, 뾰족지붕과, 뻐꾸기창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양옥의 특징은 엄밀히 말해 18세기 식민지 양식이자, 조선에 지어진 양옥의 모습이다. 당시 이 땅에 많은 양옥이 지어지면서 이것과 우리 고유의 전통 가옥과 구별하기 위해 한옥이란 용어가 등장한다. 한옥이라는 단어는 융희2년(1907)년에 작성된「가사家舍에 관한 소복문서照覆文書」에도 등장하는 꽤 오래된 이름이다.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 영관領館 교당敎堂 학당學堂 등의 용어와 함께 한옥韓屋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영관이나 학당이나 교당이라는 용어는 개항 이후 새롭게 등장한 건물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이 건물들은 외국인들에 의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그 이름에 건물의 주체와 용도와 성격이 함축되어 있다. 당시에는 ‘주가住家’나 ‘제택第宅’등과 같은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한옥이라는 단어는 정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용어들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한제국의 ‘한韓’과 집을 뜻하는 ‘옥屋’으로 이루어진, ‘대한사람의 살림집’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뜻에서 사용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 그러면 당시 누가, 왜 양옥을 지은 것일까.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일본은 조선 왕실을 회유하기 위해 종친과 측근들에게 귀족 작위를 부여했다. 새로운 작위를 받은 사람들은 유럽이나 일본의 귀족과 마찬가지로 머리도 단발을 하고 옷도 양복을 입었다. 그렇게 겉모습은 서양식으로 꾸몄는데 온돌방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생활하려니 아무래도 어색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우선 사랑방만 양식으로 바꾸었다가 나중에는 아예 양옥을 지었는데 신분이 귀족이었으니 주택도 유럽의 귀족 주택을 모방하여 지었다. 3) 문화주택의 또 다른 이름 개량 한옥 양옥이 확산되면서 한옥은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건축 양식으로 전락한다. 1921년 제중원 의사인 홍석후 씨가 동아일보에 쓴 글이다. 조선 사람이 고칠 것은 조선의 가옥 제도이다. 제일로 폐지할 것은 조선의 행랑방이니 손님이 찾아오더라도 그 불결한 행랑방이 있는 것이 비상히 불쾌할 것이며, 행랑방을 지나서 들어서면 안마당에서 안부엌이 보이고, 또는 수채가 보이며 뒷간도 보인다. 이것도 위생에 좋지 못하고, 또 조선 부엌은 매양 안방에 달려있음으로써 안방 뒷문 밖이 부엌이 된다. 그래서 내버린 더러운 것이 그곳에서 썩어 악취를 발할뿐 아니라 겨울이면 그것이 얼어붙었다가 봄이 되면 풀리어 그 습기는 전부 방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조선 사람들은 이 습기로 인하여 류머티즘 같은 병에 걸리는 일이 많다. 4) 일제 강점기에 건강한 삶에 대한 사회적 욕구 해결을 위해 등장한 위생을 매개로 문화주택이 한인 지식인과 일인 중심으로 보급된다. 조선사회가 해체되고 일제 치하에 들어가면서 일반 사가에서도 왕족이 누렸던 호사를 누리게 된 사회상을 반영한 충남 예산의 개량 한옥 일제 강점기 개량 한옥인 문화주택 설계도 문화주택은 화양절충和洋折衷 주택이었다. 즉, 일본식 화和와 서양식 양洋을 절충했다는 뜻으로, 1층은 거실과 서재, 식당으로 구성해 소파와 테이블, 식탁을 놓아 서양식으로 꾸미고 2층에는 침실을 두어 일본식 다다미방으로 꾸몄다. 그런데 메이지시대의 일본 역시 서양의 제국주의를 모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양식이라기보다 식민지 양식, 즉 콜로니얼 양식에 가까웠다. 5) 당시 건강하고 편리한 삶은 한옥의 개량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인식한 한인 주택업자에 의해 개량 한옥이 대량으로 공급되면서, 도시 한옥이 일제 강점기에 문화주택의 한 유형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 서울에서는 주택개발업자들이 개발한 한옥을 일반적으로 ‘개량 한옥’이라 불렀다. 개량 한옥은 전통 한옥과 비슷하지만, 도시의 새로운 주거 생활에 맞도록 개량됐다. 개량 한옥에는 벽돌, 유리, 함석 같은 외국의 건축 자재들을 활용하고, 철근콘크리트 기초를 도입하거나 지붕 아래 현대식 단열재를 넣고 공조 설비를 매립하기도 했다. 당시 유행한 개량 한옥의 설계도 해설이다. 가족 수가 많은 중류 주택이다. 건평 26평 6홉, 가족은 부부 2명, 노인 1명, 아동 1명, 학생 2명, 식모 1명이다. 구조는 기초 콘크리트, 요대부腰帶部는 기와로 하고 주요부는 나무로 한 기와집이다. 서재 겸 응접실은 양풍으로 취급하여 벽과 천장은 양회로 칠한다. 그 외 각 방은 온돌, 내부는 순조선식 현관, 주방, 목욕실엔 콘크리트로 바른다. 중요한 각 방은 남향으로 하여 일광을 충분히 들어오게 하고 노인실은 아동실을 겸한다. 주방은 선반과 음식을 만드는 선반을 설치한다. 6)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인 한옥 문화주택은 해방 후 점점 더 대중화됐다. 1950년 한국전쟁이 끝난 뒤 많은 주택이 손실됐고, 1960년대부터 재건의 바람이 급격히 불었다.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농촌을 떠나 서울로 몰려드는 이촌향도의 물결이 치던 시기였다. 갑자기 인구가 불어나자 주택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문화주택을 지어 파는 집장사가 생겨났다. 이렇게 새로 지어진 문화주택은 대부분 고유의 한옥이 아니라 한옥과 양옥의 절충식 주택이다. 해방 후 서구 물결과 함께 달라진 생활양식은 실용적이면서 심플한 주택 구조를 요구했다. 그 때문에 일부에서 고유의 한옥을 극히 귀족적이며, 유교의 도덕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비과학적이고 비기능적이라고 보았다. 절충식 주택은 서양식에다 로컬 컬러라 하여 고유 한옥의 아름다움을 가미한 형태였다. 한 지붕 밑에 응접실과 거실, 화장실, 목욕탕 등을 함께 설계해 동선을 단축하고, 벽돌과 완자창, 흰돌 등을 사용하고 마루와 온돌을 놓았던 것이다. 토담만 쌓아 그 위에 지붕을 덮은 토담집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얹고 귀를 맞추어 층층이 얹고, 그 틈을 흙으로 메운 귀틀집 일정 간격으로 자른 원목과 흙으로 쌓아 올린 목심집 1970년대 전국적으로 불어 닥친 새마을운동의 각종 사업 가운데서 주거 문화 개선의 일환인 주택 개량 사업은, 우리 고유의 살림집인 한옥을 허물어 사라지게 하고, 대신 정체불명의 철근콘크리트 아파트로 뒤덮어 버렸다. 또 인구의 도시 집중과 주택난으로 아파트 신축 경향이 부쩍 늘어났다. 이러한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과 복부인의 투기에 힘입어 아파트 붐이 일면서 아파트 공화국이니 아파트 문화니 하는 말이 생겨났다. 당시 한옥이 콘크리트 숲에 밀려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한 건축가도 적잖았다. 우리의 주생활은 수천 년 동안 이어 내려온 조상의 혈통과 맥박을 느낄 수 있는 민족의 슬기와 마음가짐의 표상이다. 비록 벽촌의 모옥삼간茅屋三間이라도 소박하고 자연과 합일되는 민간 건축의 아름다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근래에 서구 기계문명의 무비판적인 애용과 경제발전의 세찬 물결 때문에 한옥의 가치가 경시되고 있고 심지어 멀지 않아 자취마저 찾아보기 어렵게 될 것이라는 기우마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_윤장섭 건축가, 경향신문, 1978 한민족이 알뜰히 가꾸어온 주생활 양식엔 민족의 얼이 간직돼 있다. 더욱이 온돌문화란 세계에 유례없는 주생활 방식이어서 시간에 따라 공간의 성격을 달리하고 계절감에 민감한 삶의 즐거움을 안겨다 준다. 대청의 대들보와 서까래가 연출하는 공간 구성은 우리만이 간직한 격조 높은 예술의 극치이며 민화와 사군자 등을 문틀에 배접하여 완자창과 겹창으로 흘러내리는 곡면을 사뿐히 받힌 초가지붕의 운치는 그 위에 올린 박이나 고추의 색을 빼고도 전 세계에 으뜸가는 것이다. 따라서 이의 보존 내지는 복원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민족 숙원사업이라 하겠다. _김중업 건축가, 동아일보, 1981 한옥 당대 새 지평을 열다 한옥은 1990년대 들어 삶의 질이 나아지면서 가족의 건강을 위한 자연과 어우러진 생태적인 주거 공간으로 황토집, 개량 한옥, 현대 한옥 등 다양한 이름으로 지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생태 건축이라 하여 구조체(뼈대) 없이 황토벽돌로만 지은 집, 또 귀틀집이나 목심집 등도 지어졌다. 이러한 구조의 집은 나무와 흙이 수축하면서 틈새가 발생해 단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로 인해 현대 한옥, 즉 황토집은 으레 그런 것이거니 하는 편견이 자리했다. 2000년대 들어서 한스타일韓Style 바람이 불면서 전통 한옥을 고집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하지만, 이 한옥은 전통 한옥이라기보다 한식韓式과 양식洋式을 접목한 개량 또는 절충 한옥에 가까웠다. 이들 한옥은 뼈대와 지붕을 짜는 방식은 전통에 근접하지만, 시대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의 삶을 담기엔 분명한 한계가 존재했다. 무거운 지붕으로 인해 부담스러워 보이는 외양, 기능성과 실용성이 떨어지는 공간구성, 나무기둥과 흙벽 사이의 틈, 전망 및 단열과 관계된 창호, 난방 방식, 주방과 화장실의 기능적인 마감 문제 등 현대인의 요구를 담아내기엔 부적합한 요소들이 많았다. 7) 민간 중심으로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맞춰 지어진 현대 한옥 정부 주도로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과 외관을 기본으로 하되, 복합적인 구조 방식과 혁신적인 시공 방식, 성능 향상된 재료 등으로 구축된 신한옥 2010년대 들어 한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이 한옥을 살림집으로 선호했다. 하지만, 한옥은 춥고 불편하다는 인식으로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국가한옥센터를 중심으로 한옥 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을 연구하고, 한옥 등 건축 자산을 보전·활용하거나 미래의 건축 자산을 조성하기 위한「한옥 등 건축 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국가한옥센터는 “신한옥을 한국의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과 외관을 기본으로 하되, 복합적인 구조 방식과 혁신적인 시공 방식, 성능 향상된 재료 등으로 구축된 건물”로 정의한다. 그리고 신한옥의 필수 조건으로 “현재 한옥이 널리 사용되지 않는 이유로 설비로 인한 생활의 불편, 유지 관리의 어려움, 신축에 필요한 높은 비용으로 조사됐다”면서 “현대의 새로운 한옥은 이를 반영해 한옥의 설계 및 시공을 현대화, 산업화, 대중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최근 신도시와 뉴타운에도 한옥마을을 건립하는 등 신한옥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신한옥이 기존의 한옥이 가진 장점을 살리면서 현대 생활에 필요한 요구를 계속 수용해 간다면, 신한옥에 대한 높은 관심과 좋은 반응은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1)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2) 임창복, 돌베개. 〈한옥의 정의와 개념 정립〉, 송인호.) 3) 5)《집에 들어온 인문학》, 서운영, 들녘. 4) 홍석후, 동아일보 1921. 6) 김윤기, 동아일보, 1930. 7) 《황토집 바로 짓기》, 이동일, 전우문화사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18년 9월호 특집1 살아 숨쉬는 건강 주택 한옥] 우리의 살림집, 한옥의 뿌리를 찾아서
-
-
【전원주택 짓기】 이것만은 꼭 알고 짓자 ④ 난방비 절감
- 난방비 절감에 도움 되는 몇 가지 이야기단열재를 많이 쓰면 집이 따듯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단열재를 올바르게 시공하고 저렴한 가격에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아이템을 고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경 쓰지 않았던 부분에서 에너지 손실이 많이 생기기에 이러한 부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에너지 절약 주택에 필요한 몇 가지 아이템과 놓치고 있는 단열 부위에 대해 알아보자. 글·사진 윤세상 ㈜하우징팩토리 대표이사 T 1670-6840 www.housingfactory.co.kr 단열이 요즘 건축주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인테리어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불과 몇 년 전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유럽이나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시공업체에서 추천하는 건축 자재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금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면 보다 저렴하게 성능 좋은 자재를 선택할 수 있음에 도 지식 부족과 번거로움 등으로 업체에 맡기는 것이다. Point1. 기초 단열로 바닥으로 새는 열을 잡자 아무리 단열 성능이 뛰어난 제품이라 할지라도 부피에 비례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단열재를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단열 성능은 좋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놓치는 부분들이 있다. 1층 바닥이 그중 하나다. 온돌문화인 우리나라는 바닥 난방을 할 때 그 에너지가 전부 집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땅 밑으로 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건식공법을 적용한 주택 배관 부분의 하자 보수를 위해 바닥을 살펴보면 아랫부분이 뜨거울 정도다. 난방 에너지가 밑으로 새고 있기 때문인데, 단열 공사를 잘했음에도 생각 외로 난방비가 많이 나오는 이유다. 그래서 바닥도 이중 단열을 해주면 좋다. 기초 슬래브를 치기 전에 단열재를 넣고 슬래브를 치고 난방 파이프를 깔기 전에 한 번 더 단열재를 넣으면 바닥으로 새는 에너지를 잡을 수 있다. 난방비가 많이 나옴에도 바닥이 따듯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바닥 단열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봐야 한다. 바닥 단열재를 넣은 주택과 그렇지 않은 곳의 차이는 살아보면 바로 느낄 수 있다. 콘크리트는 절대 단열재가 아니다. 열을 빼앗아 가는 주범이다. 최대한 가려줘야 한다. 더불어 목구조가 올라가기 시작하는 기초 벽면은 대부분 땅에서 40㎝ 정도 올라오는데 이곳도 단열을 해주면 좋다. 바닥 난방 파이프는 벽체단열재 밑에 설치되기에 에너지 손실 우려가 크다. 대기전력 차단 장치와 일괄 소등 장치는 외출 시 모든 전등과 필요로 하지 않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버튼 하나로 모든 것을 컨트롤한다. Point2.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에너지 절약 아이템잠깐 사용하는 화장실에 바닥 난방을 하면 따듯하겠지만 결과적으로 에너지 낭비의 요인이 된다. 그래서 욕실 난방기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게 좋다. 욕실 난방기를 켜는 순간 바로 따듯해지기에 미리 켜둘 필요가 없고, 사용할 때만 쓰고 그렇지 않을 땐 꺼 두면 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을 보완하고 욕실의 골칫거리인 습기 제거에도 효과적이어서 여러모로 유용하다. 그리고 보일러도 쉽게 지나가는 부분인데, 일반 보일러와 콘덴싱 보일러의 가격차이는 건축비를 고려하면 작다고 할 수 있다. 단 10%의 난방비만 절감해도 충분히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다. 보일러 비용은 아끼지 말자. 각 방 온도 조절기도 설치하면 분명히 효과가 있다. 전에는 자주 고장을 일으켜 문제가 많았다. 필자도 AS로 고생을 적잖이 했다. 하지만 요즘에는 보일러 제조업체들이 만들고 있기에 하자가 많지 않다. 이를 설치하면 거주자에게 맞는 온도로 생활이 가능하고, 거실과 같이 밤에 쓰지 않는 공간은 난방을 끌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요즘 새로 짓는 아파트에는 많이 적용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와 일괄소등 장치도 단독주택에 적용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외출 시 모든 전등과 필요로 하지 않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장치로, 버튼 하나로 모든 것을 컨트롤 한다. 물론 냉장고처럼 꺼지면 안 되는 것들은 분리를 해야 하기에 처음 주택을 지을 때 이를 염두에 둬야 한다. 특히 에어컨을 통해 매달 50㎾의 대기전력이 소모된다고 한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전원주택 짓기】 이것만은 꼭 알고 짓자 ④ 난방비 절감
-
-
【업체탐방】 '쭌 난방' 간편한 시공에 난방비 절감까지
- 11월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서 난방에 대한 관심도 높다. 우리나라의 온돌 문화의 우수성이 최근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관련한 기술 발전도 비약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사실 현재 난방시공법인 시멘트 모르타르 온돌 방식은 공정이 까다롭고 관리 및 하자보수 등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전문가에 의해 시공되고 공기(공사시간)가 길다는 점이 최대 단점으로 손꼽힌다. 때문에 시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시장의 니즈 또한 높아진 상태다. (주)아이앤아이의 '쭌 난방'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존 습식으로 이뤄지던 난방공사를 건식이 가능하도록 기술 개발하고 성능까지 좋은 점을 소비자가 놓칠 리 없었다. 전문가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어려운 난방공사를 손쉽게, 게다가 난방비도 절약할 수 있어 화제인 ‘쭌 난방’을 알아봤다. 정리 김수진 취재·사진 김경한자료협조 (주)아이앤아이 www.jjunheating.co.kr 습식 난방 시공, 복잡하고 오래 걸려 온돌에서 방출되는 열은 우리 몸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건강을 유지한다. 때문에 바닥 난방법은 최고의 온난방 기술로 손꼽힌다. 바닥난방법은 전통적인 온돌난방법의 형태는 갖추되 시멘트로 시공한다. 과거 전통기법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덕분에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기법이다. 하지만 시공법에 대해서는 꾸준히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가장 먼저 시공두께(60~80mm)가 두꺼워 제품하중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한 온돌의 경우, 3.3㎡당 평균 400~700kg의 하중이 발생한다. 가벼운 주택을 선호하는 요즘 추세와는 반대다. 또한 공정이 많고 공사기간이 긴 점도 지적됐다. 워낙 전문적인 요소가 많은 공정이다보니 시공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시공해야 하며, 완공 후에는 장시간 건조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하자보수가 쉽지 않고, 호수 길이의 균등분배도 어렵다. 바닥이 너무 단단하다는 점도 소비자 불만요소로 손꼽힌다. ‘쭌 난방’ 난방비 줄이고 시공도 간편해최근 이러한 습식 시공방법의 단점을 개선한 건식 시공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내부에 배관이 있는 전기패널과 비슷한 시공방법부터 폴리에스테르나 아이소핑크, EVL 같은 소재를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이 중 아이앤아이의 ‘쭌 난방’은 습식과 건식 시공방법의 장점만을 모아 기술 개발한 제품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제일 먼저 독특하면서도 간편한 시공방법이 눈에 띈다. 친환경 소재인 난연 EPS를 사용해 특수 제작한 하부 모듈판의 모습이 독특하다. 난방배관을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모듈판은 패턴화돼 있다. 또한, 모듈판 간 연결 시 서로끼움 구조로 움직임이 없도록 설계됐다. 모듈판을 놓기 전 바닥에 친환경 접착제를 발라 모듈판을 고정한다. 난방배관을 원하는 곳에 일정하게 위치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난방배관을 끼우는 모듈판의 패턴이 촘촘하게 구성돼 있어, 기존 공법의 난방배관 간격(20cm)보다 좁은 13cm에 불과하다. 또한 배관 간격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난방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하는 배관도 고품질이다. 자체 제작한 저온(-15℃) 및 고온(105℃)에서도 견딜 수 있는 Pert난방배관을 사용한다. 덕분에 난방비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설명한다. 혹시 ‘모듈판이 시멘트가 아니라 무게를 버틸 수 있을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PP로 제작된 하중지지대가 있기 때문이다. 지름 25mm, 길이 25mm, 두께 10~20mm의 지지대가 13cm 간격으로 박혀있다. 한 개의 모듈에 총 16개가 설치돼 있어 모듈판으로 전해지는 힘을 대신 받아 눌림현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난방을 위해 방열판도 함께 설치한다. 당일시공과 당일 난방이 가능하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두 사람이면 약 66㎡(30평)의 공간을 당일 설치가 가능하다. 게다가 기본 난방 방식보다 시공 두께도 1/3 수준이다(단, 마감재 별도). 또한, 가벼운 소재로 평당하중 20kg에 불과하며, 층간 소음도 줄일 수 있다. 아이앤아이 측은 이러한 건식 시공 방법은 특히 목조주택에서 빛을 발한다고 주장한다. 하중적인 문제나 습기 때문에 습식 난방 시공보다는 건식 난방 시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이앤아이 관계자는 “집 자체가 가벼운 목조주택에 몇백 kg인 바닥난방 공사는 집에 무리를 줄 수 있다”며 “최근 늘어나고 있는 목조주택의 안전성을 위해서도 바닥난방 공사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주)아이앤아이 이영준 대표 대리점 품질관리부터 해외 수출까지이러한 시공의 편의성과 제품 우수성은 시장에서 먼저 알아봤다. 지금까지 전국 곳곳에서 쭌 난방을 시공했다. 난방이 필요한 곳은 어디든 장소제약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오피스텔이나 주택뿐만 아니라 빠른 시공이 필요한 어린이집이나 상가, 학원, 펜션, 병원 등의 반응또한 뜨겁다. 제품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자 아이앤아이는 대리점을 모집해 벌써 30곳에 이른다. 하지만 일반 대리점 시스템과는 조금 다르다. 본사는 제품 시공은 하지 않고 대리점에 관련 물품을 제공한다. 대신 대리점의 홈페이지를 관리하고 동영상이나 블로그 등으로 통한 홍보에 나선다. 제품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출원한 특허만 건식온수난방시스템, 층간소음저감 패널 등 다수다. 물론, 시공이 간단하다고 어설프게 시공하지 않는다. 모든 대리점주는 ‘온수온돌기능사’ 취득을 목표로 한다. 작년 12명이 이 국가자격증에 도전해 모두가 합격했다. 난방 시스템에 대한 기초지식이 탄탄하다보니 제품 이해도 빠르고, 소비자에게도 신뢰는 준다. 대리점 간 네트워크 또한 잘 이뤄져 있어 본사 직원과 타 대리점끼리 품앗이처럼 인원보충도 가능하다. 아이앤아이 측은 "간편한 시공과 거미줄같은 네트워크 덕분에 혼자 창업해도 부담이 적다"며 "제품의 무게도 크게 무겁지 않아 여자들도 시공이 가능, 부부나 형제끼리 대리점을 여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인지 제품의 하자율은 1% 이하다.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진출도 적극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온돌문화를 알아본 일본과 미국, 러시아 등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아이앤아이 측은 "아직 갈 길은 멀지만 효율적인 대리점 운영과 제품 개발에 힘써 소비자들에게 좋은 제품을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아이앤아이본사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67연락처 031-254-9113홈페이지 http://www.jjunheating.co.kr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집짓기 정보
- 자재외
-
【업체탐방】 '쭌 난방' 간편한 시공에 난방비 절감까지
-
-
【목재와 주거환경】 ④다양한 기능 고루 갖춘 목재로 피로감성을 줄이다!
- 우리가 집에서 가장 많은 시간 살이 닿는 곳은 어디일까? 정답은 바로 바닥이다. 집에 있는 동안 맨발과 접촉하는 것은 물론, 좌식 생활이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은 그야말로 하루 종일 바닥과 스킨십을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바닥은 어떤 천연 벽지나 자연 소재 가구보다 더 건강해야 한다. 우리가 목재를 바닥재로 선택하는 이유다. 글 이동흡 박사 (사) 한국목조건축협회 전무/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heub2575@gmail.com 인체 부담 고려해 바닥재 선택해야 온돌문화인 우리는 예로부터 좌식 생활에 익숙하다. 신발을 신는 입식 생활과 달리 발바닥이 직접 바닥에 닿기 때문에 바닥재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실내 난방이 없던 과거, 겨울철에는 온돌 생활이 많았고, 여름철은 주로 대청마루에서 생활했다. 그러나 최근의 주택은 기밀성이 좋고 단열처리가 잘 되어 있어서 거실 바닥재 위에서 생활하는 비율이 높다. 이는 신발을 벗고 사는 우리 주거환경에 맞는 거실의 바닥 소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거공간에 있어서 바닥 소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루판 재료의 설계나 선택에 있어서 사람의 피로감성을 등한시하고 있다.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직업이나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보통 역무원이 2만~4만 보, 백화점의 점원이 1만~2만 보, 일반 아파트 주부의 경우는 4천~7천 걸음을 걷는다. 이 정도 보행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율은 1.5~3.0 정도로, 재료에 따라 생리적으로 대사율도 상당한 차이가 난다. 바닥재의 선택은 걷기에 편해야 하고 피로감이 적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행할 때 생리적인 생체반응, 즉 인체 부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충격을 흡수해 피로를 덜어줘바닥재로 목재가 적당한 이유는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있어서다. 목재의 구조를 거시적으로 보면 파이프 모양의 세포가 모여서 만들어진 재료다. 충격이 가해지면 우선 표면의 세포가 망가지고 다음 층의 세포, 그다음의 세포가 차례로 망가지는 것처럼, 충격이 가해지면 파이프 모양의 세포 하나하나가 차례차례 완충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충격이 전달되는 시간을 지체시키는 효과가 있다. 충격력의 크기는 그것이 반발하기까지의 시간에 반비례한다. 목재는 충격 시간을 지체시키면서 발생한 충격을 흡수한다. 사람에게 있어서 ‘걷기 쉽다’는 것은 바닥의 소재가 너무 단단하지 않고 부드럽지 않으면서 적당히 충격을 흡수하고 반발하는 ‘적당한 경도’의 소재여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재가 목재다. 바닥재로서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딱딱한 콘크리트 위를 걷고 있으면 금방 다리가 피곤해져 걷기 어렵다고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콘크리트가 발에서 받는 힘을 흡수하지 않고 곧바로 발에 반발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위를 걸으면 몸무게의 약 2.5배의 충격이 발목에 전달된다. 반대로 털이 긴 카펫은 걷기 불편하다. 금방 내린 눈 위나 진 땅 위를 걷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마루판 재료와 신체 부담률에 관한 보고서를 보면, 목재와 다른 재료의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카펫과 목재, 염화비닐 시트, 콘크리트 위에서 양말을 벗은 상태로 30분간 보행하고, 심장 기능과 시각 기능의 변화를 측정했다. 심장박동 수가 낮으면 그만큼 신체 부담률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체에 유리한 재료라는 뜻이다. 반면에 심장박동 수가 높다는 것은 그 반대의 의미가 된다. 다시 말해 심장박동 간격의 축소율이 높으면 생체 부담이 적고, 낮으면 생체 부담률이 높은 재료다. 측정 결과, 심장박동은 보행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했으며, 심장박동 수는 콘크리트 > 염화비닐 시트 > 카펫 > 목재의 순으로 낮았다. 목재가 다른 재료보다 신체 부담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심장박동 간격의 축소율도 목재와 카펫이 다른 재료보다 높아서 생체 부담이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어느 백화점의 점원 263명(남자 124명, 여자 139명: 목질 바닥 점포 135명, 비목질계 바닥 점포 128명)을 대상으로 근무 6시간 후에 피로도를 설문 조사했다. 목질 바닥에서는 45%가 피로를 느낀다고 했지만, 카펫은 65%, 염화비닐 타일은 75%, 돌을 붙인 마루에서는 100%가 피로를 느낀다고 답했다. 주로 피로 부위는 발뒤꿈치와 장딴지 및 눈에서 피로를 느낀다고 호소했다. 오랫동안 근무한 직원일수록 목재 바닥을 선호했으며, 고통이나 불편을 호소한 사람이 적었다. 이처럼 바닥재는 우리의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보행하면서 다리나 무릎, 허리 등 몸에 오는 충격을 목재가 막아준다. 그렇다면 어떠한 목재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같은 목재라도 그 충격 흡수력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삼나무와 오동나무처럼 부드러운 목재나 이페와 같이 딱딱한 남방산 활엽수재는 충격 흡수력도 다르다. 딱딱한 목재보다 부드러운 목재일수록 충격 반발 시간이 길고 충격도 흡수하기 좋다. 또한, 바닥재로 이용했을 때 발목에 미치는 부담도 적다. 그러나 무르고 연한 목재는 충격 흡수력은 좋지만, 마모가 잘 된다. 따라서 충격 흡수력 외에도 마찰력이나 내마모성, 내구성 등도 고려해야 한다. 이처럼 목재는 용도나 요구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하고 고를 수 있다는 점도 목재의 장점이다. ‘걷기 쉽다’는 것은 바닥의 소재가 너무 단단하지 않고 부드럽지 않으면서 적당하게 충격을 흡수하고 반발하는‘적당한 경도’의 소재를 말한다. 콘크리트 위를 걷고 있으면 금방 다리가 피곤해져 걷기 어렵다. 이것은 콘크리트가 발에서 받는 힘을 흡수하지 않고 곧바로 발에 반발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위를 걸으면 몸무게의 약 2.5배의 충격이 발목에 전달된다. 반대로 털이 긴 카펫은 걷기 불편하다. 목재는 다른 바닥재보다 상해사고 발생률이 낮다. 장애인과 노약자 보호시설에 목재 필요해우리나라는 바닥에 앉는 좌식문화로 옛날부터 바닥을 덥히는 난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식 난방은 위나 옆에서 온기가 나오므로 방의 위쪽 온도가 상승한다. 사람에게는 따뜻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점과 차갑게 느끼는 냉점이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분포한다. 특히 따뜻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점은 발목과 발바닥에 집중돼 있으므로 서구식 난방에서는 발목과 발바닥이 춥다. 추위에 견디려면 몸속의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고 이로 인한 불쾌감이 높아진다. 소재별로 바닥과 가까운 다리 부분의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목재는 발바닥과 발목, 장딴지까지 피부 온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 온도가 낮아졌고, 특히 발목 부분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 겨울철에는 심장에서 멀리 떨어진 무릎 아래와 같은 말초 부분은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상인보다 발목 아랫부분이 많이 시리다. 이들이 사용하는 시설을 목재로 만들어 보호할 필요가 절실하다. 바닥 난방에는 열전도율이 낮고 열방사율이 높은 소재가 좋다. 열전달이 적으면 직접 난방에도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고 저온에서 난방 효과를 내는 데도 효과적이다. 목재는 열전도율이 0.1~0.2kcal/mh ℃로 건축재료 중에서는 가장 낮다. 한편 열방사율은 0.9 이상으로 매우 높다. 노약자나 장애인 시설의 바닥재로 최적의 재료다. 카펫, 목재, 염화비닐 시트 및 콘크리트 위에서 양말을 벗은 상태로 30분간 보행하고, 심장기능과 시각 기능의 변화를 검 토했다. 심박도는 보행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심 장 박동수는 콘크리트 > 염화비닐 시트 > 카펫 > 목재의 순으로 낮았다. 목재가 다른 재료보다 신체 부담률이 가장 낮았다. 또한 심장박동 간격의 축소율도 목재와 카펫이 다른 재료보다 높아서 생체 부담이 적었다. 무릎관절 및 성장판 손상 미리 방지해바닥의 충격 효과와 상해 발생률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충격에 의한 상해사고로 관절통, 요통, 탈장, 아킬레스건 절단, 근육 수축, 근육 경련, 근육 이완 등이 있다. 특히 가장 활동이 왕성하고 운동 등을 통해서 심신을 단련해야 할 성장기의 학생들은 성장판을 다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특히 노인의 경우 무릎 통증의 대표적 질환인 무릎관절 손상은 노인 건강에 치명적이다. 나무는 자라면서 바람이 불면 수목은 휘어졌다, 바람이 잦아들면 원래 모습으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원형복원의 성질이 목재에 남아 있다. 목재가 휘어졌다 다시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힘을 바닥재로 이용하면 상해사고를 줄일 수 있다. 달리기나 점프, 방향 전환과 같은 동작이 빈번한 배구나 농구, 핸드볼과 같은 스포츠 활동에서는 충격에 의한 손상이 자주 발생한다. 체육관 바닥과 볼링장, 뜀틀에서 사용하는 로이터 판, 야구 방망이 등 충격 상해가 우려되는 곳에 목재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목재의 원형복원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탄성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제로 붙인 바닥재와 장선과 멍에 위에 바닥재를 깐 바닥은 충격 흡수에 차이가 난다. 장선 위에 설치된 마루판은 판재가 휘어졌다 다시 원상으로 돌아오는 원형복원력이 작용하지만, 콘크리트에 붙인 마루판은 판재의 휨 없이 단지 목재 세포가 찌그러졌다 회복되는 반발력이다. 농구선수나 배구선수가 장선과 멍에가 있는 체육관에서 운동하는 것은 충격 흡수에 목재 원형복원력을 이용한 것이다. 건축 분야에서 목재를 바닥재로 적극 활용해 인체공학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주거환경을 만드는 지혜가 필요하다. 바닥 소재별 바닥과 가까운 다리 부분의 피부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목재는 발바닥과 발목 및 장딴지까지 피부온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콘크리트와 그 위에 염화비닐 시트를 붙인 바닥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피부온도가 낮아지고, 특히 발목 부분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목재가 휘어졌다 다시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힘을 바닥재로 이용하면 상해사고를 줄일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제로 붙인 바닥재와 장선과 멍에 위에 바닥재를 깐 바닥은 충격 흡수에 차이가 난다. 장선 위에 설치된 마루판은 판재가 휘어졌다 다시 원상으로 돌아오는 원형복원력이 작용하지만, 콘크리트에 붙인 마루판은 판재의 휨 없이 단지 목재 세포가 찌그러졌다 회복되는 반발력만 작용하기 때문에 충격 완화의 효과가 떨어진다. 체육관 바닥은 목재 장선에 바닥재를 깔아 목재의 처짐이나 변형을 막는다. 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잡지구독 신청 www.countryhome.co.kr:454/shop/subscription.asp
-
- 집짓기 정보
- 자재외
-
【목재와 주거환경】 ④다양한 기능 고루 갖춘 목재로 피로감성을 줄이다!
뉴스/칼럼 검색결과
-
-
【NEWS & ISSUE】 온돌문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 ‘온돌문화’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으로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주거생활의 기본이 되는 ‘온돌문화’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으로 지정예고했다. 온돌문화는 청동기 시대를 거쳐 원삼국 시대 부뚜막식 화덕과 연도(烟道,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설치된 원시적 형태의 난방방식에서 기원한 것으로, 기원전 3세기~1세기경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원시적 온돌 유적들이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 점들로 미루어 보아 한반도에서 온돌문화는 2천 년 이상 전승됐다고 추정된다. 우리 온돌은 서양의 벽난로와 다르게 연기를 높은 굴뚝으로 바로 내보내지 않고 불을 눕혀 기어가게 만들어서, 불의 윗부분을 깔고 앉아 사용하는 탈화좌식(脫靴坐式) 바닥 난방이 특징으로, 방 내부에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오랫동안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돌문화는 한국의 총체적인 주거문화로, 바닥 난방과 생태환경 활용기술 등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관습과 규범이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온돌을 바탕으로 한 주거 생활양식은 주택, 실내건축, 가구의 형식은 물론,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온돌방’은 여름철의 기후환경에 대응한 마루방과 더불어 겨울철의 기후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한국을 대표하는 주거 요소로 오늘날까지도 대중화되어 있다. 김정희 선생유적(시도기념물 제24호) 추사고택에서 볼 수 있는 아궁이 모습 오래전부터 전승되고 지속해서 재창조되어 한국사회의 주생활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쳐온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닌 무형문화유산이며, 특히, 한반도가 처했던 혹한의 기후환경에 지혜롭게 적응하고 대처해온 한국인의 창의성이 발현된 문화라는 점, 중국 만주지방의 바닥 난방 방식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한민족의 고유한 주거기술과 주(宙)생활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다만, 온돌문화는 한반도 전역에서 오래도록 한국인들에게 공유되고 관습화된 한국인의 주(宙)생활이라는 점에서, 과거 ‘해녀’(제132호)나 ‘김치 담그기’(제133호)와 마찬가지로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는다고 예고하였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과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온돌문화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뉴스/칼럼
- 전원뉴스
-
【NEWS & ISSUE】 온돌문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잡지/구독 검색결과
-
-
전원주택라이프 2018년 4월호 발간 안내
- 2018 APRIL vol.229 CONTENTS SPECIAL FEATURE 우리 집에 잘 어울리는 옷은_외벽재옷이 사람의 날개라면 주택의 날개는 외장재, 특히 외벽재[表皮]라고 할 수 있다. 외벽재 본연의 기능은 옷처럼 자외선과 바람, 비, 눈, 더위, 추위, 소음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조재와 재실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최근엔 주택의 이미지를 중시하면서 고기능은 물론 재료와 질감, 색채 면에서 다양한 외벽재가 등장하고 있다. 외벽재[치장재]는 주택의 형태와 유지관리에 큰 영향을 주므로 선택할 때 신중해야 한다. 외벽재는 건축물 전체의 디자인에 적합하고, 용도 및 보수, 내구성 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제품이 바람직하다. 090 경제성·내구성·미관성, 삼박자를 갖춘 외벽재는092 외벽재, 현재가 아닌 미래를 보고 선택하자096 친환경 건축자재로 만든 ‘KD우드테크’ 목재 사이딩098 새로운 벽돌 패러다임 제공 ‘브릭코Bricko’100 집을 아름답게 유지하는 ‘KMEW’ 세라믹 사이딩102 가볍고 튼튼한 ‘TORAY’ 세라믹 사이딩 HOUSE STORY 전원 속 집들에 관한 행복한 이야기106 도자예술마을 속 눈에 띄는 이천 상가주택114 신혼부부의 전원 스케치 충주 화가의 집120 주부의 마음을 사로잡은 세종 명랑한 집126 개비온 월로 마구마구 시선 강타 미사강변 상가주택134 산촌생활을 꿈꾼 아내를 위한 양평 전망 좋은 집140 자연과 햇살과 바람을 담은 광주 이안가李安家148 외쪽지붕으로 천의 얼굴을 한 김해 우솔가 ARCHITECT CORNER 154 다 같이 웃는 양평 ^^_하하집162 반듯한 땅, 비뚤어진 집 청라 로모 V-하우스168 이야기가 소록소록 쌓이는 아산 담온가談蘊家176 자발적 고독이 허락되는 집 영종도 ‘휴가’ HOME & GARDEN 194 사계절 풍성한 식재 디자인정원은 하나의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원 디자이너는‘그 공간을 무엇으로 어떻게 채우느냐’는 과제와 맞닥뜨리게 된다. 한편, 정원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면서 시간의 흐름을 담는다. 각양각색의 식물들은 그 모양만큼이나 생육 습성이 다르고, 그렇기 때문에 정원에서 각각의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정원 디자이너는 식물을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사시사철 아름다운 정원을 연출해야 한다. HOUSING INFORMATION 088 HOT SPOT 온돌문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184 STYLING INTERIOR 중정과 아늑한 다락이 있는 용인 오더프리마2 200 HOT PLACE 독일식 패시브하우스 전용 창호, ㈜엔썸 케멀링KÖMMERLING 88204 쾌적한家 건강한家 패시브/제로에너지주택 좋은 창호의 선택과 하자를 줄이는 요령210 HOME PLAN 자신만의 오롯한 공간, 삼각형 집 212 ARCHITECTURE DESIGN 내게 꼭 맞는 집짓기 설계도면 까사 서큘러Casa Circular216 집에서 즐기는 힐링 소요가逍遙家218 Space planning 거실 공간 레시피Recipe222 BLIND STORY 전동 블라인드의 필요성 224 기업 REPORT 전통 구들과 현대식 난로의 결합 ㈜구들 구운돌 벽난로226 자재 가이드 열 교환기 종류 및 특징228 법령 산책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조정 사례로 보는 건축 분쟁 해결 가이드086 김창범 시인의 시로 짓는 집 벌판 끝에 세운 집232 사색의 공간 집과 건축Dwelling and Architecture236 News & Issue087 창간 19주년 기념사192 창간 19주년 기념 이벤트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잡지/구독
- 과월호
-
전원주택라이프 2018년 4월호 발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