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 1786∼1856)를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설령 모른다 해도 추사체는 한번쯤 들어봤을 법하다.

추사는 조선 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천재였다. 할아버지뻘 되는 중국의 당대 석학인 옹강방도 인정하고 교류할 만큼 대단한 인물이었다. 북한산순수비가 진흥왕순수비라는 것을 밝혀내고, 추사체를 완성하고, 국보 180호로 지정된 세한도(歲寒圖)를 그리고, 원교 이광사 글씨에 얽힌 이야기, 초의선사(草衣禪師)와의 교류 등등 그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책 한 권이 될 만큼 화려한 경력을 자랑한다.

추사 집안은 대단한 가문이었다. 증조부 김한신이 영조의 사위였으니 왕실의 외척이다. 추사가 과거에 합격했을 때, 조정에서 축하해 줄 정도로 세도가였다. 그는 이러한 집안에서 태어나 병조참판에까지 올랐으나 말년은 순탄치 않았다. 1830년 생부(生父) 김노경이 윤상도의 옥사에 연류되어 벼슬에서 쫓겨나 유배에 오르면서 화려한 생활을 마감한다. 그후 추사는 복권됐다가 1840년 다시 제주도로 귀양을 간다. 이 귀양길은 추사에게는 매우 고통의 기간이었겠지만, 서화(書畵)계에 일대 혁신을 일으킨 추사체는 9년간의 제주도 유배생활의 결과로 나온 것이다.



격조 높은 육간대청집


추사고택(충남유형문화재 43호)은 추사가 어렸을 때 살던 곳이다. 이 집에 들어서면 너무도 깨끗하다는 느낌이 든다. 현재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기에 사람이 살지 않으면서도 너무도 잘 정돈되어 인위적인 냄새가 난다. 이렇게 된 것은 이 집도 추사만큼 파란만장한 역경을 겪었기 때문이다. 추사의 후손이 끊기면서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던 집을 지자체가 1977년 복원하면서 사랑채와 문간채도 복원하였다.


추사고택은 증조부인 부마 김한신에 의하여 건립됐다고 한다. 나즈막한 동산을 배경으로 넓은 들을 마주보고 세워진 이 집은 문 앞에 서서 밖을 내다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넓어진다. 관리를 위해 고택 앞에 새로 지은 양옥들만 없었다면 넓은 들과 그 너머 포근하게 감싸는 나즈막한 산이 매우 정겹게 보였을 것이다. 굳이 풍수를 따지지 않아도 넉넉해지는 풍광이다. 좌청룡 우백호니, 조산이니, 안산이니 따질 필요도 없이 포근하고 정겨움이 느껴지는 바로 이러한 곳이 명당이 아닐까 한다.


추사고택은 집 구조가 재미있다. 워낙 들이 넓은 곳에 집을 지어서 그런지 들어서서 집을 보아도 풍요함이 흠뻑 느껴진다. 안채가 완전한 ‘ㅁ’자 형태를 하고 있어 답답함이 느껴지는 것이 아쉽지만, 넓은 마당이(원래 이러했는지는 모르지만) 시원하고 넉넉하다. 사랑채는 ‘ㄱ’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원래는 사랑채와 안채 사이에 내외담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부마가 지은 집이라면 조금은 사치를 할 법도 한데 그러한 가벼운 장식은 배제했으면서도, 이 집에는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은근한 화려함이 있다. 집 안 구석구석을 살펴보면 대단히 격조 높은 집임을 알 수 있다.


우선 대청이 다른 집보다 매우 크다. 서울에서도 이렇게 큰 대청을 보기 힘들다. 예전에는 큰 집을 부를 때 육간대청(六間大廳)집이라고 불렀다. 사실 육간대청집을 보기는 쉽지 않은데, 바로 이 집이 육간대청집이다.


또한 안채 마당은 조금 좁은 듯하지만, 기단 부분에 잘 다듬은 돌을 사용하였고, 일반 건물의 기단보다는 조금 더 높게 하고 초석을 높은 것으로 사용하여 대청을 집보다도 훨씬 높여 놓았다. 이렇게 대청을 높인 이유는 높이로 다른 사람에게 위압감을 줌으로써 집주인의 권위를 높이기 위함이다.



안방보다 큰 건넌방에 담긴 뜻은


이 집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화순옹주(和順翁主)가 들어옴으로써 변화된 집의 모습이다. 화순옹주로 인해 집의 격식을 다른 집보다 높일 수 있었다.


조선왕조의 가사 규제에 의하면 대군이 가장 크게 집을 지을 수 있고, 그 다음이 군이나 공주이다. 옹주의 집은 종친이나, 이품 이상의 집과 위계가 같다. 또한 모든 사가에서는 초석을 제외하고는 다듬은 돌을 사용할 수 없다. 사실 시아버지 되는 김흥경이 영의정까지 지낸 분이니 집의 내용으로는 옹주에 해당하는 집을 지을 수 있다. 그러나 영의정을 지냈다는 것과 종친 특히 옹주와는 그 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아무리 영의정이라고 하더라고 쉽게 다듬은 돌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집에서는 기단에 다듬은 돌을 사용하였다. 아마도 화순옹주가 영조의 사랑을 듬뿍 받았기에 특별한 배려가 있었던 듯하다.


다음으로 화순옹주에 대한 배려는 건넌방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집의 건넌방 규모는 매우 넓다. 안방보다도 한 칸이 더 넓고, 툇마루 부분까지 생각한다면 더 큰 규모이다. 또한 건넌방 한 구석에는 ‘안잠자기’를 위한 골방이 있다. 일반 집에서는 당연히 안방이 크고 건넌방이 작은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건넌방의 규모가 훨씬 크고 툇마루도 넉넉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구조가 된 것은 아마도 화순옹주를 배려한 때문이 아닌가 한다. 아무리 며느리라고 하여도 옹주이다. 그것도 영조의 사랑을 듬뿍 받다 보니 소홀히 대우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마음 같아서는 안방을 내 주고 싶지만 그럴 수는 없다 보니, 건넌방의 규모를 크게 하여 옹주를 대우하여 준 것은 아닌지.


이러한 것 말고도 몇 가지를 살펴보면, 목재를 참 튼실한 것으로 쓴 것이 눈에 띈다. 조선 후기로 내려가면서 목재 수급이 그리 원활치 못하다 보니 아무리 부잣집도 좋은 목재를 넉넉하게 사용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 집은 모든 목재를 넉넉하게 사용하였다. 서까래만 보아도 너무 크다 싶을 정도이고 또한 못생기게 휘어진 놈도 없다. 모두가 가지런하다. 대들보도 넉넉하다 못해 무너져 내릴 것 같이 무거워 보인다. 나무를 다룬 솜씨도 한 치의 흐트러짐이 없다. 집을 지을 때 서울의 목수를 초빙하여 지었다고 하는데, 그 말이 틀린 것 같지 않다.


이 집의 안채는 여러모로 쓸모 있게 만들었다. 집이 어느 한군데라도 허튼 구석이 없다. 안채를 높이 짓다 보니 자연스럽게 다락이 나오는 부분이 있다. 각 부엌의 층고를 적당히 조절하여 부엌 위쪽으로는 넉넉한 다락을 만들었다. 다락의 크기는 이 집의 살림 규모를 말해 준다. 한때는 정말 잘 나가던 집이었을 것이다.



아버지 묘보다 화려한 아들 묘


추사고택 부근에는 묘소가 3기 있다. 고택 바로 옆에는 추사의 묘소가 있고, 조금 떨어진 곳에 화순옹주의 부마였던 증조부의 묘가 있고, 조금 더 가면 영의정을 지낸 고조부의 묘가 있다. 묘소를 돌아보면 영의정을 지낸 고조부의 묘보다 증조부의 묘가 더 화려한 것을 알 수 있다. 일인지하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이라는 영의정을 지낸 고조부 김흥경의 묘에는 달랑 봉분하고 상석만 있는데, 그의 아들인 증조부 김한신의 묘에는 곡장(曲墻)이 돌려져 있다. 아버지의 묘보다 아들의 묘가 더 화려한 것이다. 이것은 김한신의 묘에는 왕실의 직계인 화순옹주가 합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왕실의 묘에는 곡장을 두를 수 있지만, 제아무리 영의정을 지냈다 해도 곡장을 두르지는 못했다. 조선시대의 엄격했던 신분 질서를 느끼게 하는 실례라 하겠다.


부마였던 증조부 묘 옆에는 화순옹주홍문(和順翁主紅門 : 충남유형문화재45호)이 있다. 담 너머에는 주초만이 남아 있다. 이곳은 원래 화순옹주의 묘막으로 쓰였던 곳이다. 현재는 화재로 불타 홍문만 남았다. 이 홍문은 화순옹주의 정절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화순옹주는 영조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고 한다. 그러한 옹주가 남편이 죽자 식음을 전폐하고 곧 따라 죽었다. 영조가 그리 만류하였지만 듣지 않고 죽자 너무도 실망하여 열녀문을 내리지 않았고, 후에 정조가 하사한 것이다. 이 화순옹주는 조선왕실이 배출한 유일한 열녀라고 한다.田
글 최성호<산솔·도시건축연구소 소장,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사진 윤홍로 기자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당대의 대가를 생각하며 추사고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