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과 민간 신앙에서 하늘이나 태양 등을 통해 상징성을 표현하던 원형. 종교적 의미 내지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원(圓)은 한국의 종교적 심성을 나타내기도 했다. 원의 속성을 살려 전통 등의 의미를 새겨보는 '수박등'은 여섯 개의 원으로 만드는 등이다. 누구나 손쉽게 여러 가지 그림이나 문양을 오려붙여 취향에 따라 다양한 등으로 만들 수도 있다. 만족감, 풍요 등을 상징하는 원으로 전통과 개성을 접목한 인테리어 등을 만들어 보자.
1 재료 준비 ▶뼈대를 만들 대나무 또는 철사, 대나무 및 철사를 다듬는 연장(초, 니퍼, 펜치, 줄자), 순간접착제, 한지(2장 합지), 풀, 배접용 붓
▶채색용품(한국화물감, 채색용 붓, 물통)
▶전기용품(전선, 코드, 전구).
2 뼈대(골조) 만들기 : 대나무나 철사를 둥글게 말아 겹치는 부분에 실을 감고 순간접착제를 약간 발라 고정시켜 동일한 크기의 원 6개를 만든다.
3 동일한 크기의 원 6개를 만든 모습.
4 연결하기 : 원 6개를 하나씩 엮어 정육면체의 수박등 뼈대를 만든다. 이때 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를 맨 윗면에 가로질러 댄다.
5 원 6개를 모두 연결한 모습.
6 전기 배선하기 : 완성된 뼈대 윗면의 가로대에 소켓과 전구를 결합시키고,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킨 후 전선에 코드를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등의 크기나 색감에 따른 전구의 종류와 와트 수를 결정하고 배선 완료 후 등을 켜 보고 밝기나 전구의 위치를 확인한다.
7 2합지를 1합으로 찢기.
8 한지 본뜨기 : 붙이고자 하는 면에 한지를 눌러 뼈대(골조)의 본을 뜬다. 이때 정확하게 본을 떠야 형태에 맞게 예쁘게 한지를 오릴 수 있다. 원과 원이 만나서 이루는 삼각면을 먼저 배접한다.
9 한지 오리기 : 한지를 오릴 때에는 풀을 칠하고 붙이는 면을 생각해서 본보다 5∼8밀리미터로 크게 오려야 한다.
10 수박등 시접하기 : 오린 한지에 풀을 칠하기 전에 가위로 시접을 한다. 이는 한지가 뼈대(골조)에 더 잘 붙도록 하고, 모서리나 굴곡면에도 한지가 떨어지지 않고 잘 붙게 한다.
11 배접하기(한지 붙이기) : 한지를 붙일 때는 처음에 붙일 면을 먼저 생각하고 겹쳐지는 면이 일정해야 깔끔해 보인다. 한지끼리 겹쳐지는 면은 불을 밝혔을 때 어두운 띠로 남기 때문에 가리는 것이 좋다. 붙이고자 하는 면 위에 한지를 눌러 본을 뜬 후 풀을 바를 수 있을 만큼의 여유를 두고 가위로 오린 다음 풀을 붙여 뼈대 위에 잘 배접한다. 배접 시 주로 2합지를 사용한다. 2합지는 말 그대로 한지 제조 과정에서 합지를 한 형태다. 삼각면에 배접을 모두 한 후에는 4개의 원에 배접을 한다. 윗면에는 전기 장치가 돼 있어서 배접을 하지 않고 밑면도 배접을 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12 중간 배접 모습.
13 원 4개를 모두 배접한 모습.
14 밑그림 그리기(스케치) : 한지를 붙인 등을 완전히 말리고 밑그림을 그린다. 밑그림은 기름종이에 본을 만들어 옮기거나 등에 직접 그리는데 한지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처음 그릴 때 신중하게 그리고 연필선은 종이가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진하게 그린다. 한국 문양은 전통의 멋과 아름다움을 지녀 전통 등에 응용하기 좋은 모양이 많이 있으니, 문양집을 참고한다. 가족이 공동으로 제작할 때는 서로의 의견을 잘 종합해서 적당한 소재를 선택하고 밑그림을 그리는 것이 교육에도 좋다.
15 채색하기 : 검은색 물감은 사용하지 말고 대신 먹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먹물에는 아교 성분이 있어 주로 색선, 먹선(외각선)을 뜰 때 사용한다. 흰색을 사용해서 그림을 그리면 의도하는 색이 표현되지 않고 그림자 역할만 하는 경우가 많은데 물을 잘 이용해야 한다. 물감이 한지에 마를 경우 본래의 색보다 탁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합한 색을 미리 한지에 칠해 보고 난로나 온풍기에 말린 다음 빛에 비추어 확인한 다음 사용한다. 물감이 얼룩지지 않게 곱게 채색하는 것이 포인트. 이 때 미리 전기배선을 하고 불을 켠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것도 요령이다.
16 수박등 원에 수박 속 그리는 모습.
17 수박의 씨를 그리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