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충북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의 소석고택(중요민속자료 제132호)은 기와에 1885년에 지었다는 글이 있다. 건물의 좌향은 남향으로 안채에 수직 축을 맞추어 전면에 H자 모양의 사랑채를 놓았다. 안마당 동쪽에 곳간채를 배치하였는데,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있던 행랑채와 광채 등은 1920년대에 없어졌다. 안채의 평면 구성은 남부 형식으로 부엌과 안방, 윗방, 2칸 대청, 건넌방순으로 배열했다. 소석고택은 넓은 들에 자리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모습이다.


산간 지역인 영동에서는 보기 드문 넓은 평지에 안온하게 자리 잡은 소석고택은 1885년(고종 22년)에 지어졌다. 평야 지형에 자리한 집터는 웬만한 집 두 채는 넉넉하게 들어갈 정도로 넓다. 1920년 안행랑채와 광채가 사라져 지금은 사랑채와 안채 그리고 새로 복원한 광채만 자리하여 집터가 휑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현재 남은 사랑채와 안채의 모습으로 유추하여 보면, 소실된 행랑채의 규모도 꽤 컸을 것이다. 주변에 수많은 농지를 거느린 장원莊園으로 수천 석을 수확하던 지주의 집답게…….


지형을 적절히 활용한 건물 배치

소석고택은 분지처럼 느껴지는 넓은 평지에 위치하는데 원래부터 넓은 조망을 의식하고 터를 잡은 듯하다. 주변에 산재한 그만그만한 집들 가운데 자신을 드러내고자 조망을 만드는 방법은 다른 집보다 터를 높은 데 잡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경사에서는 자연스럽게 풀리지만 평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집을 누마루 형식으로 높게 짓는다.

소석고택의 사랑채가 그러하여 주변 경관을 바라보는데 더할 나위 없는 멋진 장소이다. 지금은 멀리 아파트가 들어서 예전처럼 조망이 탁 트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누마루에서 보는 경치는 시원하여 개방감을 느끼게 한다. 넓게 펼쳐진 들녘 끝으로 멀리 보이는 산은 사람을 푸근하게 만들어 준다.

사랑채의 앞과 뒤는 두 자 정도 경사를 이루는데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이 점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밖에서 보면 사랑채가 우뚝 선 것처럼 앉혔다. 사랑채의 앞은 누마루를 높게 만들고 뒤는 뒷마당과 높이에 차가 없어 아궁이를 이용하거나 안채로 들어가기에 편리하도록 계획했다. 집을 지은 목수의 안목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확장성을 고려한 평면 구조

사랑채의 평면 구조는 전면 7칸 측면 4칸으로 전면이 많이 돌출하고 후면이 반 칸 돌출한 工자 형태이다. 전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부터 누마루(2칸), 대청(2칸), 방(2칸), 방(1칸)순으로 배치했다. 사랑채 우측 날개는 누마루이고 좌측 날개는 방과 문이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실린 1984년 문화재로 지정할 당시의 도면을 보면 지금의 工자가 아닌 완전한 ㄷ자 형태이다. 여러 곳에서 이렇게 변형된 까닭을 확인하였으나 알 수 없었다.

사랑채가 工자로 지어진 예는 그리 많지 않다. 조선시대 일부에서는 工자 형태의 집은 불길하다 여겨서 금기했으나 이런 형태의 집이 가끔 보인다. 이곳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보은의 선병국 가옥이 그러하다. 어찌 보면 工자 형태의 평면은 집 규모를 늘리는데 적당하다. 대지만 넓다면 전후 툇집의 끝 칸을 더 늘려서 방을 드리는 것이므로, 통풍이나 채광이 안 되는 방이 없이 훌륭하게 집 규모를 넓힐 수 있다.

사랑채에는 변형된 부분이 더 있다. 누마루 반대편 돌출된 곳으로, 마지막 1칸은 현재 문이지만 도면에는 방으로 표기되어 있다. 문화재청 사이트에 소개된 사진 자료에도 집을 수리하기 전부터 문을 설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1984년 이후 문으로 바뀐 것인지, 처음부터 표기를 잘 못한 것인지 알 수 없다. 그 방향을 보면 분명 사랑마당에서 들어가고자 설치한 1칸 규모의 대문이다. 이렇게 사랑채 몸채에 문을 설치한 예는 지금까지 보지 못했다. 처음부터 도면 표기를 잘못했다면 이것이 중문일 가능성이 높다. 조선 말 남녀유별의 개념이 최고조에 달하였을 때 지은 집이라 모든 사람의 출입을 완전히 감시하기 위한 조치였을 것이다.

공간을 넓게 활용한 전후 툇집

안채는 전면 6칸의 전후 툇집이다. 실의 쓰임새가 늘어나면서 홑집에서 전툇집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앞뒤에 퇴를 둔 전후 툇집으로 발전했다. 전후 툇집은 다양한 평면 구성이 가능하여 전후로 트인 2칸 방을 만들기도 하고, 앞에는 퇴를 두고 뒤에 골방을 둔 칸 반 규모의 방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대청도 깊이가 2칸으로 만들어져 집 규모가 전반적으로 커진다.

소석고택도 19세기 말에 지은 집답게 전후 툇집이다. 부엌이 조금 좁은 느낌이 들기에 이 부분을 보완하고자 측면으로 반 칸을 늘렸다. 안채는 건넌방과 부엌의 전퇴 부분에 툇마루를 깔지 않고 후퇴하여 평면을 구성했다. 부엌은 후퇴칸과 처마 밑을 활용하여 비가 올 때도 밖에서 작업하도록 했다. 그러나 건넌방은 아래쪽에 아궁이를 설치하고 상부에 다락을 설치하였기에 전면에서는 창이 보이지 않고 다락의 벽과 부뚜막이 직접 보여 집의 완성도로 조금 떨어뜨린 것이 흠이다.

소석고택에서 빠뜨리지 않고 살펴볼 곳이 광채이다. 광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지만 지금까지 보았던 광채와는 형태와 개폐 방식에서 차이가 많다. 보기 드물게 두 채로 이루어졌는데 지붕은 하나이고 광과 광 사이 간격은 45㎝ 정도이다. 쥐가 못 들어오게 하고 습기로부터 재물을 보호하고자 바닥을 땅에서 1자 내지 1자 반 정도 띄웠다. 벽은 판재로 만들고 기둥에 홈을 내어 위에서부터 끼우는 보편적인 방식을 택했다.

문화재 관리 이대로 좋은가

소석고택을 돌아보면서 복원할 때 1920년 집이 소실되기 전 모습을 되살렸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부지에 비해 집이 너무 적게 남아서 전체적으로 휑한 모습이다. 중간행랑채와 중문이 남았더라면 사랑채에 설치한 문의 성격도 분명해지고 소석고택을 초창하였던 사람이 이 집에서 지향하는 바를 조금 더 명확하게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러한 점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소석고택 소유주도 이곳보다 영동읍 근처에 자리한 규당고택(중요민속자료 140호)에서 주로 생활하여 집의 내력을 잘 모른다고 했다. 또한 소석고택 일부를 해체하여 규당고택을 짓는 데 사용했다고 한다. 초창 당시의 모습에서 많이 바뀌었으므로 현 소유주를 통해서 이전의 모습을 정확하게 추정하여 참맛을 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숭례문 화재 발생 후 찾은 소석고택을 바라보는 감회는 이전과 달랐다. 그동안 우리 문화재가 방치 상태에 놓였음을 뼈저리게 느꼈지만 숭례문 화재가 나고 보니 더욱 한심해 보였다. 소석고택은 낡았다는 말로 표현하기에 부족할 정도로 매우 퇴락한 상태이다. 마당은 인근 주민이 채마밭으로 사용하고, 늘 그랬듯이 보수 부분이 과거의 것과 재질과 기법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대청에도 비닐장판을 깔아서 옛집의 맛이 사라졌는데 비닐은 바람의 소통을 차단하여 마루를 쉽게 썩게 한다. 한시라도 빨리 이것을 걷어 내야 하는데 문화재를 관리하는 군청공무원조차 관심이 없어 보인다.田


최성호 <산솔도시건축연구소 소장/전주대 겸임 교수> 사진 홍정기 기자

글쓴이 최성호 님은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주)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이야기》가 있습니다.
문의 : 산솔 도시 건축연구소 02-516-9575
http://blog.naver.com/seongho080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금기를 깨고 실용을 택한 工자형 평면구조, 영동 소석고택小石古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