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위치한 복층 경량 목조주택이다. 비교적 작은 규모인 203.8㎡(61.7평) 대지에 건폐율을 최대한 적용시켜 바닥면적 117.8㎡(35.7평)의 집을 올리다 보니 집 자체로만 보면 전체적으로 답답한 느낌이다. 바닥면적과 비슷한 규모로 2층을 올려 웅장함을 자랑하는 이 주택은 서울에서 거주하던 건축주가 마련한 것으로 고급 친환경 자재들이 방문객의 시선을 잡는다. 뒤편과 왼편으로 이어진 나지막한 산이 집을 품어 웅장하면서도 온화한 기운이 전해진다.
건축정보
·위 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리 작동
·대지면적 : 203.8㎡(61.7평)
·연 면 적 : 247.5㎡(75.0평, 지하, 1, 2층 포함)
·건축형태 : 복층 경량 목조주택
·외벽마감 : 호주산 New브릭, 천연 원목 사이딩
·내벽마감 : 도장+벽지
·지 붕 재 : 아스팔트슁글
·바 닥 재 : 대리석, 원목 마루
·창 호 재 : 미국산 시스템창호
·난방형태 : 가스보일러
·설계 및 시공 : 이정건설 02-573-6494
www.ejung.co.kr
부천시 오정구 일원은 서울시 목동과 인접해 있어 교통망도 좋고 자연경관이 수려해 전원주택지로 각광받는 지역이다. 그중에서도 작동은 경인고속도로와 인접하고 목동과 경계를 마주해 별장보다는 상시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전원주택이 다수를 이룬다. 지금껏 서울에서 거주하다 지난 4월 작동에 복층 목조주택을 지은 건축주. 삭막한 도심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었다는 그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전원주택은 마음속으로만 품어왔다고 한다. 그러던 차에 이곳 부지를 소개받고는 품었던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었다. 작동 주택이 들어선 땅은 원래 김포공항 개발로 말미암은 이주민들을 위해 마련됐으나 주변 여건이 좋아 서울 사람들이 적지 않게 사들였다고 한다.
고급 친환경 자재만 사용… 자재비만 3배 차이 나
외벽을 벽돌로 쌓아 올리고 천연 무절 원목을 덱과 외부 포인트 마감재로 사용해 외부에서부터 고급스런 이미지가 물씬 풍기는 주택이다. 전원주택으로 203.8㎡(61.7평) 대지면 작다면 작은 규모지만 용적률을 최대한 적용해 바닥면적과 비슷한 규모로 2층을 올려 우람한 외형을 갖췄다.
주택이 앉혀질 자리와 진입로, 주차장 면적까지 고려하면 정원이 들어설 공간은 얼마 돼 보이지 않는다. 전원주택 하면 으레 넓게 자리한 정원을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이 주택은 그렇지 않다. 될 수 있는 한 정원을 작게 하고 앞선 설명처럼 건축면적을 최대한으로 가져갔다. 정원이 거의 없다시피 한 이유는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과도 맞물려 있다.
이미 장성한 자녀 셋에 건축주 부부가 거주한다. 평일뿐만 아니라 주말에도 출근해야 하는 이들이 다른 전원생활자처럼 정원에 신경 쓰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 주말에도 평일과 다름 없이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이들에게 규모가 제법 되는 정원은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십상일 터이다. 구성원이 제법 되기에 정원 크기를 줄이는 대신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해 주거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작동 주택은 이러한 계획하에 설계됐다. 전원생활을 누리기에는 바쁜 일상에 쫓기는 건축주와 장성한 자녀를 위해 집은 최대한 친환경적이면서도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에 중점을 뒀다.
일단 자재 사용에서부터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 몰딩. 흔히 몰딩은 소홀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작동 주택은 몰딩에도 천연 원목을 세 겹으로 달았을 정도로 자재 사용에 신중을 기했다. 서재와 창고로 활용하는 지하에서는 히노끼가 보이고 거실과 계단 바닥 마감재로는 천연 대리석이 사용됐다.
설계와 시공을 맡은 이정건설 이엽 부장은 “자재 사용 하나에 건축주가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고급 친환경 자재들이 주로 쓰였다”면서 “자재비로만 따져도 이 집은 일반적인 다른 주택에 비해 3배 이상 차이 난다”고 설명했다.
집에 투자를 아끼지 않은 건축주
부지 서쪽으로 굴곡을 이뤄 지나가는 대문 앞 도로에 맞춰 주택을 올리다 보니 집은 남쪽을 바라보고 대문과 현관은 서쪽으로 향하는 구조다. 현관문을 열면 우측으로는 거실이, 왼편으로는 주방 겸 응접실이 놓여 있다. 현관에서 이어진 복도를 따라가면 거실을 지나 우측으로 안방이, 왼편으로 욕실이 자리하고 지하와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은 욕실 옆에 설치됐다.
일단 내부에서는 거실과 계단 바닥 마감재로 쓰인 대리석이 눈에 들어온다. 조명을 받아 은은한 빛을 내는 대리석은 고풍스런 분위기를 연출하는 고급 자재로 각광받지만 관리가 어려운 것이 단점. 따라서 관리만 잘 된다면 어느 자재보다 품격 있는 실내 연출이 가능한 것이 바로 대리석이다.
미장과 도배한 내벽이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안방 인테리어는 전체적으로 화사한 패턴을 사용했다. 2층에 놓인 자녀방도 비슷하다. 요란한 색을 자제하고 싫증 나지 않으면서 고급스런 이미지가 나도록 한 마감재 사용이 돋보인다.
한편 서재와 다용도실이 들어선 지하는 히노끼를 사용한 점이 흥미롭다. 가격이 만만치 않을뿐더러 인테리어 효과도 높아 대부분 이를 사용하는 주택의 경우 거실이나 욕실 등 사람들 시선이 자주 가는 곳에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동 주택은 가족 구성원 외에는 그지 드나들 일이 많지 않은 지하에 설치한 것이다. 집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은 건축주의 안목이 엿보인다.
고급스런 주택을 원한다면 한 번쯤 작동 주택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田
글 홍정기 기자 사진 서상신 기자
건축정보
·위 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리 작동
·대지면적 : 203.8㎡(61.7평)
·연 면 적 : 247.5㎡(75.0평, 지하, 1, 2층 포함)
·건축형태 : 복층 경량 목조주택
·외벽마감 : 호주산 New브릭, 천연 원목 사이딩
·내벽마감 : 도장+벽지
·지 붕 재 : 아스팔트슁글
·바 닥 재 : 대리석, 원목 마루
·창 호 재 : 미국산 시스템창호
·난방형태 : 가스보일러
·설계 및 시공 : 이정건설 02-573-6494
www.ejung.co.kr
부천시 오정구 일원은 서울시 목동과 인접해 있어 교통망도 좋고 자연경관이 수려해 전원주택지로 각광받는 지역이다. 그중에서도 작동은 경인고속도로와 인접하고 목동과 경계를 마주해 별장보다는 상시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전원주택이 다수를 이룬다. 지금껏 서울에서 거주하다 지난 4월 작동에 복층 목조주택을 지은 건축주. 삭막한 도심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었다는 그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전원주택은 마음속으로만 품어왔다고 한다. 그러던 차에 이곳 부지를 소개받고는 품었던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었다. 작동 주택이 들어선 땅은 원래 김포공항 개발로 말미암은 이주민들을 위해 마련됐으나 주변 여건이 좋아 서울 사람들이 적지 않게 사들였다고 한다.
고급 친환경 자재만 사용… 자재비만 3배 차이 나
외벽을 벽돌로 쌓아 올리고 천연 무절 원목을 덱과 외부 포인트 마감재로 사용해 외부에서부터 고급스런 이미지가 물씬 풍기는 주택이다. 전원주택으로 203.8㎡(61.7평) 대지면 작다면 작은 규모지만 용적률을 최대한 적용해 바닥면적과 비슷한 규모로 2층을 올려 우람한 외형을 갖췄다.
주택이 앉혀질 자리와 진입로, 주차장 면적까지 고려하면 정원이 들어설 공간은 얼마 돼 보이지 않는다. 전원주택 하면 으레 넓게 자리한 정원을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이 주택은 그렇지 않다. 될 수 있는 한 정원을 작게 하고 앞선 설명처럼 건축면적을 최대한으로 가져갔다. 정원이 거의 없다시피 한 이유는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과도 맞물려 있다.
이미 장성한 자녀 셋에 건축주 부부가 거주한다. 평일뿐만 아니라 주말에도 출근해야 하는 이들이 다른 전원생활자처럼 정원에 신경 쓰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 주말에도 평일과 다름 없이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이들에게 규모가 제법 되는 정원은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십상일 터이다. 구성원이 제법 되기에 정원 크기를 줄이는 대신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해 주거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작동 주택은 이러한 계획하에 설계됐다. 전원생활을 누리기에는 바쁜 일상에 쫓기는 건축주와 장성한 자녀를 위해 집은 최대한 친환경적이면서도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에 중점을 뒀다.
일단 자재 사용에서부터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 몰딩. 흔히 몰딩은 소홀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작동 주택은 몰딩에도 천연 원목을 세 겹으로 달았을 정도로 자재 사용에 신중을 기했다. 서재와 창고로 활용하는 지하에서는 히노끼가 보이고 거실과 계단 바닥 마감재로는 천연 대리석이 사용됐다.
설계와 시공을 맡은 이정건설 이엽 부장은 “자재 사용 하나에 건축주가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고급 친환경 자재들이 주로 쓰였다”면서 “자재비로만 따져도 이 집은 일반적인 다른 주택에 비해 3배 이상 차이 난다”고 설명했다.
집에 투자를 아끼지 않은 건축주
부지 서쪽으로 굴곡을 이뤄 지나가는 대문 앞 도로에 맞춰 주택을 올리다 보니 집은 남쪽을 바라보고 대문과 현관은 서쪽으로 향하는 구조다. 현관문을 열면 우측으로는 거실이, 왼편으로는 주방 겸 응접실이 놓여 있다. 현관에서 이어진 복도를 따라가면 거실을 지나 우측으로 안방이, 왼편으로 욕실이 자리하고 지하와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은 욕실 옆에 설치됐다.
일단 내부에서는 거실과 계단 바닥 마감재로 쓰인 대리석이 눈에 들어온다. 조명을 받아 은은한 빛을 내는 대리석은 고풍스런 분위기를 연출하는 고급 자재로 각광받지만 관리가 어려운 것이 단점. 따라서 관리만 잘 된다면 어느 자재보다 품격 있는 실내 연출이 가능한 것이 바로 대리석이다.
미장과 도배한 내벽이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안방 인테리어는 전체적으로 화사한 패턴을 사용했다. 2층에 놓인 자녀방도 비슷하다. 요란한 색을 자제하고 싫증 나지 않으면서 고급스런 이미지가 나도록 한 마감재 사용이 돋보인다.
한편 서재와 다용도실이 들어선 지하는 히노끼를 사용한 점이 흥미롭다. 가격이 만만치 않을뿐더러 인테리어 효과도 높아 대부분 이를 사용하는 주택의 경우 거실이나 욕실 등 사람들 시선이 자주 가는 곳에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동 주택은 가족 구성원 외에는 그지 드나들 일이 많지 않은 지하에 설치한 것이다. 집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은 건축주의 안목이 엿보인다.
고급스런 주택을 원한다면 한 번쯤 작동 주택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田
글 홍정기 기자 사진 서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