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건축정보
· 위 치 : 경북 청도군 이서면
· 지역지구 : 관리지역
· 부지면적 : 2049.6㎡(620.0평)
· 대지면적 : 630.0㎡(191.0평)
· 건축면적 : 99.0㎡(29.9평) / 건폐율 16.59%
· 건축형태 : 단층 스틸하우스
· 지 붕 재 : 이중그림자 아스팔트 슁글
· 외 장 재 : 시멘트사이딩, 인조석
· 천 장 재 : 홍송 루버(거실), 실크벽지
· 내 장 재 : 산호석(아트월), 실크벽지
· 바 닥 재 : 강화마루
· 창 호 재 : 시스템창호(미국식)
· 난방형태 : 심야전기보일러
· 식수공급 : 상수도
· 설계 및 시공 : 대구스틸하우스 053-525-5340 www.ks-housing.co.kr

 

 


무릉도원武陵桃源이란 중국 진나라 때 도연명이 지은《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별세계로, 사람들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사는 이상향을 뜻한다. 경북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 99.0㎡(29.9평) 단층 스틸하우스는 그 이상향에 들어선 듯하다. 복숭아밭으로 둘러싸인 나지막한 언덕 위에서 유서 깊고 고즈넉한 마을을 내려다보기 때문일까, 매화 향기가 사방에 퍼져 어질고 너그러운 사람이 많이 나온다는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마을에 터를 잡았기 때문일까. 건축주 김연주 · 정경옥 부부는 인심이 넉넉한 이 마을에 들어온 후부터 즐거운 일들만 생긴다고 한다. 푸른 언덕 위 하얀 집에선 어떤 일들이 일어난 것일까. 그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대구지역에선 전원주택지로 팔공산 일대와 팔조령八助嶺터널을 이용해 접근하기 쉬운 청도를 선호한다. 팔조령은 부산 동래에서 한양으로 올라갈 때 문경새재 다음으로 높은 고개로, 그 이름은 산적과 산짐승이 득실대기에 여덟 명이 한 조를 이루어 고개를 넘었다 해서 붙여졌다. 지금은 대구와 청도를 30분 만에 잇는 팔조령터널이 뚫리면서 옛이야기로 전할 뿐이다.
김연주(50세) · 정경옥(44세) 부부의 아담한 스틸하우스는 팔조령터널에서 청도 방면으로 약 1.5㎞ 떨어진 이서면 학산리 안쪽 나지막한 언덕배기에 자리한다. 대구와 청도를 잇는 도로에서 접근하기 쉽고, 마을과 거리가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으며, 우측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열네 명의 의사義士를 모신 용강서원과 소나무숲이 그리고 좌측으로 연꽃 촬영지로 잘 알려진 용강저수지가 내려다보인다. 더욱이 언덕배기임에도 마을에서 집에 이르는 과수원 사이로 난 진입로가 곧고, 3필지로 이뤄진 부지가 반듯하기에 집터로 손색이 없다.


인간미 넘치는 전원 향기
고등학교 교사인 김연주 씨 부부는 결혼하자마자 대구에서 산 2년여를 빼고 줄곧 청도에서 살았다. 주거 형태를 아파트에서 전원주택으로 바꾼 지 10년 가까우니 전원생활의 쓴맛과 단맛을 고루 경험한 고참인 셈이다. 처음에는 기존 조적 주택에서 살았는데, '세계 일류전원도시 만들기'를 선언한 청도에서 그 집을 이상적인 전원주택으로 소개할 정도다. 왜, 그 집을 팔고 이곳에 스틸하우스를 지은 것일까. 남편의 설명이다.
"전원주택은 한가하고 조용하며, 앞이 탁 트여 먼 경치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 집은 아름다울뿐더러 분위기도 그러했는데, 이웃한 앞 필지에 이층집이 들어서는 바람에 그 맛이 사라졌습니다. 그런 이유로 이곳에 2년 전 부지를 마련하고 집을 지었습니다."
아파트와 전원주택에서 살아본 아내는 전원생활과 전원주택의 매력으로 서정과 자유를 꼽는다.
"전원생활은 눈을 떴을 때 보이는 게 온통 푸른색이라 생동감이 넘치고 건강하며 기쁨으로 가득합니다. 아름답지 않은 계절이 없지만, 특히 겨울철 흰 눈이 소복하게 쌓인 용강서원 지붕과 푸른 소나무숲이 어우러진 모습은 진경산수화 그 자체입니다. 전원주택에선 새벽 한두 시에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맘껏 세탁기를 돌리고 피아노도 칩니다. 이처럼 여유롭고 자유롭다 보니 정서가 풍부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일이 잘 풀리려면 남이 돕는다고 했던가. 부부는 인심 좋은 마을에 집 짓자 즐거운 일들만 생긴단다. 마을에서 집터에 이르려면 과수원길로 약 100m 진입해야 하는데, 길이 비좁아 드나들기에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그런데 동네에서 마을회비로 땅을 사들여 진입로를 넓혀 준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집에는 마을에서 나는 신선한 제철 과일로 그득하다. 이웃에서 과수원을 오가며 올해 수확한 과일인데 한번 맛이나 보라며 한 소쿠리씩 놓고 가기 때문이다. 외지인에게 텃세를 부리지 않는 것만도 다행인데 참으로 보기 드문 훈훈한 인심이다.


푸근하고 편안한 집
부부는 건축 구조를 경량 목조주택과 스틸하우스 사이에서 고민하다 내진성耐震性이 뛰어난 스틸하우스로 정하고, 시공을 대구스틸하우스(대표 장낙윤)에다 맡겼다.

 

 






"대구스틸하우스는 전에 살던 마을에서 집 짓는 것을 보고 알았습니다. 젊어서 그런지 일하는 사람들의 건축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고, 건축주도 집 짓는 내내 표정이 싱글벙글 밝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집 짓고 생활하는 모습이 매우 흡족해 보였습니다. 우리도 대구스틸하우스와 코드가 잘 맞아 집 짓고 편안하게 지냅니다. 장 대표는 시공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거주자의 입장에서 풀어냈습니다. 또한 집 짓고 A/S는 가전제품을 살 때와 같은 수준으로 전화하고 하루 이틀이면 찾아와 해결했습니다."
이 집은 유행가 노랫말인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를 떠올리게 한다. 언덕배기 넓고 푸른 잔디밭에 다소곳하게 들어섰기에 단층집임에도 마을에서 도드라져 보인다. 크고 화려하며 웅장한 위압적 미감이 아닌 고아하고 담박하며 편안한 자연미를 느끼게 한다. 마을을 둘러싼 지세와 마을에 터 잡은 집들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작은 '단층집은 밋밋하다'는 건축 디자인상 제약을 여지없이 깬 것이다.
부지는 2049.6㎡(620.0평) 세 필지로 우측은 길을 사이에 두고 이웃집과 좌측은 밭과 전면 및 배면은 복숭아 과수원과 접한다. 세필지 중 가운데 앞뒤로 긴 장방형 630.0㎡ 191.0평)를 대지로 전용해 집을 뒤쪽에 붙여 동남향으로 앉혔다.
남편은 설계 초점을 모양보다 푸근하고 편안함에 맞췄다고 한다. 무릇 집은 거주자의 입장에서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지 말고 안에서 밖을 내다보아야 한다. 이 집은 동남향이라 집 안 분위기가 밝고 온화하며, 창 밖으로 과수원 너머 산세 완만한 소나무숲이 보이기에 편안하다. 또한 각 공간의 동선을 최소화하면서 기능별로 편리하게 한데 엮어냈다. 거실과 주방/식당을 가운데 앞뒤로 배치하고 좌측에는 현관과 욕실 가까이 두 개의 자녀 방을, 우측에는 드레스룸과 욕실이 딸린 안방을 드렸다. 안팎으로 드나들기 편리하고 가족 간 사생활을 존중한 거실 중심형 배치구조다.
현관에서 거실 전면에 덱(Deck)을 지반에서 60㎝ 높이로 넓게 깔았다. 덱은 한옥의 툇마루처럼 내부와 마당을 잇는 전이공간이자, 주변 풍광을 음미하고 마을 사람들을 편안하게 끌어안는 만남의 장이기도 하다.

 

 



이웃과 함께하는 정감 어린 삶
아내는 자연스럽게 경사진 마당 주위에 석축을 두르고 나무를 최소로 심어 시각적으로 넓게 꾸몄다고 한다. 마당 곳곳에서 고운 자태를 뽐내는 범부채, 한라국화, 아주가, 사랑초, 솔채송화 등 수십종의 야생화는 도회지에서 먼저 이주해 온 이웃이 나눠준 것이다. 정원에 심은 야생화를 돌보며 이것들이 넓게 퍼지면 새로 이주해 온 이웃에게 나눠줘야겠다며 즐거워한다. 남편은 이주민 가운데 악기를 다루는 사람이 많다며 우리 집에서 그 사람들과 함께 원주민을 초청해 전원 속 작은 음악회를 열겠다고 한다.
아내는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선배로서 몇 가지를 조언한다. 첫째, 집은 마을과 너무 멀거나 가까우면 안 좋다. 경치가 아무리 빼어나도 인가와 동떨어진 땅은 펜션이나 주말주택용이라면 모를까, 상주용으로는 적막강산이라 적합지 않다. 반대로 마을과 너무 붙어도 번잡하고 소요하기에 전원의 맛이 없다.
둘째, 집이 너무 크고 화려하면 주민에게 위화감을 준다. 집은 터의 조건을 살펴 일조와 조망, 풍향 등을 고려해 좌향을 잡고 주변 환경 및 이웃집과 어울리게 짓는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이웃집의 조망과 사생활을 침해하면 서로 반목하기 마련이므로 정서적인 면까지 염두에 둔다.
셋째, 원주민과 가까이 지내되 너무 친해지려고 애쓰지 않는다. 서로 피곤하고 작은 일에도 상처를 받기 때문으로, 마주쳤을 때 밝은 표정으로 인사할 정도면 족하다.
입지 선정과 건축은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말고 평범함 속에서 찾는 진실한 도리인 중용지도中庸之道가, 원주민과의 관계는 너무 가깝게도 멀리도 하지 말라는 불가근不可近불가원不可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글 · 사진 윤홍로 기자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망 좋은 집] 무릉도원이 어드매뇨, 예인가 하노라 청도 99.0㎡(29.9평) 단층 스틸하우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