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텃밭은 집터에 딸리거나 집 가까이 있는 밭을 일컫는다. 개인적 용도로 자급하기 위해 만들므로 그 규모가 크지 않다. 작게는 한 평부터 크게는 수백 평 규모다. 수천수만 평 농민의 논밭에 비할 바 못된다. 텃밭 농작물을 판매한다 해도 돈으로 환산하면 그 가치는 크지 않다. 그러나 텃밭의 가치를 다른 방향으로 돌려 풀이해보자. 농토는 홍수 조절, 대기 정화, 수자원 보호, 기후 순화 기능이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고 경관 보전, 생물의 다양성, 공동체 형성 등을 포함해 사회 다방면으로 다양한 잠재적 가치를 가진다. 자연과 사람 모두 건강하게 상생하는 막중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때 결과적으로, 농토를 살리는 일은 돈으로도 환산할 수 없는 무한대의 경제적 가치를 지구촌에 선사하는 것이다.

박지혜 기자 사진제공 도시농업포럼 041-733-9696 cityfarmers.or.kr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도시농업팀 02-459-6754 agro.seoul.go.kr 오바마 푸도라마(오바마의 먹을거리 이야기) www.obamafoodorama.com

 

 



 

 

전원주택을 짓고자 하거나 지은 건축주들에게 물어보면 열에 아홉은 텃밭을 조경 설계도면에 넣는다. 텃밭은 전원생활자들에게 빠져서는 안 될 재미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도시텃밭이 붐을 일으키고 있다. 집터에 자투리땅을 마련하지 못하는 경우 텃밭농원(주말농장)을 이용하거나 옥상텃밭, 베란다텃밭, 상자텃밭 형태로 마련한다. 지차체가 나서서 도시텃밭 지원 사업을 적극 펼치는 모습도 최근들어 부쩍 눈에 띈다. 이처럼 도시텃밭에 녹색등이 켜진 것은 주변 녹지가 충분한 전원에서 '여가'라는 측면과 달리 도시에서는 경관, 대기 · 기후의 문제, 생태 보전, 공동체 활동, 치유효과, 교육효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텃밭의 가치가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김충기 사무국장은 "도시농업은 농업이 갖는 생물 · 대기 · 토양 · 환경의 보존, 문화, 정서, 여가, 교육 등의 다원적 가치를 실현해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대안운동"이라고 언급했다.
김사무국장은 최근발표한 글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 우리나라 연간 쌀 생산량은 9조원 정도다. 하지만 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의 평가액은 연간 56조 원에 이른다. 논을 단순히 쌀공장으로 보면 9조 원의 가치밖에 보이지 않지만, 논이 가지고 있는 습지의 기능, 홍수조절, 대기정화 등의 다양한 기능은 생산가치의 6배에 이르는 것이다. 논과 농사를 지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값싼 중국 쌀, 미국 쌀을 사먹으면 경제적일 것 같지만 우리 쌀을 포기하면서 치러야 하는 대가가 더 큰 것이다.'
혹자는 도시농업을 두고 '어려운 농민들 굶겨죽일 일 있나'고 한다. 그러나 도시농업포럼 신동헌 공동대표는 도시텃밭이 농업과 올바른 먹을거리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 우리 농산물, 바른 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늘리게 된다고 했다. 실제 독일은 대규모의 도시텃밭이 있지만 그것이 전체 농업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세계는 지금 텃밭 열풍

세계 도시텃밭의 좋은 예는 도시 지역에 위치하고 시민들이 이용하는 시민농원으로, 독일의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과 영국의 '알로트먼트 가든Allotment Garden'이다. 일본은 영국의 시민농원을 도입해 1981년부터 임대형 텃밭이 도시공원법에 명시됨으로써 시민농원이 제도화됐다. 특히 일본은 도심 내 옥상을 활용한 옥상텃밭이 활성화됐는데 쇼핑센터와 같은 공공장소에 문화시설과 접목돼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에서 밴쿠버 시청 잔디를 뒤엎고 텃밭으로 조성하는 장면이 매체를 통해 해외로 알려져 눈길을 끌었다. 또한 지난해 초 백악관 남쪽 잔디밭 1100평방피트(약 300평)가 텃밭으로 바뀐 것도 화제가 됐다.

 

 

 

 

캐나다 밴쿠버 식량정책협의회는 '뒤뜰나누기(Sharing Backyard)', ' 한줄나누기(Grow a Row, Share a Row)'처럼 텃밭에서 기른 먹을거리를 저소득층에 기부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 대중화된 '커뮤니티 가든Community Garden'이라는 도시텃밭은 동계올림픽을 목전에 두고 밴쿠버 내 2010개의 텃밭을 만드는 '2010 공공텃밭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다.
미국 백악관 텃밭 '퍼스트 베지터블 가든'은 퍼스트 레이디 미셸 오바마가 직접 인근 초등학교 아이들과 함께 조성해 일부채소를 백악관에 자급하고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을 초대해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55가지의 채소가 무공해 영농방식으로 재배된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텃밭 전성시대] 텃밭의 경제학, 지구 · 사람 살리는 무한 가치의 보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