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값이 치솟고 경제 사정이 악화되면서 전원주택에서는 난방비 절약을 위한 벽난로 사용이 늘고 있다. 이전만 하더라도 심미적인 것에 중점을 둔 화려하고 아름다운 벽난로가 인기를 끌었으나 현재는 경제성과 내구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벽난로를 단순히 보는 것으로 만족하는 시대는 지난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벽난로가 보다 경제적일까. 그리고 올바른 벽난로 사용법은 무엇일까.
노출형이 매립형보다 열효율 3배 이상 높아
난방비를 생각한다면 벽체에 매립해 시공하는 매립형 벽난로보다 사면이 공기와 면하는 노출형 벽난로가 좋다. 일반적으로 3배 이상 열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열원이 화구를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 바닥과 후면과 측면에서 직접 전달되는 전도열, 대기를 타고 흐르는 대류열을 직접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매립형은 이중에서 전도열과 대류열 전달에 있어 그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부득이하게 벽난로를 매립해야 할 경우는 시공 과정에서 이를 보완 가능하다. 바닥과 측면, 후면을 벽에 밀착하지 말고 몸체를 띄워 매립하면 데워진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렇게 하면 전도열과 대류열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난방 방식 또한 열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화구가 개방된 상태로 연료 양에 따라 열량이 좌우되는 일반 연소 방식에 비해 화구를 막은 후 공기 조절에 따라 열량을 조절하는 MTB(Max-Term-Burning) 방식과 화실 윗부분 방열판과 슬롯 사이에서 다시 한 번 연소시켜 열효율을 올리는 이중 연소 방식은 1.5배 높은 열효율을 내며, MTB와 이중 연소를 결합한 다중 연소 방식은 3.5배나 높은 효율을 보인다. 다중 연소 방식 벽난로가 난방 효과 면에서는 월등하기에 최근에 등장하는 벽난로는 대부분 이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연료로 주로 쓰이는 장작도 살펴야 한다. 전문가들은 어떤 장작을 쓰느냐에 따라 발열 성능이 최대 40%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장작 발열 능력은 함유 습도와 깊은 연관이 있는데 습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열에너지가 습기를 증발시키는 데 소모되기에 총열량은 급속히 감소한다. 따라서 많은 습도를 함유하고 있을수록 발열능력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주로 장작으로는 습도 15% 미만의 경질 광엽수가 사용된다. 화력이 세고 수지분이 적은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참나무, 사과나무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참나무장작을 많이 쓴다. 오랜 시간 태우면 참숯 효과를 내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아 인기가 높다. 벽난로용 장작으로 쓰기에 부적합한 것들도 있다. 제재소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방부목이나, 합판, OSB 등은 유독 가스 배출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사용을 금하고 소나무와 전나무는 송진으로 인해 많은 크레소트Cresote(연도 표면에 붙은 타고 남은 찌꺼기)가 발열 과정에서 생산되므로 역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벽난로 사용 방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장작을 투입할 때는 한 번에 2.5㎏이 넘어가는 양을 투입하지 않아야 한다. 더불어 댐퍼를 닫은 상태에서 최소한 3시간 천천히 연소시킨다. 한꺼번에 장작을 과다 투입한 후 댐퍼를 열어 과다하게 연소하면 연도를 통해 열량이 빠르게 빠져 나가 열효율 저하는 물론, 장작 낭비와 급격한 과열로 인한 벽난로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심하면 연도 과열로 인한 화재로 연결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한다.
정리하면 난방비 절약을 위한 벽난로 효율 극대화 방법은 노출형 다중 연소 벽난로에 마른 장작을 쓰는 것이다.
벽난로도 경제성이 중요한 시대가 됐다. 벽난로가 선을 보인 초창기에는 부의 상징으로까지 여겨졌으나 이제는 난방비를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느냐가 화두다. 전문가들은 장작만 잘 써도 월등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벽난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상의 조합은 다중연소가 가능한 노출형 벽난로에 마른 장작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다.
글 홍정기 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