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구슬댕댕이
● 성상 낙엽관목
● 성상 낙엽관목
● 음양 중용수
● 수형 덤불형
● 개화 5~6월
● 결실 8~9월
● 꽃 연황색
● 열매 홍색
● 단풍 황갈색
● 식재 가능 지역 전국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구슬댕댕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Lonicera vesicaria이다. 속명 Lonicera는 독일의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아담 로니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vesicaria는 주머니 모양의 열매란 뜻으로 소포에 싸인 열매를 묘사한다. 줄기는 바로 서며 높이 1.5~2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형으로 길이 5~10㎝이며 양면에 억센 털이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는 짧은 꽃자루에 달리는데 억센 털이 밀생하는 길이 1~2㎝의 엽상 포에 싸여 있다. 화관은 연한 황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에 지름 1㎝이며 몇 개씩 모여 달리는데 8~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자생지는 중부 이북으로 석회암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 외에 중국 동북 지방에도 분포한다.
관상 포인트
꽃은 연한 황색으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피는데 3~4㎜의 짧은 꽃자루에 달린다. 가을에 영롱하게 붉게 익는 열매가 무척 아름답다.
성질과 재배
추위에 강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토질을 크게 가리지 않으며 양지쪽이나 반음지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잘 익은 열매로부터 종자를 채취하여 젖은 모래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의 경우 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꽂거나 여름 그해 새로 자란 가지를 꽂는데 발근율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산지에 자생하는 야생 수목으로 꽃과 열매가 아름다우며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으므로 생태공원이나 자연학습원 등의 조경수로 좋다. 정원의 주목으로 심을 만한 나무는 아니며 키가 크게 자라지 않고 음지에서도 잘 견디므로 큰 나무의 아래나 건물의 북쪽 그늘진 곳 등에 심기에 적합한 나무이다. 현재 조경수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지만 꽃과 열매가 매력적인 나무이므로 앞으로 더 많은 이용이 기대되는 수종이다. 이식은 쉬우며, 이식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부터 봄 싹 트기 전까지이다.
유사종
동속식물로 인동, 물앵도나무, 댕댕이나무, 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흰괴불나무, 홍괴불나무 등이 있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 gpl.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