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전원생활 검색결과
-
-
[HOME & GARDEN] 하트 모양의 열매가 독특한 나무 고추나무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하트 모양의 열매가 독특한 나무 고추나무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는 연재를 마칩니다. 연재에 도움 준 경상대학교 명예교수 정계준 박사, ㈜김영사 이승환 과장님 감사합니다. ● 성상 낙엽관목 ● 음양 양수~중용수 ● 수형 덤불형 ● 개화 5월 ● 결실 10월 ● 꽃 흰색 ● 열매 황록색 ● 단풍 갈색 ● 식재 가능 지역 전국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 번식법 실생, 삽목, 휘묻이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고추나무는 고추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Staphylea bumalda이다. 속명 Staphylea는 그리스어로 ‘방’ 또는 ‘포도송이’라는 의미로 꽃은 원추화서로 모여 피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속의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11종이 알려져 있다. 종명 bumalda는 사람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고추나무란 이름은 잎이 밭에서 재배하는 채소인 고춧잎을 닮아 붙은 이름이다. 높이 3~5m 정도까지 자라는 낙엽관목 내지 소교목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3개의 소엽으로 된 복엽이며 소엽 길이는 4.5~8㎝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가지 끝에 길이 5~8㎝ 원추화서로 피며 화관은 흰색이다. 열매는 거꾸로 된 하트 모양으로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고 길이는 1.5~2.5㎝로 10월에 익는다. 전국 해발 100~500m 사이 산지 계곡 부근과 산록에 자생한다. 우리나라 외에 일본, 만주, 중국에도 분포한다.관상 포인트 및 이용 5월에 원추화서로 피는 하얀 꽃은 아름답고 향기 또한 좋다. 거꾸로 된 하트 모양을 닮은 특이한 열매는 여름에는 녹색이지만 가을에 익으면 황록색으로 변한다. 약간 광택이 나는 잎은 어릴 때 채취해 나물로 이용하기도 한다. 성질과 재배 추위에도 강하고 적응성이 강해 전국적으로 재배 및 식재 가능하다. 번식은 주로 실생법을 이용하는데,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모래 속에 묻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녹지삽과 숙지삽도 가능한데 발근율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고추나무의 해충으로 새순이 자랄 때 진딧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찰과 적당한 방제가 필요하다.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소교목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줄기가 여러 대 자라는 관목형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원의 주목으로 심기에는 적당하지 않으며 가정 정원, 공원이나 생태공원에서 큰 나무 주위에 몇 그루씩 심으면 잘 어울린다. 야성이 강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성이 강하므로 토목 공사로 생겨난 절개지나 매립지 조경 등에 이용할 수도 있다. 조경에 거의 이용하지 않지만, 꽃과 열매가 좋아 활용 가치가 높은 나무다. 이식에는 잘 견디는 편이며 이식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부터 봄 싹트기 전까지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하트 모양의 열매가 독특한 나무 고추나무
-
-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 ● 성상 낙엽관목● 음양 중용수● 수형 덤불형● 개화 5~6월● 결실 8~9월● 꽃 연황색● 열매 홍색● 단풍 황갈색● 식재 가능 지역 전국●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구슬댕댕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Lonicera vesicaria이다. 속명 Lonicera는 독일의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아담 로니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vesicaria는 주머니 모양의 열매란 뜻으로 소포에 싸인 열매를 묘사한다. 줄기는 바로 서며 높이 1.5~2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형으로 길이 5~10㎝이며 양면에 억센 털이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는 짧은 꽃자루에 달리는데 억센 털이 밀생하는 길이 1~2㎝의 엽상 포에 싸여 있다. 화관은 연한 황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에 지름 1㎝이며 몇 개씩 모여 달리는데 8~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자생지는 중부 이북으로 석회암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 외에 중국 동북 지방에도 분포한다. 관상 포인트꽃은 연한 황색으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피는데 3~4㎜의 짧은 꽃자루에 달린다. 가을에 영롱하게 붉게 익는 열매가 무척 아름답다. 성질과 재배추위에 강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토질을 크게 가리지 않으며 양지쪽이나 반음지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잘 익은 열매로부터 종자를 채취하여 젖은 모래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의 경우 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꽂거나 여름 그해 새로 자란 가지를 꽂는데 발근율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산지에 자생하는 야생 수목으로 꽃과 열매가 아름다우며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으므로 생태공원이나 자연학습원 등의 조경수로 좋다. 정원의 주목으로 심을 만한 나무는 아니며 키가 크게 자라지 않고 음지에서도 잘 견디므로 큰 나무의 아래나 건물의 북쪽 그늘진 곳 등에 심기에 적합한 나무이다. 현재 조경수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지만 꽃과 열매가 매력적인 나무이므로 앞으로 더 많은 이용이 기대되는 수종이다. 이식은 쉬우며, 이식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부터 봄 싹트기 전까지이다. 유사종동속식물로 인동, 물앵도나무, 댕댕이나무, 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흰괴불나무, 홍괴불나무 등이 있다.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더 보기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
-
[HOME & GARDEN] 생울타리 나무로 많이 이용되는 탱자나무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생울타리 나무로 많이 이용되는 탱자나무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 성상 낙엽관목 ● 음양 양수 ● 수형 덤불형 ● 개화 5월 ● 결실 10월 ● 꽃 흰색 ● 열매 황색 ● 단풍 황색 ● 식재 가능 지역 경기도 이남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 번식법 실생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탱자나무는 운향과의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Poncirus trifoliata이다. 속명 Poncirus는 이 속과 유사한 프랑스산 귤나무 종류인 poncire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trifoliata는 ‘3엽’이란 뜻으로 3개의 소엽으로 된 복엽을 나타낸다. 높이 3m까지 자라며, 녹색의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길이 3~5㎝ 정도의 굳센 가시가 난다. 잎은 어긋매껴 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두껍고 타원형으로 길이 3~6㎝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2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 5개가 떨어져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 3㎝로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 있고, 향기가 좋으며 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경기도 이남에서 자생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관상 포인트 꽃은 5~6월에 피는데 향기가 좋으나 꽃이 작아 관상 가치가 높지는 않다. 둥글고 큰 열매는 가을에 황색으로 익는데 아름답다. 한방에서는 미성숙 열매를 말린 것을 지실枳實이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성질과 재배 양수로 내한성이 상당히 강한 편으로 강원도와 중부 내륙지방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재배지는 비옥하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좋다. 번식은 실생법으로 한다. 종자는 가을에 채취하여 젖은 모래와 섞어 노천매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종자 저장 때 너무 건조하여 씨앗이 마르면 발아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탱자나무는 강한 가시가 있어 다루기 불편하므로 조경용으로는 거의 이용하지 않으며 과수원이나 경작지 및 주택의 생울타리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생울타리로 심을 때는 나무 사이 간격을 30㎝ 정도로 하여 적당히 주간을 잘라 3~4년 기르면 가지를 많이 치면서 점차 울밀한 울타리가 된다. 전정에 강하므로 줄기를 자를수록 더 치밀한 울타리로 만들 수 있다. 어릴 때는 이식이 쉬우나 가시가 강하고 많은 특성상 크게 자란 나무의 이식은 다루기 매우 어려우므로 가급적 작은 나무를 심어 가꾸는 게 좋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생울타리 나무로 많이 이용되는 탱자나무
-
-
[HOME & GARDEN]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구슬댕댕이 ● 성상 낙엽관목 ● 음양 중용수 ● 수형 덤불형 ● 개화 5~6월 ● 결실 8~9월 ● 꽃 연황색 ● 열매 홍색 ● 단풍 황갈색 ● 식재 가능 지역 전국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구슬댕댕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Lonicera vesicaria이다. 속명 Lonicera는 독일의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아담 로니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vesicaria는 주머니 모양의 열매란 뜻으로 소포에 싸인 열매를 묘사한다. 줄기는 바로 서며 높이 1.5~2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형으로 길이 5~10㎝이며 양면에 억센 털이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는 짧은 꽃자루에 달리는데 억센 털이 밀생하는 길이 1~2㎝의 엽상 포에 싸여 있다. 화관은 연한 황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에 지름 1㎝이며 몇 개씩 모여 달리는데 8~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자생지는 중부 이북으로 석회암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 외에 중국 동북 지방에도 분포한다. 관상 포인트 꽃은 연한 황색으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피는데 3~4㎜의 짧은 꽃자루에 달린다. 가을에 영롱하게 붉게 익는 열매가 무척 아름답다. 성질과 재배 추위에 강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토질을 크게 가리지 않으며 양지쪽이나 반음지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잘 익은 열매로부터 종자를 채취하여 젖은 모래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의 경우 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꽂거나 여름 그해 새로 자란 가지를 꽂는데 발근율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산지에 자생하는 야생 수목으로 꽃과 열매가 아름다우며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으므로 생태공원이나 자연학습원 등의 조경수로 좋다. 정원의 주목으로 심을 만한 나무는 아니며 키가 크게 자라지 않고 음지에서도 잘 견디므로 큰 나무의 아래나 건물의 북쪽 그늘진 곳 등에 심기에 적합한 나무이다. 현재 조경수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지만 꽃과 열매가 매력적인 나무이므로 앞으로 더 많은 이용이 기대되는 수종이다. 이식은 쉬우며, 이식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부터 봄 싹 트기 전까지이다. 유사종 동속식물로 인동, 물앵도나무, 댕댕이나무, 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흰괴불나무, 홍괴불나무 등이 있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슬댕댕이
-
-
[HOME & GARDEN]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 마삭줄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 마삭줄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마삭줄 ● 성상 상록만경 ● 음양 음수 ● 수형 덩굴형 ● 개화 5~6월 ● 결실 10월 ● 꽃 흰색 ● 열매 녹갈색 ● 식재 가능 지역 충청 이남 지방 ● 식재 시기 봄, 여름 장마기 ● 번식법 삽목, 실생, 휘묻이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마삭줄은 협죽도과에 속하며 학명은 Trachelospermum asiaticum이다. 속명 Trachelospermum은 ‘목’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trachelos와 ‘종자’란 의미의 sperma 합성어로 잘록한 열매 모양을 나타낸다. 종명 asiaticum은 ‘아시아산’이란 뜻이다. 상록 덩굴로 줄기는 회색이며 어린가지는 적갈색으로 다른 나무나 물체를 타고 오르는데 줄기에는 부착성 기근이 발생한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이고 길이 2~5cm이다. 꽃은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는데, 흰색이고 5~6월에 핀다. 열매는 골돌과로 마치 콩 꼬투리처럼 2개가 달리는데, 길이 12~22㎝에 달한다. 충남 이남의 산기슭 수림 하에 자생한다. 관상 포인트 사철 푸른 잎과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이 관상의 대상이 된다. 마치 바람개비처럼 생긴 흰 꽃이 5~6월에 피는데 화기는 약 20일간 지속되며 향기가 아주 좋고 강하다. 성질과 재배 상록수 중에서는 비교적 추위에 견디는 편이며 강한 음수로 상당히 우거진 숲속에서도 자랄 수 있다. 번식은 실생으로도 할 수 있지만 삽목으로 쉽게 뿌리가 내리므로 거의 삽목으로 한다. 삽목은 봄에 새싹이 나기 전이나 여름 6~7월에 줄기를 15㎝ 내외로 잘라 아래 잎을 따 버리고 꽂으면 된다. 꽂은 후에는 해가림을 하고 마르지 않게 관리한다. 뿌리가 내리면 새순이 자라게 된다.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콩 꼬투리처럼 생긴 열매를 따서 씨앗을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모래와 섞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잎과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으므로 파고라에 올리거나 공원이나 정원 출입구의 아치 등에 올려도 좋다. 그 외에도 담장이나 건물의 벽면 녹화용이나 절개지의 사방공사용으로도 적합하다. 큰 나무 아래 지피식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종 동속식물로 털마삭줄이 자생하며 마삭줄과 거의 구별 없이 조경이나 원예적 용도로 사용된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 ‘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 마삭줄
-
-
[HOME & GARDEN] 겨울에 꽃이 피는 큰 잎의 상록수 비파나무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겨울에 꽃이 피는 큰 잎의 상록수 비파나무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비파나무 ● 성상 상록소교목 ● 음양 양수 ● 수형 배상형 ● 개화 10~12월 ● 결실 5~6월 ● 꽃 흰색 ● 열매 황색 ● 식재 가능 지역 남부지방 ● 식재 시기 봄, 여름 장마기 ● 번식법 실생, 접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비파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으로 학명은 Eriobotrya japonica이다. 속명 Eriobotrya는 그리스어로 ‘솜털’이라는 의미의 erion과 ‘포도, 총상’이라는 의미의 botrys 합성어인데 가지, 잎, 화서 등에 털이 있고 화서가 총상인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종명 japonica는 일본산이란 뜻이다. 높이 6~10m까지 자라며 가지는 굵다. 잎은 어긋매껴 나고 길이 12~25㎝로 대형이다. 꽃은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피는데 화관은 지름 1~2㎝로 흰색이고 10~12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2~5㎝이고 이듬해 5~6월에 황금색으로 익는다.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일제 강점기 때 도입되어 남부지방에서 식재한다. 관상 포인트 및 이용 사철 푸르고 큰 잎이 특징이며 초여름에 황색으로 익는 열매가 아름답다. 열매는 과일로 이용하는데, 일본에서는 비파를 생과로도 먹지만 통조림을 만들거나 술을 담그는 데 쓴다고 한다. 꽃은 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 피는데 작아서 관상 가치가 크지는 않지만 향기가 좋으므로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 성질과 재배 추위에 약하여 남부지방에서 재배 식재할 수 있다. 볕바른 곳을 좋아하고 적당히 습기가 유지되는 양토에서 잘 자라며 너무 메마른 곳에서는 성장이 불량하다. 번식은 실생법으로 하는데 여름에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면 대개 1~2개월 후 발아하며 일부는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어릴 때 성장 속도는 빠른 편이다. 과수로 재배할 때는 접붙이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깍지벌레와 진딧물 병해충 피해가 생기므로 적당한 살충제로 방제한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잎이 매우 큰 상록수로 겨울에 아름다운 나무지만 열매의 관상 가치도 높다. 나무가 크게 자라지 않으며 열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남부지방 가정 정원의 조경수 겸 과수로 훌륭하다. 꽃이 귀한 초겨울에 꽃이 피므로 공원이나 생태학습원 등에서의 겨울 꽃나무로도 가치가 있다. 이식성은 다소 나쁜 편이며 큰 나무는 이식 후 가지가 마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강하게 전정하여 옮겨야 하며, 이식 시기는 장마철인 6~7월이 가장 좋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겨울에 꽃이 피는 큰 잎의 상록수 비파나무
-
-
[HOME & GARDEN] 적응력이 좋은 아름다운 꽃나무 황매화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적응력이 좋은 아름다운 꽃나무, 황매화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황매화 ● 성상: 낙엽관목 ● 음양: 중용수 ● 수형: 덤블형 ● 개화: 4~5월 ● 결실: 8월 ● 꽃: 황색 ● 열매: 흘갈색 ● 식재 가능 지역: 전국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협 후 ● 번식법: 삽목, 분주, 휘묻이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황매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Kerria japonica이다. 속명 Kerria는 영국의 식물학자인 벨렌든커John Bellenden-Ker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japonica는 일본산이란 뜻이다. 높이 1.5m 정도까지 자라는데 지하에서 새 줄기가 계속 자라 나와 큰 덤불을 이루게 된다. 가지는 가늘고 녹색이며 약간 늘어진다. 잎은 좁은 계란형이며 길이는 6~8㎝이다. 꽃은 4~5월에 새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는데 매우 많이 피어 무척 아름답다. 홑꽃이 피는 것은 황매화, 겹꽃이 피는 것은 죽단화로 꽃에 따라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열매는 8월에 흑갈색으로 익는다. 원래 일본과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1600년대 이전에 도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해왔는데 적응성이 강하여 귀화식물이 되었다. 관상 포인트 잎이 핀 후 4월경에 새 가지 끝에 하나씩 피는 황금색 꽃이 아름답다. 주름진 잎도 아름다운데 가을에 노랗게 단풍이 든다. 또한 선명한 녹색 줄기도 특색이 있어 겨울철 관상 대상이 된다. 성질과 재배 중용수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습기가 유지되는 곳에서 잘 자라며 양지, 음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꽃도 잘 핀다. 번식은 삽목, 휘묻이, 분주, 실생이 가능하다. 삽목은 숙지삽과 녹지삽 모두 가능한데, 숙지삽은 4월 상순경 싹 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15㎝ 정도의 길이로 잘라 꽂으며, 녹지삽은 6월 하순~7월 중순경에 새로 자란 가지를 잘라 아래 잎을 따 버리고 꽂아 해가림을 하고 마르지 않게 관리한다.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익는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또는 종자를 젖은 모래 속에 저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데 결실률이 나빠 종자를 얻기 어려우므로 실용적인 방법이 되지 못한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시골에 산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봄에 노란색으로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황매화나 죽단화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식물이다. 키가 작고 꽃이 아름다우며 적응성이 강하므로 공원이나 아파트, 가정 정원의 잔디밭 가장자리, 산책로 변, 차폐용이나 생울타리 등 여러 용도의 꽃나무로 활용 가능하다. 이식은 쉬운 편으로 이식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와 봄 싹 트기 전이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적응력이 좋은 아름다운 꽃나무 황매화
-
-
[HOME & GARDEN] 겨울에 더 아름다운 나무 동백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겨울에 더 아름다운 나무 동백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동백 ● 성상: 상록소교목 ● 음양: 중용수 ● 수형: 타원형 ● 개화: 3~4월 ● 결실: 9월 ● 꽃: 홍색 ● 열매: 자주색 ● 식재 가능 지역: 남부지방, 충남 해안 ● 식재 시기: 봄, 여름 장마기 ●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동백은 차나무과에 속하며 학명은 Camellia japonica이다. 속명 Camellia는 17세기 체코의 선교사 카멜(G.J. Kamel, 라틴명 Camellus)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종명 japonica는 일본산이란 뜻이다.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8m 직경 30㎝까지 자란다. 잎은 타원형으로 혁질이고 길이 6~12㎝이다. 꽃은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는데 3~4월에 붉게 핀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고 지름 3~4㎝로 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남부 해안지방과 섬, 울릉도, 제주도 등 바닷가에서 자생한다. 관상 포인트 상록수는 대개 잎이 아름다운 반면 꽃은 볼품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일반적인 선입견에 명백히 반하는 나무가 동백이다. 동백은 그만큼 꽃이 아름답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상록수 중에서 동백만큼 크고 아름다운 꽃을 자랑하는 나무는 없다. 꽃은 싱싱한 채로 툭툭 떨어져 꽃이 진 후에도 나무가 지저분해지지 않는다. 둥글고 큰 열매도 관상 가치가 있다. 성질과 재배 유목일 때는 음수지만 성목이 되면 양수에 가까워지며 양지쪽에서 자란 나무는 가지가 치밀하며 수형이 보다 우아하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자생 재래종 동백의 경우 실생법을 주로 이용하며 원예종의 경우에는 삽목이 주로 이용된다. 실생의 경우 초가을에 열매를 따서 종자를 채취하여 모래 속에 묻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발아율은 좋은 편이며 파종 그해에 7~8㎝ 정도까지 자란다. 삽목은 봄에 웃자란 가지를 잘라 심거나 여름 6~7월에 새로 자란 가지를 잘라 하는데 여름에 새 가지를 꽂는 것이 발근율이 높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추위에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대체로 식재가 어렵다. 적응성이 강하여 공원수, 학교원, 가정 정원, 생울타리, 가로수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정원의 주목으로 많이 심는다. 양지 음지를 가리지 않으므로 건물의 북쪽 그늘 등에 심는 나무로도 유용하다. 또한 꽃에는 꿀과 꽃가루가 많아 밀원식물이 되며, 동박새나 직박구리 등과 같은 새들도 동백꽃의 꿀을 즐겨 먹으므로 조류 유인목이 되기도 한다. 이식은 비교적 쉬운 편으로 이식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여름 6~7월과 봄 싹 트기 전이다. 유사종 동속식물로 애기동백이 있는데, 동백과 흡사하지만 내한력은 동백보다 약하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겨울에 더 아름다운 나무 동백
-
-
[HOME & GARDEN] 고운 열매가 많이 열리는 뜰보리수나무
-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고운 열매가 많이 열리는 뜰보리수나무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 성상: 난엽관목_소교목 ● 음양: 양수 ● 수형: 개장형 ● 개화: 4~5월 ● 결실: 6월 ● 꽃: 황백색 ● 열매: 홍색 ● 식재 가능 지역: 전국 ● 식재 시기: 봄, 가을 낙엽 후 ●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 뜰보리수나무는 보리수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학명은 Elaeagnus multiflora이다. 속명 Elaeagnus는 그리스어로 ‘올리브 나무’라는 뜻의 elaios와 ‘서양목형’을 뜻하는 agnus의 합성어이다. 열매는 올리브와 유사하고 잎은 서양목형을 닮았기 때문이다. 종명 multiflora는 ‘많은 꽃이 핀다’는 뜻이다. 높이 4~5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매껴 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3~10㎝, 2~5㎝로, 표면에 비늘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흰색 비늘털과 갈색 비늘털이 섞여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황백색으로 향기가 있으며,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 1.5㎝로 밑으로 처지며 6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일본과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열매를 감상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심는다. 관상 포인트 6월에 조롱조롱 붉게 익는 열매가 매우 아름답다. 열매는 약간 광택이 나는데 아주 많이 열린다. 4~5월에 피는 꽃도 관상 가치가 있다. 열매는 떫은맛과 신맛이 나지만 먹을 수 있으며 또 설탕과 함께 재어 과실액을 만들기도 한다. 성질과 재배 양수이며 추위에 강해 전국 각지에서 재배 및 식재 가능하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한다. 실생의 경우 6월에 익는 열매에서 과육을 제거하고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젖은 모래 속에 묻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도 잘 되는데 시기는 3~4월 및 6~7월이 적기이며 9월에 해도 된다. 봄에 할 때는 전년도에 자란 가지를 꽂으며 여름과 가을꽂이 시에는 그해에 자란 가지를 꽂는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 소교목으로 자라기도 하지만 대개 관목으로 좁은 공간의 장식용으로 적합한 나무이다. 여름 열매나무로 가치가 높으며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으므로 조류 유인목으로도 좋다. 가정 정원의 과수 겸용 여름 열매 나무로 좋고 자연 생태공원에 심어도 좋다. 도시의 자투리 공간에 심어도 좋은 나무이다. 뿌리혹박테리아가 공생하므로 메마르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견딘다. 유사종 동속식물로 우리나라 자생 보리수나무와 보리장나무, 보리밥나무가 있다. 가막살나무에서 히어리까지, 우리 나무 252종의 특성과 재배법 정계준 지음 / 김영사 출판 / 2019년 3월 27일 발행 / 분야: 원예, 조경 ‘식물학자보다 나무에 대해 더 잘 아는 동물학자’정계준 교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 중 조경수로 가치가 있는 나무를 총망라했다. 희귀한 나무와 실제 조경에 많이 이용하는 외래종도 대부분 수록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과감히 덜어내고, 수종의 특성과 재배법 등 꼭 필요한 정보와 저자만이 아는 노하우를 나무 한 종씩 보기 좋게 담았다. 유전학과 곤충학을 전공한 저자는 식물학자보다 나무를 더 잘 아는 동물학자로 통한다. 동료 식물학 교수들도 나무를 키우는 일에 대해서라면 그를 찾아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다. 20년 넘게 묘목을 구해 심은 것은 물론, 포기 나누기, 접붙이기, 휘묻이, 씨앗 발아시켜 심기 등 온갖 방법을 시험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얻었다. 책에 소개된 나무의 90%는 저자가 직접 심고 키웠다. 이 같은 경험을 여러 매체와 블로그 ‘왕바다리의 생태정원(blog.naver.com/prothneyi)’을 통해 독자들과 나누었으며, 〈한국조경신문〉에 4년 가까이 연재되는 동안, 전문가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HOME & GARDEN] 고운 열매가 많이 열리는 뜰보리수나무
-
-
생울타리로 좋은 상록 난대수목 광나무
- ● 성상: 상록소교목● 음양: 중용수● 수형: 계란형● 개화: 6~7월● 결실: 10월● 꽃: 흰색● 열매: 흑자색● 식재 가능 지역: 남부지방● 식재 시기: 봄, 여름 장마기● 번식법: 실생, 삽목 분류학적 위치와 형태적 특징 및 자생지광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으로 학명은 Ligustrum japonicum이다. 속명 Ligustrum은 ‘엮는다’는 의미의 라틴어 ligo에서 온말로 이 속의 나뭇가지로 바구니 등을 엮는 데 사용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종명 japonicum은 ‘일본산’이란 뜻이다. 높이 2~5m까지 자라는 상록소교목으로 수피는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5~8㎝, 폭 3~5㎝ 정도이며 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황록색이다. 꽃은 가지 끝에 길이 5~15㎝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핵과로 길이 7~10㎜ 정도에 타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자생지는 경남과 전남북의 바닷가 산기슭이며,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관상 포인트광나무는 사철 푸른 녹색의 잎과 6~7월에 피는 흰색의 꽃이 아름답다.흑자색으로 10월에 익는 열매도 관상 가치가 있다. 성질과 재배추위에 약하며 남부지방이 재배 적지이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실생법을 많이 이용한다. 실생법의 경우 가을에 잘 익은 열매에서 종자를 발라내어 젖은 모래에 저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은 봄에 새싹이 나기 전이나 여름 6~7월의 장마기에 한다. 봄에 꽂을 때는 지난해 자란 가지를, 여름꽂이 시에는 그해에 자란 가지를 잘라 꽂는데 어느 경우에나 아래 잎을 따 버리고 위쪽 1~2매의 잎만 남기고 꽂는다. 병충해로는 질소 성분이 많은 토양이나 통풍이 불량할 때 깍지벌레가 잘 생기므로 환경에 유의하며 병충해가 생겼을 경우 수프라사이드 등의 살충제로 구제해준다 조경수로서의 특성과 배식난대수종 중에서는 내한력이 꽤 강한 편으로 대부분의 남부지방에서 식재 가능하다. 소교목이지만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라며 전정에도 강하므로 관목상으로 둥글게 가꾸어 기르기도 한다. 도시의 대기 오염과 해풍에 강하여 차폐용이나 생울타리용으로도 적합하다. 눈이 오지 않는 지방의 가로수로 이용하기도 하며 독립수로 심기도 하지만 수격이 높은 나무는 아니다. 이식은 비교적 쉬운 편으로, 이식 적기는 6~7월이며 봄에 옮겨 심어도 된다. 유사종동속식물인 제주광나무는 광나무와 흡사하며 좀 더 크게 자란다. 쥐똥나무도 같은 속이지만 낙엽성이다. ※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니다.※ 자료제공 김영사 www.gimmyoung.com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더 보기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전원생활
- 정원.조경
-
생울타리로 좋은 상록 난대수목 광나무